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 | 젊은 인도인, 소비 지도를 바꾼다 | ||||||||||||||||||||||
---|---|---|---|---|---|---|---|---|---|---|---|---|---|---|---|---|---|---|---|---|---|---|---|
작성일 | 2014-03-13 | 국가 | 인도 | 작성자 | 서우성(뉴델리무역관) | ||||||||||||||||||
--> -->
젊은 인도인, 소비 지도를 바꾼다 - 인도 젊은이들의 구매 성향, 소비 위주로 변화 - - 소비 성향 강하고 구매력 높은 젊은층 공략 전략 마련이 절실 -
□ 인도 젊은이들의 성향 변화
○ 최근 인도 젊은층은 부모 세대와는 다르게 소비 중시 성향을 강하게 보이고 있어 업계의 주요 공략 대상으로 부상하고 있음. - 경제 개방 이전 인도의 부모 세대들은 저금을 미덕으로 삼아 소득의 상당 부분을 저축하는데 집중했으나, 젊은 세대의 75%는 저축보다는 자기 자신에게 투자하는 것을 우선순위로 생각하는 것으로 밝혀짐. - 국가응용경제연구소 분석에 따르면, 2000년대 후반부터 인도 젊은층의 자동차·가전 소비는 50~100%대의 소비 증가율을 기록했으며, 헬스케어, 통신, 미용, 교육, 레저 등의 서비스 부문 지출도 크게 증가함.
○ Hansa Research Group이 분석한 인도인들의 성향 분석 자료에 의하면, △ 대담하고 부유한 성격(17%) △ 자유주의자(10%) △유행 선도자(15%) 등 42%에 달하는 젊은층이 구매력이 강한 성향을 띠고 있으며 이들이 시장을 주도하고 있음. - 특히, 17%를 차지한 ‘대담하고 부유한 성격’은 관습(종교 부정, 사원 참배 거부, 구태의연한 결혼제도, 카스트)에 얽매이지 않고 자유롭게 동거를 하는 등 기존 인도인과는 다른 성향을 보이며 물질적으로도 풍족해 소비력이 매우 강함. - △ 가족 지향적(28%), △ 패기 있지만 편협한 성격(19%)이 여전히 높은 수준의 비율을 보이지만, 이들의 성향도 조금씩 변화하는 것으로 알려짐.
인도 젊은층 성향 분석
자료원: Hansa Research Group
○ 젊은 인도인들은 자신의 소비 중 32%가 의류 및 외식 지출에 사용된다고 밝혔으며, 음료 및 아이스크림(7%), 스낵류(7%), 액세서리(6%), 여행(6%), 휴대폰(6%) 등이 뒤를 이어 소비재 및 서비스산업에 대한 지출이 상당함을 시사
인도 젊은층 소비 트렌드
자료원: Hansa Research Group
○ 특히, 최근 인도 젊은층들의 모바일기기를 활용한 인터넷 사용이 대폭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빠른 정보 습득으로 소비 트렌드를 이끌어 나가려는 경향이 더 확대되고 있음. - 설문에 응답한 젊은층 중 인터넷을 사용한다는 비율이 51%에 달했으며, 사용 빈도도 증가하고 있음.
