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48년 9월 22일에 설립된 작센 선제후 모리츠의 궁정 악단이 시초이며, 초대 악장(Kapellmeister)으로 요한
발터가 임명되었다. 발터 이후에는 르 메스트르, 스칸델로, 피넬리, 미하엘 등이 카펠마이스터 직위를 계승했으며,
하인리히 쉬츠는 최초로 궁정악장(Hofkapellmeister)을 역임했다. 18세기를 거치면서 편성도 확대되었고, 종교
의식이나 궁정극장에서 상연되던 오페라 등 무대 작품 공연에도 동원되었다.
베버와 바그너도 궁정악장을 역임했으며, 1841년에는 고트프리트 젬퍼의 설계로 건립된 작센 국립오페라극장
(통칭 젬퍼오퍼)의 상주 악단이 되었다. 19세기 후반에는 율리우스 리츠나 프란츠 뷜너, 에른스트 폰 슈흐 등 근대
지휘법의 기초를 닦은 명사들이 활동했다. 슈흐의 후임으로는 프리츠 라이너와 프리츠 부슈, 칼 뵘 등이 활동했으며,
제3제국 시대에도 제국 관현악단의 일원으로 존속했다. 그러나 1944년에 괴벨스의 총동원령에 의해 활동이 정지
되었으며, 1945년 미국과 영국 공군의 드레스덴 대공습으로 인해 상주 공연장이었던 국립오페라극장이 전소되었다.
종전 후 요제프 카일베르트를 카펠마이스터로 맞아들여 활동을 재개했으며, 이어 루돌프 켐페와 프란츠 콘비츠니,
로브로 폰 마타치치 등이 직위를 이어받았다. 1985년에 젬퍼오퍼의 복구 공사가 완료되자 상주 악단으로 다시
들어갔으며, 오페라 공연 때는 드레스덴 국립오페라극장 관현악단이라는 명칭으로 출연하고 있다. 2012년부터는
독일 출신의 크리스티안 틸레만이 카펠마이스터로 부임해 현재까지 재직 중이다.
역사가 굉장히 오래된 악단인 만큼, 독일 음악사에 끼친 영향도 대단히 크다. 초기에는 주로 이탈리아 출신 음악가
들을 악장으로 초빙해 독일에 이탈리아 음악을 유입시키는 역할을 자주 수행했고, 19세기 초반에는 베버와 바그너에 의해 독일 낭만주의 오페라가 기틀을 닦는 데 이바지하기도 했다. 리하르트 슈트라우스도 자신의 오페라와 교향시를
직접 지휘해 자주 공연했으며, 뵘과 켐페, 콘비츠니는 오페라 외에 콘서트 활동에 주력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했다.
녹음 활동도 1930년대부터 활발하게 진행했으며, 전후 도이체 그라모폰과 EMI에서 리하르트 슈트라우스의 관현악 작품을 중심으로 여러 장의 음반들을 발매했다. 냉전 시대에는 동독 국영 음반사인 도이체 샬플라텐에서 대부분의
녹음을 제작했으며, 특히 블롬슈테트가 남긴 베토벤 교향곡 전집과 브루크너 교향곡들이 유명하다. 시노폴리도
도이체 그라모폰에 로베르트 슈만과 브루크너, 슈트라우스 작품 등을 취입했으며, 루이시도 소니 클래시컬에
슈트라우스의 교향시를 녹음하고 있다. 최근에는 정명훈이 일본 바이올리니스트 가시모토 다이신과 소니 클래시컬에 베토벤 바이올린 협주곡을 녹음했다.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는 보수적인 악단이라 현대 작품의 공연은 많지 않지만,
독일 음악의 연주에 있어서는 가장 정통적이라는 평을 받고 있다. 이는 사회주의 체제 때에도 마찬가지였으며,
지금도 어느 지휘자와 상관 없이 고풍스러운 음향을 유지하고 있다. 주로 중부독일 방송국(MDR)에서 연주회와
오페라 공연을 중계하고 있으며, 단원들의 실내악 연주회와 프라우엔 교회에서 진행하는 종교음악 연주회도 개최
하고 있다. 출처: 위키페디아.
