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 내용을 삭제하지 마세요!!
아래 선 아래에 게시글을 올려주세요
------------------------------------------------------------------
https://youtu.be/5skKOSf-7i4?si=vGAeyN9DypptGz4P
루소가 말하는
사회계약설에 입각한 국가...
<일반의지> 개념은 공동체+善으로...
공동체+이익이나, 공공+이익과는 다른...
진정한 <민주공화국>은 공동의 善을 추구하는
집단의지로써 보편적?<일반의지>가
의사결정에 참여하는 직접민주주의를 주장...
주요개념들...
개인의지 ; 개인의 이익을 위하는 의지
일반의지 ; 개인의지의 단순 총合,
다수결원리로 공동의 이익을 추구하나 한계有
즉, 이기적 개인의지들의 다수결=>공공의 이익으로 치환(공리公利)
아쉬운 점은
루소가 이 <1차적 집단의지로써 일반의지>와
공동체의 善의 전체인 ...2차적 집단의지도
<일반의지>로 표현해서 혼돈스러운 점...
(즉, 善이란... 바람직한, 바라는 상태나 목표)
이것들만 골라서 만든 교집합인 일반의지가
주권을 직접행사해야 민주공화국이라는...
그래서 나는 이해하기 쉽게
루소의 2차적 집단의지로써 일반의지를
<보편적? 일반의지> 바꾸어 이해하기로 함...
첫댓글 공공의 이익=공리公利와
공동체를 위한 善은 다른 개념...
개인의 이익(이기적)의 合의 최대화가
곧, 공공의 이익이 최대화라는 공리주의는
다수결의 원리로 개인의 자유를 제약...
<공동의 善>을 위한 개인의지(이타적 의지)가
주권으로 작용해야한다는 민주공화....
..
근데 역사적으로 국가가 탄생할 때
개인들이 국가를 선택해 본 적이 있나? ㅋ
영주나 봉건군주들이 선택을 한 적은 있겠지...
개인들은 이들에게 종속되었던 시기이고...
사회계약설은 서양의 근대적 관점에서 나온...
조선시대만해도 국경을 넘나 들면서
자유로이 이동,정착하면ㅅ니 살던 이민족인
백정?도 있었는데...고려,삼국시대, 그 이전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