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高麗史99卷-列傳12-文克謙-000
文克謙 문극겸
#高麗史99卷-列傳12-文克謙-001
○文克謙字德柄南平郡人
문극겸의 자는 덕병( 德柄 )이며 남평군( 南平郡 ) 사람이다.
父公裕知門下省事集賢殿大學士謚敬靖
그의 부친 문공유( 文公裕 )는 지 문하성사 집현전 태학사( 知門下省事集賢殿太學士 )를 지냈고 시호는 경정( 敬靖 )이라 하였다.
克謙初以伯父公仁蔭補刪定都監判官.
문극겸은 처음에 백부( 伯父 ) 문공인( 公仁 )의 음사 관계로 산정도감 판관( 刪定都監判官 )으로 임명되였다.
國制以藍衫就試者例不過三赴
당시 국가 제도에 남색 괘자( 藍衫 )를 입는 관원들은 세 번 이상 과거에 응시할 수 없게 되였다.
克謙屢擧不中嘆曰:
문극겸이 여러 차례 응시하였으나 급제하지 못 하고 탄식하여 말하기를
"白衣且十赴藍衫何止三赴?" 請以五赴爲限朝議從之遂爲恒規.
<< 관직 없는 사람도 열 번 과거에 응시할 수 있는데 남색 괘자 입는 관원에게만 어째서 세 번으로 제한하는가? >>라고 하고 다섯 번을 한도로 하자고 요청한 결과 조정에서 그의 의견을 들어주어 드디여 5차 응시가 례규로 되였다.
#高麗史99卷-列傳12-文克謙-002
克謙從宦未常廢業毅宗時登第累遷左正言
문극겸이 벼슬에 종사하면서도 학업을 중단하지 않아 의종 때에 과거에 급제하였고 벼슬이 여러 번 승진되여 좌정언( 左正言 )으로 되였다.
伏閤上*疎曰:
왕의 침문 앞에 엎디여 상소하기를
"宦者白善淵專擅威福密與宮人無比爲醜行術人榮儀執左道取媚于上置百順館北兩宮私藏財貨以支祝釐齋醮之費
<< 내시 백선연( 白善淵 )은 국권을 롱락하여 상벌을 제 마음 대로 하며 비밀리에 궁녀 무비( 無比 )와 추잡한 행동을 감행하였으며 술사 영의( 榮儀 )는 미신으로 왕을 유혹하여 백순( 百順 ), 관북( 館北 ) 두 궁을 설치하면서 사사로 재물과 돈을 저장하여 두고 기도하는 비용에 씁니다.
而與善淵掌其務
그는 백선연과 더불어 그 일을 주관하고 있습니다.
凡兩界兵馬五道按察陛辭之日必於兩宮置酒慰餞令各獻方物隨其貢奉多少以爲殿最
그리하여 무릇 량계( 兩界 ) 병마사( 兵馬使 )나 5도( 道 ) 안찰사( 按察使 )가 대궐에 왔다 떠날 때에는 반드시 두 궁에서 연회를 베풀어 위로나 송별을 한 후에 각각 지방 산물( 方物 )을 헌납하라 하여 그 공납하는 수량의 다소에 따라서 지방관의 공적을 평가하여 줍니다.
至使家抽戶*歛{斂}以召民怨
심지어 지방에서 공납하는 비용을 집집마다 추렴시킴으로써 백성들의 원망을 사고 있습니다.
知樞密事崔襃偁職掌樞要勢傾中外貪黷無厭不附己者必中傷之
지 추밀사 최유칭( 知樞密事 崔襃偁)은 중요한 관직을 맡아보는데 그 세도는 일국을 움직일 정도이며 재물에 대한 탐욕이 끝이 없어서 자기에게 아부하지 않은 자는 반드시 중상합니다.
財累鉅萬
그래서 루거만의 재물을 긁어 모았습니다.
請斬善淵無比黜榮儀充牧子罷襃偁以謝一國."
백선연과 무비는 참형( 사형 )에 처하고 영의는 쫓아 내서 목자( 牧子 )로 삼으며 최유칭은 파직시킴으로써 국민에게 사죄케 하기를 바랍니다. >>라고 하였다.
又語及宮禁帷薄之事王大怒焚其疎
상소는 그의 말이 왕의 내실에 관계되는 일에까지 언급되였으므로 왕이 대단히 노하여 그의 상소문을 불에 태워 버렸다.
襃偁詣闕請辨王召克謙對辨
그리고 최유칭이 대궐로 들어와서 자기의 문제를 대질하겠다고 청하니 왕이 문극겸을 불러 최유칭과 대질시켰다.
克謙言甚切至遂貶黃州判官.
이때 문극겸의 말이 지극히 절실하고 대단히 정당하였으나 결국은 황주 판관( 黃州判官 )으로 강직 당하였다.
