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민자 3분의 2 "비용 대비 가치 없어"
정부, 이민쿼터 21% 감축에 유학생도 제한
이란 출신 부부 "4년 기다렸는데 심사 탈락"
캐나다 정부의 이민정책이 대폭 강화되면서 영주권 취득의 문이 좁아지고 있다.
캐나다 이민난민부(IRCC)에 쌓인 이민 신청 건수가 230만 건에 달하는 가운데, 정부는 2025년 이민자 수용 규모를 21% 줄이기로 했다. 유학생과 외국인 노동자 등 임시 체류자도 대폭 감축한다. 정부는 주택과 인프라, 공공서비스 부담을 줄이기 위한 조치라고 밝혔다.
최근 캐나다 이민자 1,507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에서 3분의 2가 "이민 비용이 예상보다 많이 들었다"고 답했다. 같은 비율이 "투자 대비 가치가 없었다"고 평가했다.
한 이란 출신 부부의 사례가 이민자들의 현실을 잘 보여준다. 이들은 2020년 이민을 결심하고 자동차와 재산을 처분했다. 1년간의 영어 교습 등 지금까지 5만 달러를 쏟아부었지만, 4년이 지나도록 영주권을 받지 못했다. 결국 호주 이민을 알아보는 중이다.
이들은 퀘벡주에서 시작한 캐나다 생활을 밴쿠버로 옮겼지만, 두 도시에서 동시에 집세를 내야 했다. 취업 비자 갱신을 기다리던 중 직장마저 문을 닫아 영주권 신청도 불투명해졌다.
인도에서 온 한 동성 커플은 컨설팅 비용만 1만 달러를 썼다. 고국에서는 중산층이었지만 캐나다에서는 하위 중산층으로 떨어졌다. "사회적 자유는 얻었지만 재정적으로는 최악의 선택이었다"는 것이 이들의 평가다.
캘거리대학교 유학생들의 사정도 마찬가지다. 한 학생은 학비로만 10만7천 달러를 썼고, 졸업까지 1만2천 달러가 더 필요하다. 식비를 줄여가며 버티는 학생들이 늘고 있다. 5만 달러를 들인 26세 유학생은 취업비자 기한에 쫓기며 일자리를 찾고 있다.
토론토의 한 이민법률사무소는 "너무 많은 돈을 투자해 실패할 수 없는 이민자들이 체류를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고 전했다.
토론토대학교 정치학과는 이민 컨설턴트들과 언론이 약속한 '쉬운 영주권'이 허상이었다고 지적했다. 주택난 등으로 캐나다인들의 삶이 팍팍해진 상황에서 이민자들의 고충은 더욱 커질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