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가 멍청하게 ip주소를 알려줘서, 해킹 당하는것같아요...그래서 ..
저처럼 해킹당하고 있다는 명확한 의심(마우스 저절로 움직짐. 화면 저절로꺼짐)
의심드는 경우는 ip주소 변경하고, 해킹툴 삭제하시고,
의심이 안 드는 경우는..좋은 백신만 깔면 된니다.
의심도 안 드는데, 해킹툴 삭제하다가, 정상 파일이 삭제되어, 해당 프로그램이
동작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고 합니다.
ip 주소 변경 방법 http://blog.naver.com/appfixworld?Redirect=Log&logNo=220245259599
v3로 제거안되는 해킹툴삭제방법 => http://blog.daum.net/tomayoon/7096409
해킹툴 삭제 쉬운 그림 설명 => http://blog.naver.com/satgatthink?Redirect=Log&logNo=130129081050

주의사항.
어떤분의 의견 :
usp10.dll lpk.dll 같은 파일은 사실 정상 파일입니다. 자주 많이 쓰이는 파일들이므로 검색되고, 삭제된다고 해서 무조건 해킹툴은 아님니다.
실제로 삭제되는 파일들의 대부분은 정상파일인 것입니다.
문제는 해커들이 근래 이 파일을 변형시켜 악성툴/바이러스로 만드는 일이
비일비재하다보니 무조건 usp10.dll lpk.dll류의 파일을 삭제하라는 본문의 팁이 퍼지기 시작했죠.
일반 프로그램에서 해당 파일을 필요로 할때, 이처럼 del 명령어 삭제를 실행하면 정상파일이 지워져, 해당 프로그램은 동작하지 않을 가능성이 농후합니다.
결국 이 방법은 임시방편일뿐, 근본적인 해결책이 아닙니다.
매일같이 정상파일들을 해킹파일로 오인해 삭제해야 하니 말이죠.
때문에 내 컴퓨터가 해킹되고 있다는 명확히 의심되는 상황에서 실행해야 효과를 보실것입니다
무엇보다 해킹 파일의 종류는 위4가지만이 아니라 훨씬 다양합니다. 모든종류의 해킹파일을
커버할 수도 없는 방법이기에 손바닥으로 하늘 가리기 입니다.
가장 좋은 방법은 뛰어난 악성코드를 프로그램 백신을 쓰는 겁니다.
좋은 백신은 해킹파일을 100%에 가깝게 잡아냅니다.
첫댓글 cd 가 아니라 cd.. 입력후에 엔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