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상이야기제 183화 🔵
긴 추석연휴를 맞아 평소이곳 종묘는 시
간제관람(매시 20분.화요일휴관)으로 인
하여 쉽사리 접하기 힘든 곳이었으나 이
번 시간관계없이 무료개방으로 모처럼 유
네스코세계유산으로 등재(1995년)된 종
묘를 찾았습니다.
또한.종묘제례와 종묘제례악은 2001년
5월유네스코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도 등
재되었습니다.
종묘는 유학을 통치기반으로하여 건국한
조선왕조가 역대 왕과 왕비의 신주를 모
시고 제사를 봉행하던곳으로 조선시대에
는 지금의 정전을 종묘라하였으나 현재는
정전과 영녕전을 모두 합쳐 종묘라고 부
릅니다.

종묘제례제수진설(재현).

소여. (종묘대제때 임금님께서 궁궐
에서 종묘앞까지는 대여를 타고 이 소여
는 종묘안에서 이동할때 사용하던 가마)

정전으로 가는 길.

밖에서 정전모습.

정전(국보제 227 호).
1395년에 신실7칸의 규모로 창건하였고
현재는19칸에 매우 긴 목조건물이 되었
으며 이곳은 왕과 왕비가 승하후 궁궐에
서 3년상을 치른다음에 신주를 옮겨와 모
셨으며 태조의 신주를 비롯. 공덕이 있는
역대왕과 왕비49분신주를 모시고있음.

정전일부모습.



영녕전일원.
정전의 신위를 옮겨모시기위해 1421년
(세종재위)새로 지은 별묘로 건물이름은
"왕가의 조상과 자손이 함께 길이 평안하
라"는 뜻이며 태조의 4대추존왕과 왕비들
및 추존된 왕과 왕비34분의 신주를 16칸
에 모시고있습니다.

밖에서 영녕전모습.

종묘안 산책길.
영녕전에서 나가는 길(우). 정전가는 길
(좌). 정전가는 길의 가운데길은 조상의
혼령들이 다니는 신로(귀신 신. 길 로).

종묘공영주차장옆 노인들의 휴식처(?).

천주교서울대교구 종로성당모습.
(종로구 인의동소재)

성모 마리아상.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첫댓글 박경호님어열정적이활약에 뜨거운응원의힘찬박수를보냅니다~ㅎㅎ
그래도 이렇게 끝까지 봐줘서고마울따름입니다.첫 댓글까지 !
내가누군지잘모르시지요?ㅎㅎ
늘열정적인모습을 항상 맘만먹으면박경호님을뵐수있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