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솔루션 (009830) : 페로브스카이트 태양광, 네옴 시티
한화솔루션 큐셀 부문 컨소시엄은 지난 23일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과 ‘고내구성을 갖춘 고효율
페로브스카이트-결정질 실리콘 탠덤 태양광 셀 기반 모듈 공정 기술개발’ 과제 수행 협약을 체결했다고 27일 밝혔다.
이 컨소시엄은 한화큐셀 포함해 (주)한화, 에너지기술연구원, 산코코리아, 고려대학교 등 8개 기업 및 기관이 참여했다.
이번 과제는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이 시행하는 ‘2021년도 신재생에너지핵심기술개발사업
3차 신규지원 연구개발과제’의 일환으로 진행된다. 해외 경쟁업체와 기술격차 확대 및 차세대 모듈의 상용화
촉진으로 글로벌 시장을 선도하기 위해 추진됐다. 한화큐셀 컨소시엄은 올해 말부터 3년 간
이 국책과제에서 차세대 셀 기반 대면적 모듈 공정 및 설비 기술과 소재 상업화 연구를 진행한다.
또한 이번 과제를 통해 중소기업 및 학계와 태양광 소재 부품 장비의 상생을 위한 생태계 조성에도 기여할 계획이다.
태양광 모듈은 전기를 생산하는 자재로 태양광 셀을 모아 만든다. 한화큐셀은 지난해 12월에 차세대 태양광 셀로
주목 받는 ‘페로브스카이트 기반 탠덤 셀’을 개발하는 국책과제의 연구기관으로 선정돼 중소기업 및 학계와
공동 연구 중에 있다. 차세대 태양광 기술로 주목받고 있는 페로브스카이트 기반 탠덤 셀은 기준
실리콘 태양광 셀 위에 페로브스카이트를 쌓아 만드는데 이론 한계 효율이 44%로
기존 실리콘계 태양광 셀의 한계 효율인 29%를 크게 상회한다.
한화큐셀 관계자는 “차세대 태양광 셀과 모듈의 선도적 상업화는 태양광 소재 부품 장비 산업을 포함한
한국 태양광 생태계에 큰 기회가 될 것”이라며 “한국이 차세대 태양광 시장을 선도할 수 있도록
총력을 기울일 예정”이라고 말했다.
한편 한화큐셀은 국제 표준 품질 기준의 2~3배가 넘는 엄격한 품질 기준과 기술력으로 세계 주요
태양과 시장에서 인정받고 있다.
글로벌 에너지 컨설팅 기관인 우드맥킨지에 따르면 한화큐셀은 미국 주택용과 상업용 시장에서 각각 3년, 2년 간
시장점유율 1위를 달성했다. 한화큐셀은 유럽에서 8년, 호주에서 6년 연속으로 태양광 전문 리서치 기관인
EuPD리서치가 선정한 ‘태양광 톱 브랜드’를 수상했다. 또한 독일 유력 경제지인 포커스 머니가 주관한
‘최고 평판 어워드’에서 2년 연속으로 전기산업 분야 1위 기업으로 선정되기도 했다.
=========================================================
사우디 아라비아 네옴 시티
현재 사우디아라비아에는 도로와 편의시설을 모조리 지하에 몰아넣은 미래도시가 건설 중인다.
2030년 완공을 목표로 600조가 투입된 대규모 네옴 시티 프로젝트다.
사우디 정부는 2016년 석유 의존도를 낮추고 4차 산업혁명 등 미래 준비를 목표로 ‘사우디 비전 2030’을 선포했다.
사우디를 ‘석유 국가’에서 첨단산업국가로 변신시키겠다는 구상이 담겼다.
이 계획에 무려 7000억달러(837조원)을 투입할 예정인데, 그중 신도시 조성에만 600조를 투입하기로 한 것.
지난 2017년, 무함마드 빈 살만 사우디 아라비아 왕세자는 네옴에 들어설 친환경 탄소제로 도시
‘더 라인(The Line)’을 공식 발표했다.
