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 | 견과류, 녹색 영양식품으로 중국에서 꾸준한 인기몰이 | |||||||||||||||||||||||||||||||||||||||||||||||||||||||||||
---|---|---|---|---|---|---|---|---|---|---|---|---|---|---|---|---|---|---|---|---|---|---|---|---|---|---|---|---|---|---|---|---|---|---|---|---|---|---|---|---|---|---|---|---|---|---|---|---|---|---|---|---|---|---|---|---|---|---|---|---|
작성일 | 2014-03-12 | 국가 | 중국 | 작성자 | 남지은(베이징무역관) | |||||||||||||||||||||||||||||||||||||||||||||||||||||||
--> -->
견과류, 녹색 영양식품으로 중국에서 꾸준한 인기몰이 - 2014년 시장규모 488억 위안 예상 - - 외국브랜드 고가시장 점유, 브랜드 인지도는 보통 - - 지역 및 고객별 맞춤형 마케팅전략 필요 -
□ 견과류 매출, 연평균 13% 이상 증가
○ 견과류는 중국 명나라 때의 의학서인 ‘본초강목(本草綱目)’에서 ‘머리를 검게 하고 몸을 가볍게 한다’고 적혀 있을 정도로 중국에서 오래전부터 각광받은 영양식품임. - 2007년 미국 FDA가 ‘견과류는 인체에 유익한 불포화지방과 산화방지제를 함유하고 있어 심장병과 DNA 산화를 예방한다’고 발표함에 따라 중국 내 인기가 꾸준히 상승 - 지역별로는 안후이(安徽)의 해바라기씨, 란저우(蘭州)의 수박씨, 저쟝(浙江)의 산호두, 산둥(山東)의 땅콩, 산시(山西)의 호두, 동북(東北)의 흰색 해바라기씨 등이 유명
○ 30여 년 역사를 가진 중국의 견과류 간식(坚果炒货食品) 시장은 해바라기씨, 땅콩류, 아몬드류, 호두류 등을 주요 상품으로 하고 있으며 견과류 생산판매 기업은 800개 이상에 달함. - 중국 견과류시장 매출액은 2005년 197억 위안에서 2009년에는 322억 위안으로 증가, 연평균 13%가 넘는 성장률을 보였으며 2014년에는 488억 위안 이상의 매출을 올릴 것으로 전망(文传商讯)
중국 견과류 시장 규모 (단위: 억 위안) 자료원: China Company News(文传商讯)
□ 남녀노소 모두 즐기는 견과류, 고급 상품은 외국 브랜드 점유율 높아
○ 견과류는 남녀노소 구분 없이 모든 소비자가 고객층으로 최근에는 특히 노인, 어린이, 임산부 등 풍부한 영양공급을 필요로 하는 계층을 중심으로 수요가 늘고 있음. - 빠른 생활리듬으로 시간에 쫓기는 직장인들은 영양 보충을 위해 견과류를 찾고 있으며 노인들은 치매예방 차원에서 꾸준히 견과류를 섭취하는 것으로 조사됨.
○ 시장에 유통되는 고급 견과류는 독일·터키·필리핀·베트남산 수입 브랜드가 대부분이며 아몬드, 호두, 땅콩, 피스타치오, 피칸 등을 주로 판매 - 외국 브랜드는 웰빙, 높은 영양성분, 고품격 포장 등을 경쟁력으로 가격대가 최소 30위안(약 5300원) 이상이며 중국 고가시장을 점유하고 있음. - 400g 이상의 외국 브랜드제품은 가격이 100~200위안에 달하는 경우도 있음.
자료원: 코트라 베이징 무역관 정리
□ 중국 브랜드 중저가시장 점유율 높아
○ 중국 토종 브랜드 제품은 30위안 미만의 중저가 시장에서 인지도가 높으며 주요 품목은 해바라기씨, 땅콩, 잣 등임. - 정린(正林), 챠챠(洽洽), 전신(眞心) 등은 주로 해바라기씨를 판매하고 있으며, 특히 챠챠(洽洽)는 다양한 재료를 첨가하여 여러 가지 맛이 나는 해바라기씨를 출시 - 궈웬라오눙(果園老農), 허우성지(厚生記), 황페이훙(黃飛紅) 등은 아몬드, 땅콩 등을 판매하는데, 가격은 10위안 내외로 저렴한 편 - 베이징에 소재한 궈웬라오눙(果園老農)은 아몬드, 호두류 등의 여러 견과류 제품을 판매하는 브랜드로 상품가격은 10위안 이상인 제품이 많음.
