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 이동진의어바웃시네마
모르고 보았다면 '지구를 지켜라'와 '화이'의 장준환 감독 이름을 떠올리지 못했을 것이다. 세상 어디에서도 보기 힘든 상상력과 파국을 마주하고도 가속기에서 발을 떼지 않는 배짱 대신, 역사 앞에서 사려 깊게 옷깃을 여민 채 거대한 벽화를 정교하고도 힘차게 그려나가는 필치가 있다.
'1987'은 사건 한가운데서 작고 선명하게 시작해 결국 거스를 수 없는 저류를 만들어내며 도도히 흘러가는 역사 자체를 그려낸다. 많은 인물들이 등장해 급박하게 뒤얽히며 펼쳐지는 거대한 이야기가 길을 잃지 않은 데에는 보기 드물 정도로 화려한 출연진이 도움을 주었다. 등장만으로도 캐릭터를 구별할 수 있도록 만드는 스타 캐스팅은 제한된 러닝타임 내에서 인물들을 일일이 성격화하는데 시간을 쓰는 대신 격랑의 힘과 방향을 충분히 드러낼 수 있도록 만들었다.
출처 : 이미지=영화<1987>
이 영화의 배우들은 충실한 연기로 내내 공감을 일으키지만, 하정우와 강동원 활용법에 대해선 어느 정도 아쉬움이 남는다. 흘린 양주를 입으로 핥으면서 등장하는 하정우와 마스크를 내려 얼굴을 들이밀면서 등장하는 강동원은 극중 여타 배우들과 다른 질감으로 스타성이 활용되었다. 이 절박한 이야기에서 숨쉴 틈을 만들려는 대중적 고려가 있었겠지만, 그 때문에 영화 자체의 동력이 약화된 것으로 보인다. 연희(김태리)의 친구처럼 부주의한 관성으로 직조된 캐릭터도 없지 않다.
'1987'은 전반부에서 이해하게 하고, 후반부에서 참여하게 한다. 이 작품의 주요 배역들 중 유일하게 허구의 인물인 연희가 등장하는 순간 그 전환이 시작된다. 주저하거나 회의하면서도 사건 깊숙이 발을 디디며 변화하는 연희의 심정은 곧 시대의 마음이고, 눈물을 쏟으면서도 있어야 할 자리에 우뚝 서는 연희의 표정은 시대의 물줄기를 돌린 수많은 익명들의 얼굴이다. 그리고 영화는 온전하게 길을 가던 사람이 남긴 신발 한 짝을 또렷이 기억한다.
거기엔 부당한 권력에 적극적으로 항거한 사람들만 있는 게 아니었다. 최검사("원하는 거? 난 그런 거 모르겠고, 나는 내 일만 합니다")와 한교도관("매우 당연히 해야 할 일을 하는 거야") 같은 인물들은 원칙과 상식으로 자기 일과 관련된 신념을 지키는 게 얼마나 소중한지 드러낸다. 만일 그때 그 검사가 화장동의서에 날인을 했더라면, 만일 그때 그 의사가 사인에 대해 입을 열지 않았다면, 만일 그때 그 기자가 펜을 꺾었더라면, 만일 그때 그 교도관이 눈을 감았더라면, 만일 그때 그 학생이 용감히 나서지 않았더라면.
이 영화의 악은 특히 박처장(김윤석) 한 사람에 집약되어 묘사되지만, 선은 그렇지 않다. 희망은 작은 고리의 연쇄에서 나온다. 역사의 물줄기도 그럴 것이다. 그렇게 정확히 한 세대를 사이에 두고 1987년과 2017년의 광장은 뜨겁게 공명한다.
★★★☆(별셋반)
첫댓글 그리고 영화는 온전하게 길을 가던 사람이 남긴 신발 한 짝을 또렷이 기억한다.
어떻게 이렇게 표현하지ㅠㅠ
삭제된 댓글 입니다.
와..여시말너무공감해..강동원나오는 순간부터
다큐멘터리보는느낌이고 제3자입장에서 관찰하던느낌이었는데
이야기주인공되는 기분느꼈어.
강동원얼굴을 약간 그런식으로 이용한거같기도함
222! 여시 표현력 쩐다ㅠ 나도 같은 생각임! 그래서 스타성 뛰어난 강동원을 중요한 인물로 부여한거 같아 연기력은 다소 딸리더라도 강동원만의 특유 그 몰입력이 영화에 더 집중하게 만들엇어
강동원을기점으로 제1막과2막이 나뉘는느낌이였음 다좋은데 강동원연기존나못해....
강동원 나올때 순간 늑대의유혹됨 우산씬때처럼 웅성웅성
강동원나와? 친일파.. 거른다..
삭제된 댓글 입니다.
와..마자 스테인글라스장면은진짜로
이 영화 평이 하도 갈리길래 볼까 말까 했는데 이동진님 택시운전사는 별 세개 줬었네. 그럼 보러 가야겠다
보는내내 물은 100도씨에서 끓는다는 말이 계속 맴돌았어..100도씨로 가는 과정을 연희통해서 느낀거같아..
그리고
그 영화 스크린을 계속 들여다보면서 의자에 앉아있는 사람들이랑 내모습이 꼭 당시에 몸사리고 침묵하는 사람들모습이랑겹쳐 보여서 기분이 묘했어
맞아 강동원 나오는순간 그때부터 내가 연희가 된 느낌
나 오늘 봤는데 여러모로 좋은 영화였오
난 너무좋았음...느낀것도많고
전반부에서 이해하고 후반부에서 참여한다는 거 진짜다...
