|
[장면 1] •시작 화면은 흑백 영상으로 처리한다. •자막으로 제목과 시인의 이름을 소개한다. | |
[장면 2] •낭송이 시작되면 화면에 서서히 색채감이 드러나도록 구성한다. •화면은 미루나무, 파란 하 늘, 뭉게구름 등이 어우러지도록 제작한다. •자막은 ‘내 유년의 ~ 쉼 없이 흘러갔다’까지 스크롤 처리하여 진행시킨다. | [장면 3] •‘냇물아 흘러 흘러’를 낭송 하는 부분에서 해당 동요를 효과음으로 넣는다. •낭송이 진행됨에 따라 강물 을 따라가며 이동하는 듯한 시각적 장면 효과를 준다. •자막은 ‘냇물아 흘러 ~ 미루나무 한 그루.’까지 스크롤 처리하여 진행시킨다. |
[장면 4] •‘달아나지 마’를 낭송할 때 는 미루나무에게 말을 건네 는 듯한 어조로 시를 낭송 한다. •배를 쓰다듬으며 데워진 돌 을 귀에 대는 어린아이의 표정을 클로즈업하여 촬영한다. •자막은 ‘달아나지 마 ~ 따뜻한 오수’까지 스크롤 처리하여 진행시킨다. | [장면 5] •풍금 소리를 효과음으로 사용한다. •원경으로 학교의 모습을, 근경으로는 미루나무 그늘에 누워 낮잠을 자는 아이의 모습을 담는다. •자막은 ‘점점 무거워져 ~ 잠 이 들었다.’까지 스크롤 처리하여 진행시킨다. |
✽주의할 점 •화면의 움직임은 화자의 시선 이동에 따른다. •낭송, 화면 구성 및 음향 효과는 시의 내용과 표현에 따른다. |
① [장면 1]은 명암의 대비를 활용해 제목의 느낌을 살리면서 어린 시절의 추억을 전달하려는 의도가 느껴지는군.
② [장면 2]는 색채감을 활용해 화자의 기억 속에 남아 있는 이미지를 선명하게 제시해 보려는 의도가 느껴지는군.
③ [장면 3]은 장면 효과를 활용해 자연과 동화되어 즐겁게 뛰어다녔던 유년의 한때를 다채롭게 구성하려는 의도가 느껴지는군.
④ [장면 4]는 촬영 기법을 활용해 유년의 순수함 이면에 더불어 존재했던 배고픔의 경험을 회상하는 화자의 회한을 담아 보려는 의도가 느껴지는군.
⑤ [장면 5]는 화면의 정경을 활용해 유년의 평화로운 한때를 잔잔하게 회상하는 작품의 취지를 형상화해 보려는 의도가 느껴지는군.
=
[31-33] 현대시
(가) 나태주, 「사는 일」
http://9594jh.blog.me/220533268205
http://blog.naver.com/gulsame/50005351528
http://blog.naver.com/lawnrule/120195350333
해제 이 작품은 예상치 못한 힘든 상황을 만났지만 주어진 삶에 만족하는 태도를 지니면서 발견하게 되는 삶의 가치를 자연물을 통해 감각적으로 형상화하고 있다.
주제 삶에 대한 여유와 긍정적인 자세
구성
•1연: 현실에 순응하는 삶
•2연: 예상치 못한 고난
•3연: 힘든 현실도 긍정적으로 바라봄.
•4연: 주어진 삶에 만족하며 하루를 마무리함.
(나) 정일근, 「흑백 사진-7월」
http://blog.naver.com/vocapia/220116506815
해제 이 작품에서 화자는 유년 시절의 한때인 아름다운 여름의 풍경을 떠올리고 있다. 다양한 이미지를 통해 제시되는 자연과 동화된 화자의 모습은 평화로운 유년의 기억을 더욱 아름답게 보이게 한다.
