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화한강공원에서 선유교를 따라 쭉 걸어가면 선유도공원 앞에 이르게 된다. 선유도공원은 이번이 두 번째 방문이었는데 문득 이곳을 처음 찾았을 때가 생각났다. 공원 곳곳에 옛 선유정수장의 흔적들, 콘크리트 구조물과 건물이 남아있으며, 그 주변에 조성된 녹지와 화단이 함께 어우러지면서 몽환적인 분위기를 자아냈는데 다른 공원에서는 쉽게 볼 수 없는 독특한 풍광이었다. 아름답게 조성된 초목 덕분에 계절마다 색다른 분위기 속에서 산책을 즐길 수 있다. 푸르름이 그득했던 초여름날 방문했을 땐 생동감 넘치는 자연 속에서 행복한 에너지를 듬뿍 받고 돌아갔던 기억이 난다. 이날(3월 중순)은 여전히 앙상한 나뭇가지들이 황량한 분위기를 자아냈지만, 노란 개나리, 산수유꽃 등 봄꽃들이 개화하기 시작하면서 곧 이곳이 다채로운 모습으로 변화할 것을 예고하고 있다. 무엇보다 초록 잎사귀들이 반겨줄 여름날이 기다려진다.
선유도공원
○ 주소 : 서울 영등포구 선유로 343 (양화동 95)
- 지하철 이용 : 지하철 9호선 선유도역 2번 출구에서 도보 15분
- 당산역에서 찾을 경우, 양화대교 위로 올라가 조금만 걸어가면 선유도공원을 찾을 수 있다. (버스정류장 있음, 당산역 → 선유도공원 도보 20분 소요)
- 공원 내 주차는 장애인 차량만 가능하므로 대중교통 이용을 권장한다.
○ 홈페이지 : http://parks.seoul.go.kr/template/sub/seonyudo.do
|
선유교 전망대(선유교 끝부분) 앞에서 바라본 선유도공원의 모습이다. 오른쪽에 원기둥 모양의 3개의 독특한 건물이 시선을 끈다. 이곳은 과거 ‘제1NaOH약품저장탱크’로 사용되었던 건물로 현재는 ‘관수기계실’로 사용되고 있다.


이와 비슷한 형태의 구조물이 한 곳에 더 있는데 반대쪽 출입구 근처에 있는 '수경기계실'이다. 이곳은 과거에 '제2NaOH약품저장탱크'로 사용되었던 건물이다.

이곳에선 이른 아침부터 운동하는 시민들, 단체 여행객들, 독특한 환경을 배경 삼아 작품활동에 몰두하는 사진가들을 볼 수 있다. 또한, 사방으로 나 있는 아름다운 길은 산책하기에 무척 좋았는데 공원 외곽으로 크게 돌거나, 미로처럼 난 길을 마음 내키는 대로 걸어보는 재미도 있다. 어디를 향하든지 이색적인 풍경 덕분에 지루할 틈이 없다.

공원 곳곳에 선유도와 각 시설에 대한 안내문이 설치되어 있다. 조선시대 자료 속 선유도의 모습과 선유정수장 시기를 비롯한 선유도공원의 발자취, 시설 등에 대한 설명을 읽어볼 수 있지만, 반대쪽 출입구 근처에 있는 ‘선유도공원 관리사무소’에 한 번쯤 방문해 보는 것을 권한다. 이 붉은 벽돌 건물은 과거에 ‘급속여과지’였던 곳으로 지하 수조에 모래와 자갈 등을 담아 물속의 불순물을 걸러내는 여과지가 8개소 있었으며, 지상에는 여과지의 물을 관리하기 위해 지상 1개 층 규모의 시설이 있었다고 한다. 현재 1층 공간에 규모는 크지 않지만, 옛 사진들과 함께 선유도에 대한 이야기를 읽어볼 수 있는 전시실이 조성되어 있다.