初克謙草疎諫議李知深給事中朴育和起居注尹鱗瞻等不肯署名
처음 문극겸이 이 상소문을 초안하였으나 간의 대부 리지심( 李知深 ), 급사중 박육화( 朴育和 ), 기거주 윤인첨( 尹鱗瞻 ) 등이 서명하려 하지 않았다.
及克謙見貶又視事自若
그들은 문극겸이 강직 당하는 것을 보고도 심상히 여기고 일을 보았다.
時人誦'並遊英俊顔何厚'之句以譏之.
그래서 그때 어떤 사람이 << 같이 사귄 명사들이여! 낯가죽이 어찌 그리도 두터운가? >>란 시를 지어 풍자하였다.
#高麗史99卷-列傳12-文克謙-003
克謙在黃州吏民愛慕政聲藹
문극겸이 황주에 도임한 후 아전과 백성들이 그를 사랑하고 사모하게 되였으며 정사를 잘 한다는 칭찬이 자자하였다.
然有貴近挾宿憾構微過奏請免官王亦怒前事又貶晉州判官有司奏:
그러나 고관과 근신( 近臣 ) 중에 그에게 숙감을 품은 자가 있어서 대수롭지 않은 과오를 크게 만들어 왕에게 말하여 파면할 것을 청하니 임금도 역시 전일의 노염이 풀리지 않아 진주 판관( 晋州判官 )으로 강직시켰다. 소관 관리들이 말하기를
"克謙直臣不宜連貶外官以防言路."
<< 문극겸은 충직한 말을 하는 신하인데 거듭 외직으로 강직 시킴으로써 말문을 막는 것은 의당하지 않습니다. >>라고 하였다.
乃授閣門祗候遷殿中內給事.
그래서 합문지후( 閤門祗候 )로 임명되였고 후에 전중내급사( 殿中內給事 )로 승진되였다.
鄭仲夫之亂克謙直省中聞變逃匿有兵跡而獲之克謙曰:
정중부 란에 문극겸이 성( 省 )에서 수직하고 있었다. 사변이 났다는 소식을 듣고 도망쳐 숨었더니 어떤 병정이 발자욱을 따라 그를 체포하였는데 문극겸이 말하기를
"我前正言文克謙也上若從吾言豈至今日願以利劒決之."
<< 나는 전 정언( 正言 ) 문극겸이다. 왕이 만약 내 말을 들었던들 어찌 오늘의 이 지경까지 되었겠느냐? 잘 드는 칼로 단번에 죽여 주기를 원한다. >>라고 하니
사극 '무인시대' 에서의 문극겸의 모습입니다. 무신정변 당시 황궁
안에서 무신들에게 잡혔을 때의 모습입니다.
兵異之擒致諸將前
그 병정이 이상한 사람으로 생각하고 여러 장군들이 있는 곳으로 데리고 갔다.
諸將曰: "此人吾輩素聞名者勿殺." 囚于宮城.
여러 장군들이 말하기를 << 이 사람은 우리가 전부터 듣던 이름이다. 죽이
말라! >>라고 지시하고 궁성에 가두어 두었다.
毅宗南行於馬上嘆曰: "朕若早從克謙言安有是辱?"
의종이 남방으로 가면서 마상에서 한탄하기를
<< 내가 진작 문극겸의 말을 들었던들 어찌 이처럼 욕을 당하겠는가? >>라고 하였다.
#高麗史99卷-列傳12-文克謙-004
明宗卽位授諸臣職釋克謙使書批目李義方白王拜克謙右承宣御史中丞
명종이 즉위한 후에 여러 신하들에게 관직을 임명할 때 문극겸을 석방하고 비목( 批目 )을 쓰는 임무를 주었더니 리의방( 李義方 )이 왕에게 고하여 그를 우승선 어사증승( 右承宣 御史中承 )으로 임명하였다.
文臣若李公升等多賴以免武官亦倚之多咨訪故事
그래서 문신으로 리공승 같은 사람들도 문극겸의 힘을 입어 화를 면하였으며 무관들도 그에게 옛일에 대한 자문을 하는 사람이 많았다.
尋兼龍虎軍大將軍至爲宰相猶兼上將軍.
미구에 룡호군대장군( 龍虎軍大將軍 )을 겸임하였으며 재상으로 된 후에도 상장군 관직은 겸임하고 있었다.
克謙有女在室義方弟隣娶之
문극겸은 미혼한 딸이 있었는데 이의방의 아우 이린( 隣 )에게 시집 보냈다.
由是癸巳之亂一族皆免.
이런 관계로 인해서 계사( 癸巳 )년 사변에 일가 친척이 모두 화를 면하였다.
左諫議金莘尹等上疎
좌간의 김신윤( 金莘尹 ) 등이 상소하기를
以爲承宣王之喉舌但出納惟允可也
<< 승선의 직무는 왕의 목구멍과 혀와 같으니 왕의 말씀을 출납하는데 국한하는 것이 옳습니다.
