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t1.daumcdn.net/cfile/cafe/99D068475D8EEEFA1D)
![](https://t1.daumcdn.net/cfile/cafe/99E1B2475D8EEEFC15)
![](https://t1.daumcdn.net/cfile/cafe/9966C7475D8EEEFE20)
창원향교(전교 김혁래)는 20여 년 동안 첫 번째 정일(丁日)에 봉행해 왔던 추기석전대제를 이번에는 공부자탄신일인 9월 28일에 봉행했다. 창원시장에게 천권(薦圈)을 미리 전달하지 못해 명륜당에서 천권 전달식부터 하면서 기해년 추기석전대제를 봉행 했다.
집례가 홀기(笏記)를 읽으니 「초헌관 창원시장 허성무, 아헌관 동창원농협조합장 황성보, 종헌관 유학 남상순, 분헌관 유학 김재식, 분헌관 유학 박성국, 집례 유학 김호준, 당하집례 유학 이경애, 대축 유학 이필위, 찬장 유학 김기준, 알자 유학 김종열, 찬인 유학 안희상, 찬인 유학 강정철, 묘사 유학 김도중, 묘사 유학 서정목, 묘사 유학 정영낙, 사촉 유학 강원석, 사촉 유학 이근관, 사촉 유학 우철영, 봉향 유학 조덕제, 봉향 유학 정연호, 봉향 유학 진인영, 봉노 유학 황영주, 봉노 유학 황상규, 봉노 유학 허상회, 봉작 유학 정상범, 봉작 유학 이노길, 봉작 유학 임종철, 전작 유학 김성곤, 전작 유학 김판시, 전작 유학 김현무, 사준 유학 정자이, 사준 유학 서원자, 사준 유학 김남원, 진설 유학 김덕, 척기 유학 박종훈, 전사관 유학 이길재 학생 유학 김주원, 학생 유학 이정록 원(原)」 창홀(唱笏)의 순서대로 대성전에 올랐다.
김혁래 전교는 “이번 추기석전대제가 9월 7일 정미(丁未)일에 봉행하지 않고 공부자탄신일인 오늘로 늦추어 봉행하게 된 것은 태풍 등의 영향으로 창원향교 성역화 공사가 늦어졌기 때문입니다. 창원향교를 둘러싼 담장이 허물어져 전통방식의 담장으로 새롭게 꾸몄고 마당도 환경 친화적 블록으로 단장을 했으며, 홍살문과 대문도 새롭게 세웠고, 유림회관의 출입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수직승강기를 신설 했습니다. 대대적 공사가 끝나니 향교의 전체적 분위기가 밝아져 오늘의 추기석전대제 봉행이 더욱 빛나는 것 갔습니다. 이처럼 물심양면으로 창원향교를 위해 애써 주신 창원시장을 초헌관으로 모셨습니다.”고 했다.
허성무 창원시장은 “시장이라는 직을 떠나 창원향교 석전대제의 초헌관으로 불려 주셔서 개인적으로도 큰 영광이라 생각하고 있습니다. 특히 오늘 이 행사를 위해 힘써주신 김혁래 전교와 장의님들의 노고에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100만 인구가 넘는 창원시에 위치한 창원향교는 명실상부한 경남을 대표하는 향교인데 이제야 아름답게 제자리를 찾아가는 모습을 홍살문을 지나면서 보게 됐습니다. 유림의 어르신들이 성현의 말씀을 따르며 기로연 등, 행사를 이행 하면서 새 세대들에게 전통을 전해 주시는 모습을 볼 때 창원향교가 역할을 잘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오늘 이 성현들의 말씀을 받드는 추기석전대제를 통해서 많은 유림들의 가슴에 뜨거운 기운이 충만하기를 바랍니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