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에서 제일 오래된 부동명왕상, 893년, 교토 토지(東寺)
부동명왕의 형상은 2비상, 4비상 내지 6비상 등 여러 종류가 있으나 흔히 볼 수 있는 것은 2비상이다. 피부는 검푸른색이며
눈은 노여움을 띤 채 흘겨 응시하고 입은 꽉 다물고 있다. 오른손은 칼을 들고 왼손으로 밧줄을 잡았으며 등 뒤에서는 크게 타오르는 듯한
불꽃이 솟고 있다. 반석 위에 앉아 있는 모습이 대부분이다
배광과 좌대
여러 존상의 뒤에는 배광背光이 있다. 어떤 것은 단지 머리 부분에서 둥근 불빛을 나타낸다. 두광頭光이라고 한다. 또 어떤 것은 온몸에서 발광하는 불빛을 표시하고 있다. 신광身光이라고 한다. 좀 특별한 광배인 가루라염迦樓羅炎도 있다. 가루라가 뿜는 불꽃이나 가루라가 날개를 펼친 모양과 같다고 하여 이른 것이다. 부동명왕 등의 존상 뒤에 있다.
눈부시도록 황홀하고 장엄하여 신성한 위엄이 있는 배광의 모양은 모두 똑같지는 않다. 어떤 것은 둥근 모양, 어떤 것은 방사선, 어떤 것은 불꽃과도 같다. 불상의 종류와 제작한 장인의 의도에 따라 장식할 수 있다.
존상의 좌대座臺도 매우 다양하다. 입상, 좌상, 의상倚像을 막론하고 모두 각각의 다른 좌대가 있다.
■ 좌대 종류와 명칭
▲ 금강좌金剛座 석가세존이 보리수 밑에서 도를 이룰 때 앉았던 자리를 말하며, 이 좌대의 명칭은 다른 존상에게는 사용하지 않는다. 이 자리는 인도 네란자라Nerañjarā 강변에 있는 붓다가야Buddha-gayā에 있고 그 형태는 정사각형이다.
▲ 사자좌師子座 부처가 설법할 때 앉는 높고 큰 상을 말한다. 사자좌라고 하는 이유는 부처가 모든 사람 속에 있는 것이 마치 사자가 뭇 동물 속에 있는 것처럼 우뚝 높다고 해서 이와 같이 말한다. 옛날 인도에서 불좌佛座에 사자의 그림을 그리거나 조각하여 불좌의 양쪽에서 시봉하는 모습을 표시하는데서 유래되었다.
▲ 천의좌天衣座 천의를 깔고 있어서 천의좌라 한다.
▲ 연화좌蓮花座 팔엽연八葉蓮, 천엽연 등 형식은 일정하지 않다.
▲ 반석좌盤石座 대부분 명왕부의 분노형 주좌主座다. 부동명왕이 발아래 죄인을 밟고 있는 것이 그의 예이다.
▲ 구유좌氍毺座 여러 천신의 좌座다. 털로 짜서 자리에 깔아 놓은 것이다.
▲ 하엽좌荷葉座 여러 천신이 앉은 좌대에서 자주 볼 수 있다. (하엽좌는 일반적인 연꽃과 달리 밑 부분에서 솟아 나온 연잎을 조형화한 좌대이다.)
▲ 의태좌宜台座 귀자모신鬼子母神이 앉는 자리이다.
▲ 조수좌鳥獸座 여러 높은 신상神像이 새나 짐승 모형의 등에 앉기에 붙여진 이름이다. 부처의 상에는 이러한 좌대를 자주 볼 수 없으나 그 종류와 좌명座名은 신상이 앉는 새와 짐승에 따라 다양하다.
좌대에 관해서 그 예를 좀 더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 사자좌 중에서도 대일여래, 문수보살, 법계허공장보살法界虛空藏菩薩 등은 모두 용맹스러운 사자를 좌로
하고, 일자금륜불정一字金輪佛頂은 일곱 사자를 좌로 하며, 나찰천자羅刹天子는 백사자를 좌로 한다.
▲ 상좌象座는 코끼리 좌대다. 아촉불阿閦佛, 보현보살普賢菩薩, 금강장보살金剛藏菩薩,
제석천帝釋天 등의 좌가 된다.
▲ 마좌馬座는 말을 자리로 하여 보생여래寶生如來, 마명보살馬鳴菩薩, 보광허공장보살寶光虛空藏菩薩 등이 앉고, 또 십이천十二天 중 일천日天은 5마좌, 태장계 만다라 외금강부원外金剛部院의 일천日天은 4마좌, 태장계 만다라 외금강부원의 일천요日天曜는 3마좌에 앉는다.
▲ 공작좌는 공작을 좌로 하여 아미타여래, 공작왕모보살孔雀王母菩薩, 연화허공장蓮華虛空藏,
구마라천鳩摩羅天 등이 앉게 된다.
▲ 가루라좌伽樓羅座의 가루라는 불전의 기록에 인도의 새 일종이며 금시조金翅鳥라고 한역되었다.
묘시조妙翅鳥라고도 하고, 정영조頂癭鳥 혹은 식토비고성食吐悲苦聲 등으로 불린다. 사천하四天下 가운데
큰 나무에 의거하고 용龍을 먹고 사는 용맹의 새라고도 한다. 불공성취여래不空成就如來,
용허공장業用虛空藏, 나라연천那羅延天 등의 좌를 말한다.
▲ 우좌牛座는 소의 모습이다. 대위덕명왕大威德明王은 물소에, 염마천焰摩天은 하얀 물소에,
대자재천大自在天은 검은 물소에, 화천火天은 푸른 물소에, 이사나천伊舍那天은 누런 물소에 앉는다.
▲ 양좌羊座는 붉은 양 모습의 자리다. 대자재천의 처 조마비鳥摩妃가 앉는다.
▲ 구좌龜座는 거북을 자리로 하여 수천水天이 앉는다.
▲ 미좌麛座는 새끼 사슴 모습의 자리다. 풍천風天이 앉는다.
▲ 아좌鵝座는 백조 모습의 자리다. 월천月天이 앉는다.
▲ 저좌猪座는 돼지 모습의 자리다. 마리지천摩利支天이 앉는다.
▲ 귀좌鬼座는 귀신 모습의 자리다. 대원수명왕大元帥明王, 다문천多聞天 등이 약차귀藥叉鬼,
夜叉鬼 좌대에 있다. 오추사마명왕烏芻沙摩明王은 비나야가毗那夜迦(상수마常隨魔)를 깔고 앉는다.
그밖에 수미좌須彌座는 수미산의 모습이다. 마혜수라천摩醯首羅天, 염마천焰摩天, 수천水天,
이수라천伊首羅天, 제석천 등의 자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