今李俊儀文克謙職兼臺省居中用事請解兼官不允.
그런데 이준의( 李俊儀 ; 이의방의 형)와 문극겸으로 말하면 대( 臺 )와 성( 省 )의 직무를 겸임하여 궁중에서 일을 보고 있으니 겸임 관직을 해임하기를 바랍니다. >>라고 하였으나 왕이 듣지 않았다.
翌日*{諫}官伏閤力爭改俊儀爲衛尉少卿克謙爲大府少卿.
이튿날 간관이 침전 앞에 엎디여 견결히 간하니 그제야 왕이 이준의를 위위소경( 衛尉少卿 )으로, 문극겸을 태부소경( 太府少卿 )으로 고쳐 임명하였다.
#高麗史99卷-列傳12-文克謙-005
一日近臣上壽夜分未罷左右稍喧
어느 날 근신들이 왕에게 축배를 드리는 연회를 베풀고 밤중까지 끝나지 않았는데 좌석이 약간 떠들썩 하여졌다.
克謙諫曰: "此前王之所以廢者可不戒哉?" 因勸王入內
이 때 문극겸이 왕에게 간하기를 << 이것이 바로 먼저 왕의 폐위 당하게 된 원인인데 어찌 경계하지 않겠습니까? >>라고 하여 왕에게 내전으로 들어갈 것을 권하였다.
遂罷俊儀怒罵之
그리 하여 연회를 파하게 되었던바 이준의가 노하여 욕설을 하였다.
轉禮部侍郞拜樞密院知奏事累陞知院事與宋有仁有隙左遷守司空左僕射
후에 례부시랑( 禮部侍郞 )을 거쳐 추밀원지주사( 樞密院知奏事 )로 임명되였고 여러 번 승직되여 지원사( 知院事 )로 올라 갔다가 송유인( 宋有仁 )과 사이가 좋지 못 한 관계로 수 사공 좌복야( 守司空 左僕射 )로 좌천되였다.
自拜司空不受祿世服其廉.
그는 사공으로 임명된 후부터는 봉급을 받지 않으니 사람들이 그의 청렴함에 탄복하였다.
丁母憂踰年起復還舊職頃之參知政事進中書侍郞平章事判戶部事太子太保.
모친 상사를 당하여 1 년만에 기복( 起復 ) 명령을 받고 전 직위로 돌아 온 후 얼마 못 가서 참지정사( 參知政事 )로 있다가 중서시랑 평장사 판 호부사 태자태보( 中書侍郞 平章事判戶部事 太子太保 )로 올라 갔다.
初禮官奏: "太后忌日在仲冬請於孟冬行八關禮."
처음에 례관( 禮官 )이 태후의 기일이 동지달이라 하여 10월에 팔관회 례식을 거행하기를 요청하였다.
王以問相府克謙曰:
왕이 상부( 相府 )에 문의한즉 문극겸이 말하기를
"太祖始設八關盖爲神祇也後王不可以他事進退之
<< 팔관회는 태조께서 시작한 것으로서 천지의 신명을 위한 것이니 후대의 왕으로서는 다른 사건으로 그 기일을 변경하지 못합니다.
况太祖禱于神明曰: '願世世仲冬無令有國忌.'
하물며 태조께서 신명 앞에 빌기를 < 바라건대 대대로 동지달에는 국상이 나지 않도록 하여 달라. >고 하였습니다.
若不幸有忌則疑國祚將艾也
만일 불행하게 기고가 생긴다면 이것은 국운이 장차 쇠진하여 가는 징조나 아닌가 의심하게 됩니다.
故自統合以來仲冬無國忌今有之是國之灾也而又以孟冬設八關固非太祖意禮官所奏不可許."
그런 까닭에 우리 나라가 통일된 이래로 동지달( 11월 )에는 나라의 기고( 國忌 )가 없었는데 이제 이런 일이 있는 것은 국가의 재앙으로 보겠으며 또한 10월에 팔관회를 차린다는 것은 태조의 본의가 아니니 례관의 요청을 허락하여서는 안 됩니다. >>라고 하였더니
從之.
그의 말대로 하였다.
#高麗史99卷-列傳12-文克謙-006
十五年判禮部事時韓文俊於班次爲第二次克謙次崔世輔
15년에 판례부사( 判禮部事 )로 되였는데 그 때 한문준( 韓文俊 )은 관등의 순위( 班次 )가 제 2 위( 位 )에 있었고 그 다음이 문극겸이며 또 그 다음이 최세보( 崔世輔 )였다.
及文俊爲冢宰克謙當遷亞相
그런데 이제 한문준이 총재( 수상 )로 되였으니 문극겸은 응당 아상( 亞相 )의 자리에 앉아야 될 일이다.