주요 상품 정보
자료원: 워마이닷컴(我買網)
□ 중국 소비자, 우수한 품질을 자랑하는 브랜드 선호
○ 중국 소비자들은 견과류 구입에 있어서 가격대비 품질이 우수한 브랜드를 선호하며 아몬드, 호두, 피스타치오 등을 구입 시에는 현지 브랜드보다는 외국 브랜드 제품을 선호하는 경우도 많음. - 다만 구체적인 브랜드가 아닌 브라질, 미국 등 수입산지에 따라 선호하는 추세 - 건강에 관심이 높은 도시 화이트칼라족, 임산부, 아동은 비싸고, 용량이 적지만 포장이 고급스러운 외국 브랜드 제품을 선호함. - 최근 호두는 호두 껍질과 완벽하게 분리되고, 다양한 맛을 지닌 제품이 개발되는 등 기존 호두 제품이 가진 단점이 보완돼 노인과 아동 소비자들에게 각광을 받음.
○ 한국산 견과류는 시장점유율이 낮은 편이고, 중국 할인마트나 온라인 매장에서 찾아보기 힘들며 한인타운의 한국식품 매장에 한정돼 판매되는 상황 - 한국산 식품은 사탕, 과자, 주스, 유자차, 대추차, 커피, 라면 등이 주를 이룸.
□ 견과류 제품 주요 유통채널
○ 중국에서 견과류는 도매시장 또는 농수산물 시장에서 주로 판매되며 대형 할인마트에서도 판매 중 - 수입산의 경우 중국 내 총대리상이나 지역대리상을 통해 소매상으로 유통 후 최종 소비자에게 판매됨.
○ 전자상거래를 통한 거래도 점차 활성화되고 있으며, 주로 타오바오닷컴(淘宝網), 워마이닷컴(我買網), 1호점(1號店)을 통해 유통
자료원:코트라 베이징 무역관 정리
□ 중국 견과류 마케팅 주의사항
○ 제품 종류는 다양하나 제품 주기가 짧음. - 중국의 견과류는 해바라기씨, 호두류, 땅콩류 등 여러 종류가 있으며, 해당 품목에 종사하는 기업은 다양한 제품을 개발하고 있음. - 챠챠(洽洽), 야오성지(姚生記)는 각각 40여 개, 20여 개의 제품을 개발했으나 제품 대부분은 마케팅이 체계적이지 못해 출시 후 갑자기 사라지는 경우가 많음. - 실질적으로 한 기업이 생산하는 제품은 실제 개발한 제품에 비해 훨씬 적어 대부분 10개를 초과하지 않음.
○ 제품의 획일화로 고정 소비자 확보가 어려움. - 대부분의 견과류는 포장, 생산기업에 따라 저가제품, 고가제품으로 나뉨. - 일부 품목은 포장 디자인이 거의 동일하고 생산기업만 달라 소비자들은 특정 브랜드 제품을 고정적으로 소비하지 못하고 오히려 시장에서 구매하는 경우도 많음.
○ 참신한 마케팅 수단이 필요 - 대부분 브랜드에서는 특화된 마케팅전략이 없이 서로 눈치를 보며 마트, 전문매장 위주로만 제품을 판매 - 판촉 마케팅의 모방도 심각한 편으로 적립쿠폰이나 상품증정 카드 등을 상품과 같이 포장하는 등의 진부한 마케팅만을 고수
○ 유통비용은 상승, 판매량은 주춤 - 유통업체들은 견과류 제품이 비슷하다는 점을 이용하여 기업에 입점비를 더 높게 제시해 결과적으로 기업의 유통비용 부담이 높아짐. - 여러 브랜드가 공동 입점해있고 참신한 마케팅전략이 없어 판매량은 증가하지 않는 경우가 많음.
□ 지역 및 고객별 맞춤형 마케팅 전략이 필요
○ 각 연령층의 기호 제품을 파악하고 단기적, 장기적 판매전략 구축 - 노년층은 치아, 잇몸 질환으로 담백하면서도 먹기 편한 품목을 선호 - 아동은 단맛, 고소한 맛 등을 선호
○ 지역별 구체적인 마케팅전략 수립 필수 - 중국은 지역별 소득 격차가 크고 기후, 민족 등 상이한 점이 많으므로 진출지역에 대한 구체적인 마케팅 전략을 세우는 것이 바람직 - 해당 지역에 적합한 품목, 가격, 맛, 종류 등 철저한 사전 시장조사를 통해 향후 발전 계획을 수립해야 함.
자료원: 中國堅果炒貨行業網, 新食品在線, 新華網, 博銳管理在線 등 코트라 베이징 무역관 종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