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摩篇第八〕 마편- 어루만지는 책략
摩 마 ① 갈다 ② 닦다 ③ 쓰다듬다 ④ 닿다
摩之符也.內符者.揣之主也.마는 부이다. 내부는 췌의 주이다.
用之有道.其道必隱.微摩之以其所欲.測而探之.因符必應.其應也.
사용에는 도가있고. 그 도는 필히 숨고. 미마에는 그것에서 욕구이며.예측이면 깊고. 부때문에 필히 응하는데 그응이다.
必有為之.故微而去之.是謂塞窌匿端.
隱貌逃情.而人不知.故成其事而無患.
摩之在此.符之在彼.從而應之.事無不可.
古之善摩者.如操鉤而臨深淵.餌而投之.必得魚焉.
故曰主事日成.而人不知.主兵日勝.而人不畏也.
고로 왈 주요 일하는 날에 이루며. 사람은 알수 없고.주요병사 날에 이기며. 사람은 두려움이 없다.
聖人謀之於陰.故曰神.성인은 음에서 책략이므로 왈 신이고.
成之於陽.故曰明. 양에서 이루므로 왈 명(밝음)이다.
所謂主事日成者.積德也.그래 주요 일하는 날에 이루는 것은 적덕이다.
用民安之.不知其所以利.積善也.
而民道之.不知其所以然.而天下比之神明也.
쓰는 백성을 편안하고 그것에서 이득을 알지 못하니 적선이다.
그래서 백성의 도이고 그것에서 따름을 알수 없으며, 천하가 견주는 신명이다.
主兵日勝者.常戰於不爭不費.
而民不知所以服.不知所以畏.而天下比之神明.
其摩者. 그 마(갈다)는 평에서 있고. 정으로 있으며. 기뻐서 있고 ~~
有以平.有以正.有以喜.有以怒.有以名.
有以行.有以廉.有以信.有以利.有以卑.~~~낮아서 있는데.
平者、靜也.평은 정이다.
正者、直也.정은 곧다.
喜者、悅也.
怒者.動也.
名者、發也.이름은 나타난다.
行者、成也.행은 이룬다.
廉者、潔也.
信者、明也.
利者、求也.이득은 구함이다.
卑者、諂也.비(낮다)는 첨(아첨)이다.
故聖所獨用者.眾人皆有之.然無成功者.其用之非也.
고로 성소가 홀로 사용하는 것은,여러사람 모두에게 있고,따름이 없는 성공은 그 사용하는 것이 아니다.
故謀莫難於周密.고로 계략은 주밀에서 어렵다 하니 말라.
說莫難於悉聽. 말은 듣기를 다해 어렵다 하지 말라
事莫難於必成.일은 필성에서 어렵다 말라.
此三者然後能之. 이것 3가지는 연후에 가능하므로
故謀必欲周密.必擇其所與通者說也.책략은 반드시 주밀하고 싶고, 반드시 그것으로 선택함과 함께 통한다는 말이다.
故曰或結而無隙也.고로 왈하거나 맺으면 틈새가 없는 것이다.
夫事成必合於數.故曰道數與時相偶者也.
무릇 일을 이루면 반드시 수로 합하므로. 왈 도수와 시가 서로 만나는 것이다.
說者聽.必合於情.故曰情合者聽.故物歸類.
말이란 들어서. 반드시 정으로 합하므로. 왈 정합은 들으므로.사물이 돌아온 종류다.
抱薪趨火.燥者先燃.平地注水.濕者先濡.
포신추화에서.건조는 먼저 타고.평지는 물을 주고. 습은 먼저 젖게한다.
此物類相應於勢.譬猶是也.
이것이 사물종류가 세로 상응하는것을. 비유한것이다.
此言內符之應.外摩也如是.故曰摩之以其類焉.
이 말은 내는 부적의 응이고.외는 마 인것이므로. 왈 마는 그 종류인 것이다.
有不相應者.乃摩之以其欲焉.있어 상응이 없는.이는 마로 그 욕구가 되는 것이다.
有不聽者.故曰獨行之道.있어 들을 수없는 것이므로 왈 홀로 행하는 도이다.
夫幾者不晚成.而不抱久而化成.무릇 기는 면이 없이 이루며.오래잡히지 않으며 화해 이룬다.
=====
8. 권 - 말의 힘으로 상황을 주도하라
말을 꾸미는 것은 말의 힘을 빌리는 것이고,
말의 힘을 빌린다는 것은 어떤 것은 빼고
어떤 것은 늘려서 말을 만든다는 뜻이다.
권이란 저울의 추를 뜻하는 말로 시간이 지나면서 '임기응변'이라는 의미로 확장되었다. 이는 상황에 따라 말을 변화시켜 사용한다는 뜻이다. 귀곡자는 상대방의 생각을 억지로 꺽지 말고 역이용해야 함을 강조했다. 그 이유는 상대의 말을 꺾으면 힘만 빠질 뿐 아무런 실익이 없으며 꺾인 상대는 기분이 상하여 마음의 문을 닫고 본심을 숨기거나 배반하게 된다.
지혜로운 사람과 일할 때는 박식함을 쓰고 , 어리석은 사람과 이야기할 때는 명쾌하게 판단하고, 판단이 좋은 사람과 이야기할 때는 그 요점을 잡고, 신분이 귀한 사람과 이야기할 때는 기세를 유지하고, 가난한 사람과 이야기할 때는 이익을 제시하고, 천한 사람과 이야기할 때는 겸손하고, 용감한 사람과 이야기할 때는 과단성을 보여주고, 허물이 있는 사람과 이야기할 때는 예리하게 지적해야 한다.
그러니 권을 잘하는 사람은 입과 귀와 눈을 유기적으로 사용하여 상대를 파악하고 설득하여, 언어로 상대방의 힘을 꺽지 않고 나에게 이익이 되는 방향으로 비튼다. 그러면 상대의 힘과 기세를 잃지 않은 채로 나의 힘으로 이용할 수 있고 상대의 마음을 계속 연 채로 조종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