1548년 9월 22일 창단된 슈타츠카펠레 드레스덴은 세계 메이저급 오케스트라 중 가장 오랜 역사를 가지고
젬퍼 오퍼의 상주악단으로 독일이 통일되기 전 서독과 맞서 동독에는 라이프치히 게반트하우스 오케스트라와 함께
서독의 베를린 필에 대적하여 동독인들의 자존심과 문화의 긍지를 심어준다. 동독 시절에도 미국 출생 스웨덴계
브롬슈테트를 수석 지휘자로 영입하는 열린 사고로 오케스트라 발전을 위해 힘을 쏟고 1989년 통독 이후에도
이태리 출신으로 베를린에서 2001년 오페라 아이다를 지휘하다 심장마비로 작고한 주세페 시노폴리를 수석
지휘자로 임명하여 시노폴리와 오페라는 물론 폭넓은 오케스트라 작품에 해박한 음악적 결과물을 음원과 공연으로
이루어낸다. 시노폴리의 급작스러운 서거로 한동안 제자리를 찾지 못하고 하이팅크과 루이지의 과도기를 거쳐
2012년 독일 전통적 사고력의 정체성을 지닌 크리스티안 틸레만을 수석 지휘자로 이후 정명훈을 수석 객원
지휘자로 임명하여 새로운 도약의 전기를 마련한다.
독일은 전통적으로 지방자치가 가장 잘 발전을 이룬 나라로 중세 영주 체제의 각 지방 발전을 전통적으로 이어져
내려와 현대에서도 다양한 지방 문화들이 서로 존중받고 발전시키고 있다. 오케스트라도 각 도시의 활발한 재정
후원으로 발전했고 2차 세계대전 이후 고난의 시기에도 각 지방 방송국이 중심이 되어 새로운 방송 교향악단
(MDR Sinfonieorchester, Rundfunk-Sinfonieorchester Berlin, NDR Sinfonieorchester,
WDR Sinfonieorchester Köln, Symphonieorchester des Bayerischen Rundfunks,
SWR Sinfonieorchester, hr-Sinfonieorchester)을 설립하여 문화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사회 균형
발전에 힘 쏟아 이제는 세계에서 가장 사회가 안정적으로 균형 발전을 이룬 모범국가로 우뚝 선다. 문화와 교육
발전을 국가적 과제 삼아 국가가 책임지고 발전에 지원하는 시스템이 작동했기 때문에 세계에서 가장 활발한
오케스트라 발전을 이룰 수 있었다. 독일 오케스트라의 특징은 미국 오케스트라들처럼 재정이 풍족하지는 않지만
자방 정부, 지방 방송국의 안정적 지원에 힘입어 풍족한 단원 구성으로 오케스트라를 조직하여 지방문화 발전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람을 제공하고 시민 삶에 문화의 풍요를 제공한다. 각 도시 주요 오케스트라는 5관 편성을
기본으로 하여 오페라, 발레 전속 오케스트라들이 콘서트 오케스트라와 분리되어 있고 라이프치히 게반트 하우스
오케스트라와 슈타츠카펠레 드레스덴처럼 오페라와 콘서트를 병행하는 오케스트라들은 150- 200명 가까운
단원으로 두 개의 오케스트라가 작동할 수 있는 넉넉한 조직의 힘을 갖는다. 오케스트라와 지방 정부의 관계는
지원하되 간섭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강력한 인텐단트의 조직과 시스템에 의한 경영으로 투명성과 공정성을
보장하고 있다.
2018/19 시즌은 원로 지휘자 91세의 Herbert Blomstedt는 11월 10, 11, 12일 드레스덴에서 3일 공연과
14일부터 21일까지 6회의 독일 지방 투어를 하는 초인적 일정이 잡혀있다. Herbert Blomstedt는 2017/18
시즌에서도 젊은 지휘자들보다도 광폭의 연주 활동이 있었는데 2018/19 시즌에도 세계 유수의 메이저급
오케스트라들이 앞다투어 객원 지휘를 요청한다. 빈 필 역시 Blomstedt와 9월 22일부터 10월 2일까지 8번의
살인적 공연이 예정되어 인간 능력 한계의 끝이 어디까지인가 의문을 가지게 한다. 2018/19 시즌 두번의 중국과
일본 아시아 투어가 예정되어 있는데 중국은 두 번의 공연이 예정되어 있다. 2019년 5월 중국 투어는 상하이,
광저우, 베이징으로 오스트리아 출신 피아니스트 루돌프 부흐빈더의 지휘와 피아노로 베토벤 피아노 협주곡 5곡
전곡을 모두 연주할 예정이다. Christoph Eschenba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