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3년 1월1일 법률 제 1176호에 의하여 속초읍에서 속초시로 승격될 당시 속초시 인구는 5만 명 남짓이었다. 그리고 2000년에 실시된 16회 인구총조사에 따르면, 속초시 인구는 90,032명으로 속초시 승격이래 처음으로 인구 9만 명 시대를 맞이할 수 있었다. 이는 속초시가 환동해안 시대의 관광중심도시로 자리매김하고 있음을 나타내주는 증거라고 자랑스럽게 여기고 있었다(속초시사, 2006). 그러나 2001년을 정점으로 해서 속초시 인구는 점차 감소 추세로 접어들어, 2008년 2월 현재 85,209명으로 집계되었다. 속초시에 따르면, 속초시의 하루 평균 출생자는 1.7명이며, 이에 반해 사망자는 1.5명이다. 사망자 대비 출생자의 수가 상대적으로 많으며, 인구의 수명이 점차 증가하는 추세를 감안한다면 속초시의 인구는 증가해야 마땅함에도 불구하고 실질적으로 인구가 감소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그 이유는 속초시 하루 평균 전입자는 47명이고, 전출자는 50명이라는 통계에서 찾아볼 수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속초시에 거주하는 거주민들의 전·출입을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게다가 전입자보다 전출자의 수가 많은 이유는 무엇일까? 이와 같은 이유에 대한 조사가 얼마나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필자가 찾아보려고 노력해보았지만 아쉽게도 알 수 없었다. 속초시에서는 이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나 통계수치를 파악하고 있을 것이라고 생각되며, 아마도 필자의 게으름 탓일 확률이 높을 것으로 생각된다. 일반적으로 인구 이동의 원인은 직장이나 소득을 위한 경제적 요인, 문화시설, 교육, 종교 등 보다 좋은 환경을 찾아 이동하는 문화적 요인, 인구 정책에 의한 정치적 요인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 세 가지 요인 중에서 경제적 요인으로 인한 인구이동이 가장 활발한 것으로 분석되며, 문화적 요인 중에서는 자녀 교육 문제로 인한 인구이동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난다. 이와 같은 인구 이동의 원인 분석을 통해서 속초시는 속초시 인구를 증가시키기 위한 해답을 찾는 일은 그리 어렵지 않을 것이다. 그러므로 속초시 당국에서는 속초시의 경제 살리기 또는 경제 활성화를 위해 동분서주하시는 것이 아닌가 싶다. 그러나 교육계에 몸담고 있는 필자로서는 지난 한해 속초시 중학교 졸업생 중에 120명이 넘는 유래 없이 많은 학생들이 타시·도로 진학하는 모습을 보며 인구문제에 관한 한 속초시가 교육환경 개선에도 관심을 기울여야 할 때가 오지 않았나 하는 생각이 든다. 다양한 수준을 지닌 고등학교 졸업생이 인근에 위치한 대학 또는 대학교로 진학하는 데에는 어쩔 수 없는 한계가 있어 타시·도로 진학하는 비율을 낮출 방법이 그리 많지 않다는 점은 현실적으로 안타깝다. 그리고 이런 한계 속에서 향후 속초시의 미래와 발전을 위해 보다 많은 학생들이 보다 넓은 세상에서 훌륭한 인재로 성장해서 속초시를 위해서 힘이 되어 주었으면 하는 바람에서라도 인구문제와는 별도로 타·시도로의 진학을 그리 막고 싶지는 않다. 그러나 최근 들어, 고등학교 졸업생들이 인근 지역 대학 또는 대학교로 진학하는 비율이 점차 증가 있다는 사실은 인구문제에 관한 한 다행스럽고, 고무적인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일부에서는 속초시 중학교 졸업생의 10%내외에 해당하는 소수의 학생들이 타시·도로 진학하는 사실에 다소 과민반응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냐는 의견도 있겠지만 필자가 생각하기에는 속초시 당국에서 관심을 가지고 해결책을 모색한다면, 타·시도로의 진학률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오히려 타·시도에서 속초시로 진학하게 되어 인구가 증가하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속초시 홈페이지 시정자료실에 있는 자료 중 “인재·주민유출 ‘교육’으로 막는다”라는 글을 읽으며 좋은 사례가 될 듯하여 소개하고자 한다. ‘전국의 자치단체들이 지역인재 양성사업에 적극적으로 뛰어들고 있다. 공교육 부실이 사교육비 증가와 지역인구 유출로 이어지자 교육을 주요 사업으로 삼아 지역인재를 발굴하고, 지역의 이미지를 높이려는 전략이 엿보인다. 자치단체들이 내세우는 전략 사업은 공립학원 운영, 학력 신장 프로그램 도입, 해외연수 등이다. 교육청의 고유 업무를 주요 시책으로 삼겠다는 것이다.’라는 서두의 글에서 알 수 있듯이, 이제 교육문제 또한 지방 자치단체들이 교육환경 개선을 위해 주도적으로 추진해야 할 업무 중 하나가 되었다는 것이다. 그만큼 자치단체의 역할이 확대되었다고 할 수 있다. 전라북도 순창군의 ‘옥천인재숙’과 군산시의 ‘주말 학력신장 프로그램’, 전라남도 장성군의 ‘장성 아카데미하우스’, 경상남도 합천군의 ‘종합학습관’과 밀양시의 ‘미리벌 학습관’, 하동군의 ‘하동인재숙’의 우수사례와 나아가 ‘대한민국 사교육 1번지’라고 불리는 서울 강남구에서 2007년 11월부터 강남교육청 주도로 실시한 ‘방과 후 거점 학교’ 프로그램의 성공사례(문화일보, 3월12일, 중앙일보, 2008년 3월18일)와 학교 자체 프로그램 개발을 통한 경상북도 영양군의 ‘영양여고’ 성공사례는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물론 지방 자치단체들의 이 같은 시책은 교육 양극화 현상을 부채질하고, 지자체가 앞장서서 입시 위주의 교육으로 학생들을 내몬다는 비판을 받을 수 있겠지만 이러한 문제는 공청회나 설문조사와 같은 공정한 절차와 철저한 준비를 통하여 주민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실시한다면 해결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