인도 젊은층의 인터넷 사용 빈도 자료원: The Marketing Whitebook 2013~2014
□ IT 및 외식산업, 인도 젊은층 변화에 발빠르게 대응
○ (IT/모바일) 인터넷과 휴대전화는 최근 인도에서 젊은이들의 상징으로 여기는데, 닐슨의 스마트폰 사용자에 관한 조사에 따르면 인도에서 현재 사용 중인 스마트폰 4000만 대 중 약 50%가 25세 이하 젊은층이 보유
연령별 스마트폰 사용 인구 비율 자료원: Nielsen Informate Mobile Insights
○ 인도에서는 유행에 민감한 젊은층에 대한 마케팅 전략 및 제품 개발이 휴대전화시장의 성패 좌우 - 삼성전자는 2만 원부터 100만 원까지 다양한 가격대의 휴대전화를 출시해 가격에 민감한 젊은층들로부터 인기를 얻었으며 Galaxy Grand, Galaxy Note 3 Neo 등 보급형 제품의 판매 전략 성공으로 점유율이 크게 확대됐음. - 2009년 60%에 가까웠던 노키아의 시장 점유율은 2013년 26%로 떨어졌는데, 삼성 휴대폰은 판매량 및 점유율이 급상승
브랜드별 인도 휴대폰 판매량 변화 자료원: Cybermedia's Voice &Data Annual Survey of the Industry 2013
○ (외식산업) 젊은이들이 외국 문화에 개방적인 성향을 띠면서 외식문화가 발달하고 있는데, 패스트푸드점이 호황을 누리고 있으며 젊은이의 87%가 자주 외식을 한다고 응답 - 일반적인 인도인들은 로띠와 같은 전통 음식을 즐기지만 젊은 여성들은 샐러드, 과일 등 건강식을 찾는 비율이 늘고 있으며 중국 음식이나 이탈리아 음식과 같은 외국 음식의 수요도 증가
16~25세 젊은이들의 외식 성향(복수응답 가능) (단위: %)
자료원: Hansa Research Group
□ 젊은층 인구, 지속 확대 전망
○ 미국 통계국의 조사에 따르면, 인도의 인구는 2050년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2025년 내에 중국을 추월해 2050년에는 16억5000만 명까지 증가할 것으로 보임. - 2030년 노동 가능 인구가 최고조에 달하기 전까지 인구 효과를 누릴 것으로 기대되며, 특히 젊은층(14세~25세)의 인구 비율은 중국보다 10%이상 높은 수준
○ 유엔 조사에서 2025년 인도의 고령화율은 10%에 머물 것으로 전망되는데 중국(17%), 러시아(22%)의 고령화율을 고려할 때 인도 젊은 세대의 구성비가 상대적으로 높을 것으로 예상됨. - 월마트, 까르푸 등 인도 진출 글로벌 유통기업들과 자국 로컬 유통업체들은 이미 젊은층을 타깃으로 설정한 전략을 실행하고 있음.
인도 인구 증가 전망
자료원: China and India, 2025
○ 인도 정치권에서도 강화되는 젊은층의 영향력을 고려해 일자리 창출 등 젊은 유권자의 표심을 얻기 위한 정책을 펴고 있음. - 오는 2014년 5월 진행될 제16대 총선에서 18~19세 유권자 수가 제 15대 총선 대비 24% 증가했으며, 18~23세 유권자 수만 해도 4870만 명에 달해 무시할 수 없는 세력으로 급성장함.
□ 시사점 및 전망
○ 인도는 평균 나이가 2010년 기준 25.7세로 다른 개발도상국에 비해 상당히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급변하는 인도 소비시장에서 성공하기 위해 젊은층을 타깃으로 한 마케팅 전략 개발이 요구됨. - (외식산업) 맥도날드, 서브웨이, KFC 등 주요 글로벌 푸드체인은 이미 인도에 특화된 메뉴를 출시해 시장을 장악한 바, 인도인의 입맛을 사로잡을 수 있는 메뉴 개발 및 출시를 통한 차별화된 전략 수립이 필요 - (IT산업) 2013년 6월, 이베이는 인도 전자상거래업체 스냅딜에 5000만 달러를 투자해 인도 전자상거래 시장에 뛰어들었고 아마존 또한 인도에 인터넷 쇼핑몰을 설립하는 등 글로벌 메이저 기업의 각축장이 되는 인도 시장에서 시장을 선점당하지 않기 위한 진출 방안 마련이 절실함.
○ 현재까지는 인도 젊은층의 외식산업, IT산업 등에 대한 수요가 높았으나 이는 이미 치열한 경쟁이 펼쳐지고 있는 산업임을 감안해 향후 수요가 증가할 산업을 미리 예측해 진출·투자하는 것이 관건 - 소셜네트워킹서비스 ‘라인(NHN)'이 유튜브 광고를 통해 인도 시장 점유율을 점진적으로 확대한 점, 펩시콜라가 200㎖ 병 제품을 단돈 8루피(160원)에 판매해 돌풍을 일으키는 점 등의 사례가 인도 시장에서 마케팅 전략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시사
자료원: The Times of India, LG경제연구소, 코트라 글로벌윈도우 관련 자료, The marketing whitebook 2013-2014, zeenews, The Financial Express, 아시아경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