조선시대 때 선유도는 지금처럼 뚝 떨어진 섬이 아닌 육지에 붙은 해발 40m 정도의 ‘선유봉’이었다고 한다. '신선이 놀던 산'이란 의미가 담겼다. 대동여지도 경조오부도(1861, 김정호) 등 옛지도에서도 선유봉을 찾아볼 수 있으며, 겸재 정선이 그린 그림 ‘선유봉(조선 1742년, 비단에 채색)’을 통해서 그 아름답던 모습을 짐작할 수 있다.
그러나 1925년 발생한 큰 홍수로 선유도의 암석을 채취하여 한강의 제방을 쌓는 데 사용되면서 훼손되기 시작했고, 1965년에는 양화대교 건설, 1978년에 선유정수장이 세워지면서 20여 년간 영등포 일대에 수돗물을 공급해 왔다. 이후 강북정수장과 통합되어 이전되었고, 이후 서울시에서는 '새 서울, 우리 한강' 사업 계획의 하나로 '선유정수장 이적지 공원화 계획'을 수립했다. 2000년 12월 공사 착공, 2002년 5월에는 보행 육교인 ‘선유교’ 설치, 2002년 7월에 공원 조성이 완료되어 오늘날에 이른 것이다. 우리나라 최초로 폐기된 공장 시설을 재활용한 '환경 재생 생태 공원'인 선유도공원, 이곳 전시실에서 선유도공원을 소개하는 내용 중 인상깊었던 구절이 있다. '낡은 것은 낡은 채로, 비어 있는 것은 빈 채로'라는 말이다. 이어지는 내용에 이 구절에 대한 설명이 적혀 있었는데 무척 마음에 와닿았다. 이곳을 통해 그 내용을 소개해 본다.
자연과 어울리기 위한 인간의 노력을 찾아볼 수 있는 이 공원에서는
남아있는 콘크리트 구조물들이 던져주는 암시를 통해 이곳만의 특별한 의미를 찾아볼 수 있다.
그것들은 인간의 문명, 산업 폐기물, 자연의 훼손과 같은 일을 경계하라고 조용히 말한다.
그런 의미에서 선유도 공원은 환경의 의미를 재인식해 보는 장이기도 하다.
산업 문명의 공간을 철거하는 대신 자연을 담아내는 그릇으로 재활용한 공간이기 때문이다.
- 선유도공원 관리사무소 내 전시실 내용 발췌
|

선유도가 어떤 곳이었는지 알게 되었다면, 이제 나머지 장소들을 편안하게 둘러보자. 먼저 이곳은 '네 개의 원형공간'으로 옛 시설을 재활용한 이색적인 장소다. 각각 ①환경체험마당 (원형 구조물과 철제 다리, 녹슨 송수관을 재활용한 옛 정수장의 흔적을 느낄 수 있는 환경체험 놀이마당), ②원형극장 (작은 공연과 모임 그리고 휴식 등 다양한 활동을 수용하는 공간), ③환경교실 (어린이들의 환경 학습공간), ④화장실로 안내문 속의 옛 선유정수장의 모습과 현재를 비교해 보는 것도 좋을 것 같다.





선유도공원에서 중간에 위치한 이곳은 필자가 가장 좋아하는 장소다. 메타세콰이어길을 따라 쭉 걸어가거나, 시간의 정원(약품침전지를 재활용한 공간), 수생식물원(여과지를 재활용한 공간), 녹색기둥의 정원(정수지의 콘크리트 상판 지붕을 들어내고 기둥만을 남긴 정원, 담쟁이로 덮인 기둥들을 볼 수 있다) 등 옛 정수장 시설을 재활용해 이색적으로 가꾼 공간에서 사색하며 걷기 좋다. 잠시 이곳의 풍경을 감상해 보자.



▼ 시간의 정원






▼ 수생식물원

▼ 선유정



▼ 수질정화원

▼ 온실
마지막으로 이국적인 식물들이 자라나고 있는 온실까지 둘러보면 선유도공원 산책이 끝난다.


돌아갈 때는 양화대교쪽 출입구를 이용했는데 이곳에서 약 15분 정도 걸어가면 당산역이 나온다. (선유도공원 앞에 버스정류장도 있다)

선유교 반대쪽, 양화대교 위에서 바라본 양화 한강공원과 선유도의 모습이다. 조용하면서 평화로운 풍경 속을 거닐며, 자연이 주는 에너지를 듬뿍 받고 돌아가고 싶다면, 양화한강공원과 선유도를 방문해 보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