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경기도만 정원 20명"... 동국대 특혜 의혹
김 의원은 "자승 총무원장은 동국대가 로스쿨 유치 실패 이후 약대 신설을 위해 총력을 다하고 있던 지난해 11월 2일 예방 온 박형준 청와대 정무수석으로부터 '불교계 현안들을 잘 알고 있기 때문에 원만하게 일이 처리되도록 노력하겠다'는 말을 들었고, 12월 15일에는 이명박 대통령과 15분간 독대하기도 했다"며 "올해 1월 19일 예방 온 진동섭 청와대 교육과학수석에게 약대 신설을 부탁하고 '잘 살피겠다'는 약속을 받았다"고 주장했다.
김 의원은 "자승 총무원장은 이명박 대통령과 독대 9일 후 박형준 정부수석과 충청지역을 방문해 주요 사찰 주지들을 모아 세종시 문제 협조를 당부하기도 했다"고 덧붙였다.
그는 "자승 총무원장이 진동섭 수석을 만난 지 며칠 후 '약대 유치 못하면 사표낼 각오'라고 발언했고 결국 한 달 후 약대 신설이 확정됐다"며 "약대 신설 확정 15일 만에 봉은사 직영사찰 전환이 전격 이루어졌다"고 밝혔다.
김 의원은 이어 "봉은사 외압 사건은 청와대가 나서서 교과부에 동국대 약대 신설을 승인하도록 압력을 행사하는 대신 그 대가로 정부정책에 비판적인 스님들을 내쫓아 불교계를 친정부 성향으로 바꾸려고 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 | ||||||
|
김 의원은 이귀남 법무부 장관을 상대로 "이것이야말로 전형적인 권력형 비리 아니냐"며 검찰이 수사에 나설 것을 촉구했다.
그는 "이번 사건을 보면서 3년 전 신정아씨 학위 위조 사건을 떠올리지 않을 수 없다"며 "당시 야당이었던 한나라당은 신씨와 변양균 전 기획예산처실장의 관계를 들어 모든 의혹을 밝히라며 검찰 수사를 촉구했고 검찰은 변 전 실장이 동국대 이사(장윤 스님)에게 외압을 가했는지에 대해 샅샅히 조사했다"고 밝혔다.
이어 "검찰은 동국대가 당시 교육부로부터 165억 원을 지원받은 점에 주목해 변 전 실장이 예산 배정에 압력을 행사했을 가능성을 두고 동국대와 교육부 관계자 등을 소환조사 했다"며 "결국 변 전 실장이 2007년 동국대 이사장의 개인 사찰에 특별교부금을 지원하도록 행안부에 압력을 행사한 혐의에 대해 유죄가 인정됐다"고 강조했다.
김 의원은 "이번 봉은사 외압 사건과 동국대 약대 신설 특혜 의혹도 검찰이 변 전 실장에 대해 수사했던 것처럼 하면 모두 밝힐 수 있다"며 이명박 대통령과 자승 총무원장의 해명, 검찰 수사를 거듭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