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종모 주교의 명상 칼럼] 칼 융의 빛으로 바라보는 나(1)
"당신 페르소나와 그림자에서 벗어나라"
우리는 살아가면서 자기 성찰이 필요하다. 때로 복잡하고 힘들게 느껴질 수도 있지만 진정한 자신을 찾는 노력을 게을리하면 안된다. 평생 스스로도 우울증에 시달렸던 정신분석학자 칼 융의 이야기를 귀담아보자. /셔터 스톡
나는 참으로 누구인가 하는 자아 성찰을 위하여 칼 융(Carl G. Jung)의 분석심리학을 살펴보는 것은 매우 유용하다.
칼 융의 삶과 주장을 살펴보면, 우리가 명상을 하면서 부닥치는 문제와 매우 비슷한 점이 많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융은 겉보기에는 인정받는 의사이며 교수였으나 그는 삶에서 점점 현실감을 잃어가면서 삶의 의미를 상실해가고 있었다.
나는 누구인가, 나는 왜 사는가, 내가 이렇게 사는 것이 과연 옳은 일인가, 나는 어떻게 살아야 할 것인가 하는 등의 문제가 그를 괴롭히고 있었다.
그는 저 마음속 깊은 곳에서 끓어오르는 어떤 욕구가 있다는 사실을 깨닫고 있었다. 그는 마침내 마음 속 깊은 곳에서 솟아오르는 그 욕구에 따라 살기로 결심했다.
그가 무의식 속에서 발견한 것은 거대한 ‘용암의 흐름’ 같은 것이었는데, 그 열기가 그의 인생을 재조명했다. 융의 문제는 일종의 네오테니(neoteny) 상황이라고 볼 수 있다.
네오테니란 숫자로 표시되는 나이와는 상관없이 어른이 되어도 어렸을 때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는 개념이다. 그 특성이란 열린 마음, 호기심, 즐거움, 흥분, 웃음, 유머, 장난기 같은 것이다.
네오테니는 비록 나이가 들어 육체는 늙어가도 마음은 영원한 청년을 유지하는 길이다. 나는 이것이 명상에서 추구하는 또 하나의 매력이라고 생각한다.
명상하는 사람들이 융의 빛을 통해서 바라보아야 할 것은 참으로 많다. 그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주제는 개체화(individuation)라는 개념이다.
모든 사람은 크든 작든 모두 어느 정도의 신경증을 가지고 있다. 그런데 신경증의 이면에는 미개발된 인성이 있다. 신경증의 치료는 전인성의 획득에 있으며, 융은 전인성으로 향하여 움직이는 과정을 개체화라고 했다. 개체화는 남들과는 다른 독특성이 있으므로 개체화는 ‘진정한 자기 자신이 되는 것’ 혹은 ‘자아실현’으로 해석할 수 있다.
사람은 모두 자신만의 독특한 개체화 과정을 가지고 있다. 융은 각 사람의 개체화 과정은 독특하긴 하지만, 그 과정에는 보통 네 가지의 일반적인 자원이 있다고 말한다.
여기서는 명상과 관련하여 의미가 있는 세 가지 요소를 소개한다.
첫째는, 페르소나(persona)를 벗는 일이다. 페르소나는 다른 사람들의 눈에 비치는, 즉 그의 실제 성격과는 다른 한 개인의 모습이다.
페르소나는 본래 그리스인들이 연극을 할 때 자기가 맡은 역할에 따라 썼던 가면을 말한다. 사람들은 사회생활을 하면서 그리스인들이 연극을 할 때 썼던 가면처럼 자신들의 사회적 지위와 직함에 맞는 가면을 쓴다. 융은 이처럼 인간이 쓰는 가식의 가면을 페르소나라고 불렀다.
아이들은 자라면서 어른들이 용납하고, 그에 따르는 적절한 보상이 주어지는 행동과 태도를 익히게 된다. 그런데 사람들은 어른이 되어서도 이런 행동과 태도를 버리지 못하고 계속 가지고 있다.
인간은 사회라는 공동체 안에서 다른 사람과 인간관계를 맺으며 살 수밖에 없는 사회적 존재이므로 다른 사람의 인정과 보상을 받는 행동과 태도를 취할 수밖에 없다.
이렇게 해서 형성된 성격, 즉 자신의 욕구와 필요를 위해 ‘나’가 타인에 대해 갖는 성격화된 ‘나’가 곧 페르소나인 것이다.
어느 정도의 페르소나는 사회생활에서 피할 수 없다. 문제는 페르소나가 심각한 위선과 병리현상을 동반하여 자신과 타인에게 독이 되는 경우이다.
페르소나는 순기능도 있으나 과도한 페르소나의 경직성에서 벗어나야 성장하고 치유된다. 과도한 페르소나의 경직성에서 벗어나 영성이 성장한 사람은 명상에서 추구하는 자유인이 되는 것이다.
둘째는, 자신의 그림자(shadow)와 직면해서 그림자의 실체를 알고, 그로부터 벗어나는 일이다.
그림자는 우리의 열등감과, 페르소나, 이상 등과 마찰을 빚기 때문에 무의식 세계로 억눌러버렸던 성격의 부정적인 측면인데, 이런 것들은 의식될 기회를 잃어버려 미분화된 채로 남아 있다.
그림자가 억압되고 인식되지 않는 한 그것은 타인들에게 투사되고, 우리가 인식하지도 못하는 사이에 우리를 지배하게 된다. 그림자는 원시적이고 본능적이며 동물적인 존재와 같아서 때로는 본인도 의식하지 못하는 상태에서 파괴적인 폭력을 일으키기도 한다. (계속)
글 | 윤종모 주교
출처 : 마음건강 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