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활용이 되는 품목 |
배출요령 |
재활용이 안 되는 품목 |
종이 - 신문지, 책, 노트, 복사지, 종이쇼핑백, 달력 포장지-우유팩, 종이컵 |
신문지류는 따로 모아 30cm 정도의 높이로 묶어 배출한다. 이때 일간지는 배달되어 오는 크기의 반으로 한 번 접고 일간지 사이에 끼어 오는 전단지 중 비닐 코팅이 된 것은 재활용이 안 되므로 일반 쓰레기로 분류한다. 종이가 비나 물에 젖지 않도록 주의한다. 잡지·서적류 역시 30cm 높이로 묶어 배출하는데 표지 등 비닐 코팅이 된 부분과, 스프링·테이프 등 종이 이외의 물질은 분리시킨다. 우유팩 등은 물로 헹궈 납작하게 펼친 후 묶어서 배출한다. |
비닐 코팅된 종이, 테이프나 스프링을 제거하지 않은 책자 |
유리병 - 음료수, 술병, 드링크병 |
플라스틱이나 알루미늄으로 된 뚜껑을 제거한 후 한데 모아 배출한다. |
사기류, 도자기병, 파병, 거울, 판유리, 폐타일 등 |
캔, 고철 - 음료, 식료품캔, 분유통, 부탄가스통, 에어졸통, 스테인리스, 철사 알루미늄섀시 - 양은그릇 |
내용물을 비우고 물로 헹군 후 발로 납작하게 밟아 배출한다. 특히 부탄가스나 살충제 등이 들어 있던 캔은 몸통에 구멍을 뚫어 내용물을 비운 후 배출한다. |
고무, 플라스틱이 부착되어 있는 제품, 페인트통, 폐유통 등 유해 물질이 묻어 있는 통 |
플라스틱 - 페트병, 음료수병, 식용유병, 간장병 세제용기류 - 소쿠리, 대야, 샴푸· 린스용기, 요구르트병, 주류상자, 바구니 |
내용물을 비워 물로 헹군 다음 부피가 줄어들도록 최대한 눌러 배출한다. 이때 알루미늄 고철은 따로 분리한다. 재질분류표시(리사이클링 표시 안에 숫자가 적혀 있다)가 같은 것끼리 구분해 배출한다. |
1회용 카메라, 카세트테이프, 일반 그릇, 쟁반, 욕조, 칫솔대, 화장품병 등 혼합 재질류, 전화기, 전기소켓, 다리미, 게임기, 계산기, 전선관, 파이프, 씽크대 호스, 수도관, 장판지 등 PVC류 |
의류 - 면, 순모 제품, 합성섬유류 |
단추, 지퍼 등 이물질을 제거하고 물에 젖지 않게 해서 30cm 정도의 높이로 묶어 배출한다. |
솜, 스폰지 등이 든 제품, 이불·카펫류 |
스티로폼 - 이물질이 묻지 않은 깨끗한 스티로폼 |
이물질 및 라벨을 완전히 제거한 후 안이 비치는 투명한 비닐봉지에 넣거나 묶어 배출한다. 특히 과일상자나 생선상자 등은 속을 깨끗이 비운 뒤 물로 헹구어 배출하고 이물질이 묻어 있거나 다른 재질로 코팅한 것은 재활용이 안되므로 쓰레기봉투를 이용한다. 가전제품 포장재로 쓰인 스티로폼은 판매자에게 되돌려주는 것도 방법. |
컵라면,건축용 단열재, 수산양식용 폐부자재, 코팅되거나 이물질(상표 포함)이 묻은 경우 |
전지 |
전지를 제품에서 분리하여 배출한다(구·동 민원실과 아파트(1백 세대 이상)에 분리수거함이 준비되어 있다). |
|
폐형광등 |
수은 등 형광등 안의 유해물질은 깨뜨리지 말고 폐형광등 전용함에 버린다. 구입 당시 포장되어 있던 포장재나 종이에 싸서 배출하면 더 좋다. |
|
필름류 (봉지,비닐류) |
과자·라면 봉지, 비닐봉지 등은 따로 모아 큰 봉투에 차곡차곡 넣은 후 흩어지지 않도록 묶어서 배출한다. 음식물이 묻은 것은 얼룩을 제거한 후 배출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