주제 아름다웠던 유년 시절에 대한 회상과 그리움
구성
•내 유년의 ∼ 한 그루.: 유년 시절의 아름다운 여름 풍경
•달아나지 마 ∼ 잠이 들었다.: 오수에 빠져 자연에 동화된 화자의
모습
31 감상의 적절성 평가 답 ④
| 정답이 정답인 이유 |
④ 확인 두려움을 토로
[D]는 고단했던 하루가 저물어 가는 시간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새들이 휴식을 취하러 숲으로 가듯 화자도 휴식을 취하러 돌아가는 상황이다. 따라서 ‘사는 일’에 대한 두려움을 토로한다는 반응은 적절하지 않다.
| 오답이 오답인 이유 |
① 확인 대구적 표현
1연의 2행과 3행의 대구를 통해 주어진 모양의 길을 걷듯 삶 역시 주어진 대로 살아가겠다는 태도를 드러내고 있다.
② 확인 돌발적인 상황
버스가 제시간보다 일찍 떠나 버스를 놓치게 되는 돌발적 상황을 제시함으로써 계획과 다른 상황을 겪을 수 있는 삶의 단면을 보여 주고 있다.
③ 확인 시상의 전환
화자는 걷지 않아도 될 길을 땀 흘려 걸어야 했지만, ‘그러나’ 이후에서 그것을 통해 얻게 된 긍정적인 인식을 제시하고 있다.
⑤ 확인 호응하는 마무리
1연 첫 행의 ‘오늘도 하루 잘 살았다’와 호응하는 유사한 시구를 작품의 마지막에 배치하여 반복함으로써 삶에 대한 자신의 판단을 부각하고 있다.
32 소재의 기능 파악 답 ⑤
| 정답이 정답인 이유 |
⑤ 확인 긍정적 인식
㉠은 화자에게 ‘나쁘지 않았다’는 인식을 불러일으키는 대상이고, ㉡은 유년의 기억에 대한 ‘달콤함’을 불러일으키는 대상이다.
| 오답이 오답인 이유 |
① 확인 공허감
㉠은 화자에게 긍정적인 인상을 주는 소재이므로 ‘공허감’과는 거리가 멀다.
② 확인 방황을 유발, 갈등을 해소
㉠을 통해 화자는 ‘싱그러움’을 느끼고 있다. 따라서 이를 방황을 유발하는 대상으로 보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의 경우, 화자가 ‘달콤함’을 느끼고 있지만 이것이 갈등 해소로 인한 것은 아니다.
③ 확인 지속적인 위로
㉠의 경우, 버스가 일찍 떠났기 때문에 만나게 된 대상이다. 따라서 이를 지속적인 위로를 주는 대상으로 단정 짓기는 어렵다.
④ 확인 경외감
㉠과 ㉡은 화자가 일상에서 만난 자연 속의 대상이다. 따라서 이를 경외감을 느끼게 하는 대상으로 이해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33 작품의 종합적 이해 답 ④
| 정답이 정답인 이유 |
④ 확인 배고픔의 경험, 회한
[장면 4]에서 느끼는 허기는 자연 속에서 이리저리 뛰어다니며 놀다 느꼈던 배고픔이다. 이것을 회한을 느끼게 하는 배고픔으로 생각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 오답이 오답인 이유 |
① 확인 명암의 대비, 추억
첫 화면을 흑백 영상으로 처리하는 것을, 유년의 아련함을 담은 ‘흑백 사진’이라는 제목의 느낌을 담아 보려는 제작 의도와 연관지어 생각하는 것은 적절한 반응에 해당한다.
② 확인 색채감을 활용, 선명하게
‘파란 하늘’, ‘뭉게구름’ 등의 소재에 색채감을 입힌 것을 유년의 기억을 선명하게 드러내 보려는 제작 의도와 연관지어 생각하는 것은 적절한 반응에 해당한다.
③ 확인 장면 효과, 다채롭게
유년 시절의 한 장면을 작품 속에서 다양한 이미지를 통해 구체화한 것을 청각, 시각 등의 다양한 효과를 활용하는 것과 연 관 지어 생각하는 것은 적절한 반응에 해당한다.
⑤ 확인 화면의 정경, 잔잔하게 회상
평화로웠던 유년에 대한 회상을 원경과 근경에 형상화된 모습과 연관 지어 생각하는 것은 적절한 반응에 해당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