然不欲居世輔上先自退遜使世輔判兵部登亞相己居其次.
그러나 최세보의 웃자리에 앉지 않으려고 자진하여 먼저 그 자리를 사양하고 최세보로 하여금 판 병부( 判兵部 )로서 아상( 亞相 ) 자리에 앉게 하고 자기는 그 다음 자리에 앉으려고 하였다.
世輔亦牢讓曰:
그러나 최세보 역시 굳이 사양하며 말하기
"我於文公受恩實多敢居其上."
<< 나는 문공( 文公 )에게서 참으로 은혜를 많이 받았는데 어찌 감히 그 윗자리에 앉을 수 있겠습니까? >>라고 하였다.
王以禮部在兵部之上故拜克謙判禮部爲亞相世輔次之識者多其讓.
왕은 례부( 禮部 )가 병부( 兵部 )의 윗자리라 하여 판 례부( 判禮部 )로 임명하여 아상( 亞相 ) 자리에 두고 최세보를 다음 자리에 두었으므로 식자들이 그들의 자리 사양을 칭찬하였다.
明年兼中書門下兩省判兵部事尋權判尙書吏部事十九年卒年六十八
이듬해에 중서문하( 中書門下 ) 두 성( 省 )과 판 병부사( 判兵部事 )를 겸하고 미구에 권판 상서 리부사( 權判尙書 吏部事 )로 있다가 19년( 1189년 )에 죽으니 나이 68 세이었다
輟朝三日謚忠肅.
왕이 3일 간의 조회를 멈추었고 충숙( 忠肅 )이라는 시호를 주었다.
#高麗史99卷-列傳12-文克謙-007
性孝友慈仁忠謇正直食不過數器衣不服文繡
문극겸은 효성과 우애가 있었으며 인자하고 충직하여 바른 말을 잘하였으며 식찬은 두세 그릇에 넘지 않았고 의복은 무늬 있는 좋은 옷을 입지 않았다.
三掌禮闈所擧多名士時稱賢宰相
세 번이나 과거에 대한 직무를 맡아보아 명사들을 많이 선발하였으므로 당시 유능한 재상이라는 평을 받았다.
然聽權豪干請不察賢否銓注多舛
그러나 그는 세도 재상의 청을 잘 들어주며 잘못을 살피지 않았고 인물 고선에서 착오가 많았다.
又官其髫齕子弟分遣僕從廣植田園時議惜之.
또 자기의 어린 자제들에게 한 자리씩 벼슬을 주었으며 자기의 종( 僕從 )을 각처로 보내여 전장을 많이 장만하였으므로 그 때의 공론이 이것을 유감으로 여기였다.
王嘗作詩一絶賜克謙曰:
왕이 일찍이 시( 詩 ) 한 수를 지어 문극겸에게 주기를
"一寸靈臺萬事侵 << 한 치( 寸 ) 마음 속에 만사가 덮치더니,
唯餘憂慮日加深 남은 건 근심 걱정만이 나날이 깊어 갈 뿐.
短懷拙智一難斷 옅은 생각 짧은 지혜 이 근심 끊기 어려워라,
白髮千莖已滿簪." 천 오리 백발만 이미 머리에 그득하였네! >>라고 하였는데
克謙和進曰:
문극겸이 화답하기를
"年光荏苒暗相侵 << 세월이 흐르고 흘러 나 몰래 다가 오니,
輔國思量日漸深 나라 위한 이 궁리 저 생각 날이 갈수록 깊어지네.
自顧君恩猶未報 아! 망극한 임금 은혜 보답도 못한 오늘,
無情白髮已盈簪." 무정할손 백발은 이미 머리를 덮었어라. >>고 하였다.
人謂二詩俱有衰謝之氣
사람들이 이 시를 보고 모두 다 쇠진하여지는 자의 기상이라고 론하였다.
王終見廢克謙未幾而卒盖未必不爲詩讖
마침내 왕은 폐위 당하였으며 문극겸도 얼마 후에 죽었으니 시구( 詩句 )에 나타나는 조짐이 아니라고도 말 못할 일이다.
配享明宗廟庭.
그가 죽은 후 명종 묘정에 배향되였으며
子侯軾惟弼惟弼
아들은 문후식( 文候軾 )과 문유필( 文惟弼 )이다.
官至知門下省事妻私通家臣事覺
문유필은 벼슬이 지 문하성사( 知門下省事 )까지 이르렀는데 그의 처가 자기 집 사환군( 家臣 )과 간통하다가 발각되였다.
崔忠獻配家臣于遠島
그래서 최충헌이 그 사환군을 먼 섬으로 귀양 보냈다.
惟弼五世孫達漢自有傳.
문유필의 5 대손은 문달한( 文達漢 )인데 따로 그의 전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