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형격 조사: 의
다른 체언을 꾸미는 관형어가 되게 한다. '의' 하나뿐이다. '의'는 "내 나름 가치", "이론상 오류", "일주일 동안 사용량"처럼 문맥에 따라 생략할 수도 있다. 때문에 '동생의 친구의 누나의' 같은 식으로 '의'를 너무 많이 쓰는 것은 오히려 바람직하게 여겨지지 않는다. '의'를 지나치게 남용하는 것은 일본어 번역투에서 주로 나오는데, 현대 국어에선 '의'를 빼고 써서 말이 되면 빼고 쓰는 것이 좋다.
예시: 이 문장의 관형격 조사는 '의'이다.
거의 모든 방언은 [에]라고 발음하며, 몇몇 방언은 [으], [이]로 발음한다. 신기하게도 전국에서 조사 의를 [의]라고 발음하는 곳은 없다. 심지어 표준어 발음법 규정에서도 조사 의의 발음은 [에]라고 하는 것을 허용한다.
한문에서의 관형격 조사는 '之(어조사 지)'이다. <속격> 문서도 참고.
참고로 중세 한국어에서는 "ㅅ"이 또다른 별개의 관형격조사였는데, 현대의 사이시옷이 그 영향을 받았다는 해석이 있다.
목적격 조사: 을/를/ㄹ
낱말이 타동사의 대상이 되게 한다. 조선 초에는 모음조화대로 양성모음 뒤에는 'ᄋᆞᆯ'/'ᄅᆞᆯ'로 적혔으나 아래아가 사라지면서 '을'/'를'로 통일되었다.
잘 보면 나무위키나 일상생활에서 조사 '을'/'를'을 헷갈리는 사람이 있다. 다만 문장을 수정하는 과정에서 일어나는 실수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폰트'를 '글꼴'로 바꾸다가 뒤의 조사까지 바꾸는 것을 깜빡하면 '글꼴를'이나 '글꼴가'와 같은 잘못된 형태가 나타날 수 있다. 그나마 '이/가'는 모양이 많이 달라 얼핏 보고 잡기 쉽지만, '을/를'은 초성만 다른지라... 게다가 'ㅇ'과 'ㄹ'이 두벌식 기준 딱 붙어있어 오타를 내기 쉽다.[5]
그런데 수정 과정에서 생긴 오타가 아닌 이상, 현실적으로 한국어가 모어인 사람이 일상생활에서 '을'과 '를'을 헷갈릴 일은 거의 없다. 한국어 화자 입장에서는 잘못 쓰인 부분을 소리내어 읽고 들어보면 발음이 어렵고 뭔가 어색한 느낌이 든다. 그러기 때문에 아무리 저학력인 사람일지언정, 언어생활을 하는 이상 조사의 구분은 매우 자연스럽게 머릿속에 저장되어 있다. 따라서 가볍게 쓴 인터넷 댓글 같은 곳에서 '을/를' 혼동을 발견하면 한국어를 아직 어색해하는 외국인이 쓴 댓글이라고 봐도 크게 무리가 없다는 의견이 있었으나 최근 몇 년간 '을/를'을 어긋나는 비율이 늘어나게 되었고 한국인인 경우가 많다.[6]
이는 젊은 세대 자체가 문자보다는 영상에 익숙해지면서 글 자체를 많이 읽거나 접하지 않게 되면서 문장 구성력 등이 떨어진 결과라고 볼 수 있다. 또한, 신문기사 등에서 기자들이 괄호 사용법을 틀리게 되면서 젊은층이 '을/를'을 더욱 헷갈리게 되었다는 주장도 있다. 괄호를 쓸 때 원래 괄호안의 글은 없는 것으로 여기[7]어 괄호 앞 단어에 따라 조사 '을/를'을 붙여야 하는데 점점 괄호안의 글자까지 포함하여 쓰는 경우가 늘어났고,[8] 그리하여 '을/를' 같은 조사를 어긋나는 경우도 심심치 않게 나타난다.
예시: 우리가 식사(밥)를 <- 이런 식으로 괄호안의 단어는 없는 것으로 인지하고 표기하는 게 맞으나 '식사(밥)을' 이런 식의 오표기가 뉴스 기사에서도 흔해지다 보니 실제로 혼동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게 되었다.
예시: 공부를 하라. 노력을 하라.
낱말이 모음으로 끝날 때는 'ㄹ'을 붙여 표현할 수 있다. 다만 이는 구어적 표현이고, 문어에서는 일부 대명사를 제외하면 잘 쓰이지 않는다.
예시: 기타를 치다. → 기탈 치다. / 축구를 하다. → 축굴 하다.
보격 조사: 이/가
앞의 체언을 보어가 되게 한다. 주격 조사와 형태는 같으나 학교 문법에서는 다른 조사로 보고 있다. 보격 조사는 '이'/'가'만 인정하며, 반드시 '되다', '아니다' 같은 단어가 뒤에 와야 한다.[9] 즉, '되다'/'아니다'의 유무를 토대로 보격 조사인지 아닌지를 구별할 수 있다.
예시: 위의 "목적격 조사"의 예문은 학생들이 좋아할 만한 예문이 아니다. / 이걸 잊어먹으면 새가 된다.
그런데 앞에 용언이 있을 때를 생각하면('간단하게 된다', '출시하게 된다' 등) 이 조사는 부사격 조사로 볼 만도 하다.
출처
https://namu.wiki/w/%ED%95%9C%EA%B5%AD%EC%96%B4%EC%9D%98%20%EC%A1%B0%EC%82%A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