22 나도 진짜 공감..
난 강동원 나와서 별로였음... 스토리에 집중 안 되고 강동원이라는 배우에 신경이 쏠려서
전반부에선 좀 더 어렸을 때 교과서와 책으로 배우기만 하면서 정치에 무관심햇던 내 모습을 떠올리게 햇다면 후반부에서는 성인이 된 뒤 광장에 나가 역사의 현장에 몸소 뛰어든 현재의 내 모습을 그리고 앞으로도 역사에 뛰어들 내 모습을 그린거같아! 그래서 엔딩장면이 더 가슴울렷던거같음ㅠㅠ... "연희=나"
삭제된 댓글 입니다.
여샤여샤 나 택시운전사보고 엄청 울엇는데 이것도 많이 슬퍼ㅠㅠㅠ?! 난 영화에서 여기서 울어라!! 이러면 바로 울어ㅠㅠㅠㅠ 암청 슬프면 심야로 안보려구ㅠㅠ
@돕바 ㅈㄴㄱㄷ 나도 울보라서 휴지 엄청 들고 갔는데 끝에만 좀 울었어 ㅋㅋ 내가 느끼기에 울어라! 이런것보다 사실을 알리고 감동느끼게 하는 의도가 더 있지 않았나 싶어
@네츄럴오가닉 고마워여샤ㅠㅠㅠㅠㅠㅠㅠ
@꺼져^^ 그 정도구나ㅠㅠㅠ!!! 고마워 여샤😘
너무 좋았어 처음으로 영화 추천으로 콧멍방에 글도 써봄 여시를 8년 했는데 ㅋㅋ..
마지막에 그 신발에서 신파만 안찍었어도 진짜 개인한테 집중한 멋진영화였을 텐데...... 보기전에는 소재가 좋아서 화려한 휴가 같은 삼류 영화일까봐 너무 불안했는데 보면서 진심 영화안에 디테일이 끝내줌.... 엑스트라까지 살아있음. 너무 괜찮은영화였어 짐심으로 또 보고싶어
222... 다좋았는데 신발신파에서 다깨졌어 나는ㅜㅜㅜ..
여시혹시 감독인터뷰는 봐써?
뭐 여시포인트가 그게 아닌거같기도 한데
감독이 그 운동화에집중하게된게
이한열기념관에갔는데 운동화가 한짝밖에없더래 그래서 그게 되게 기억에 남고 나머지 한짝 어딨을까 싶어서 그부분을 강조했다고 하더라... 나도 여시처럼 생각했다가 인터뷰보고 좀 납득함 ㅎ
@가냐대제지안 그랬구나.... 함부로 신파였네 어쩌네 하면 모르고 하는 소리인거였네 .......
@qqqqp 워....................... 일화도 있을 줄 이야........ 무지했네 내가
나 영화보고 잘 안우는데 펑펑울었음...ㅠㅠㅠㅠㅠ
낼 볼거야....!!!! 2017년 마지막 영화는 1987이닷!!!
보는내내 씨발 저새끼가 아직도 살아있다니..^^... 존나쒸익쒸익거리면서봄.. 너무슬픈데 너무화나곸ㅋㄱㅋㅋㄱㅋ
강동원도나와??? 왜몰라찌
여진구도 나왘ㅋㅋㅋ
보고나서 진짜 너무 분노하고 그게 남아있어서 힘들었는데 또보고싶어
마지막 호헌철폐 독재타도 확성기 목소리 배우 문소리씨래!!!!!
이거 별 기대없이 봐서 그런가 기대이상이더라. 첨엔 진짜 줄줄이 나오는 인물들에 약간 다큐 보는 느낌이었는데 강동원 활용하면서 상업성도 잘 갖춘? 영화 느낌 됨. 억지로 눈물 짜내는 스토리로 가지도 않고 재밌었음
연출이 존나 좋앗음..
난 다 좋았는데 억지로 짜낸 그 신파 때문에 앞에 좋았던게 다사라졌어....
영화 엔딩 진짜 역대급이라고 생각.. 너무 좋았어
1987 많이 봤으면 좋겠다. 워낙에 상징성이 짙은 역사를 다루고 있어서.. 1987의 흥행을 출발점으로 삼아(택시운전사와 아이캔스피크도 한 몫 한 것 같음) 앞으로 이런 영화가 더 다양한 시선으로 많이 나오면 정말 좋을 것 같아.
완전강추야 꼭봐
영화가 좋았고 여운이 남았어 또 보고싶다
연출대박이었어 ㅠㅠ
악은 한 사람에 집약되어 묘사되지만 희망은 작은 고리의 연쇄에서 나온다...!
이거 크....
소시민 한 사람 한 사람이 역사의 물줄기를 바꾼다!! 1987에도 2017에도 가능했던 일!
나는 개인적으로 별로.... 연출도 내 스타일 아니었어ㅠ... 유일하게 맘에 드는건 교회씬...
신파인거 전혀 모르겠는데..
다 받고 공감...
뭔 신파 사실이 더 영화같던 사건이였는데....난 오히려 꾹꾹 눌러담은 영화라고 생각했어 내가 관련 활동 했어서 그랬나 그리고 워낙 연기파 배우들이 많이 출연해서 잘못하면 이한열, 박종철 열사역이 묻힐 수도 있는데(출연분량이 적어서) 임팩트 있는 배우들로 나름 잘 쓴거 같아서 계속 뇌리에 남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