빈 살만 왕세자는 사우디 왕위 계승 서열 1위로, 연로한 부친을 대신해 사실상 사우디를 지배하고 있는 인물이다.
NEOM CITY
‘더 라인’은 네옴 일대의 네 개 생태지구를 말 그대로 직선 170km를 가로지르는 형태로 건설된다.
규모는 서울 크기의 44배에 달한다.
도시는 자연환경의 95% 이상을 보존하는 인간중심 거주 구역을 만들고, 100% 천연에너지를 이용한다.
또 AI 등을 결합하여 운송과 네트워크, 유틸리티 등 도시 운영에 필요한 인프라를 구축한다.
지상의 도로를 모조리 없애 지하에 하이퍼루프(초고속 진공 튜브 캡슐 열차)와 자율주행차가 달릴 수 있는
터널을 설치한다. 병원과 학교, 각종 편의시설과 산업 및 상업 시설도 모두 지하 1층에 위치한다.
지상에는 오로지 녹지공원과 주거용 집만 있게 된다.
사우디 아라비아 네옴 시티
영화에나 등장할 법한 미래형 도시 건설 소식에 전 세계 건설업계가 들썩였다.
특히 국내 건설업계는 더 분주하게 움직였다. 사우디는 우리 기업의 해외 프로젝트 수주 1위 국가로 꼽히는
나라이기 때문이다.
이번 네옴 스마트 시티 건설에도 한화솔루션과 한화건설, 삼성물산, 대림산업 등의 대기업과 중소기업
수십여 곳이 수주를 따내 참여 중이다.
=========================================================
■ 미래 신사업과 연관되는 신소재 개발 중점
한화솔루션 케미칼 부문은 운동화 밑창, 태양전지 시트에 들어가는 EVA 등 세계적으로 경쟁력 있는 고부가
특화제품을 지속개발하고 있다. 고부가가치 PO 제품인 EVA 분야에서는 세계 2위의 생산 규모로
세계적인 경쟁력을 확보했다.
최근에는 국내 최초로 전량 수입에 의존하던 초고압 케이블용 반도전 소재의 국산화에 성공했다.
초고압 케이블의 핵심 소재인 EBA(Ethylene Butylacrylate Copolymer) 시험 생산을 완료하고
울산공장에서 올해 2분기부터 상업 생산에 나선다.
에틸렌 기반의 EBA는 높은 품질이 요구되는 전력 케이블에 주로 사용되는 고부가 소재다.
올해 EBA 생산이 본격화되면 초고압 케이블의 또 다른 핵심소재인 전력손실 방지용 절연체
XLPE(Cross Linked-Polyethylene)와 함께 패키지화해 중국, 중동 등 해외 주요 시장에 수출을 늘여갈 계획이다.
글로벌 EBA 시장은 2021년 기준 연간 7만톤 규모다. 각국의 풍력, 태양광 등 재생에너지 발전소 인프라 투자 및 노후 전력망 교체에 따른 초고압 케이블 수요 확대로 급격히 성장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연간 6000톤 이상의 EBA가 쓰이고 있어 매년 최대 150억원의 수입대체 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한화솔루션은 탄소 포집을 위한 고효율 탄소분자체 개발에 나서는 등 잇따라 고부가 소재의 국산화를 추진하고 있다.
한화솔루션 관계자는 “탄소중립 시대를 맞아 에너지 효율이 우수한 케이블이 각광받고 있어 초고압 케이블의 핵심 소재인 EBA 국산화가 더욱 의미를 갖게 되었다”며, “독자적인 소재개발, 기술 역량을 활용해 고품질 케이블용 소재 포트폴리오를 다양화하는 등 신재생에너지 발전 인프라 시장을 공략해갈 것”이라고 말했다.
■ 다운스트림 집중해 수익성 개선
올해 역시 태양광 사업은 다운스트림(발전사업) 중심으로 집중할 계획이다. 수익성이 높은 다운스트림에
집중해 태양광사업의 마진율을 높인다는 전략이다.
셀 및 모듈 생산의 미드스트림에서 발전소 건설 및 운영은 물론 전력 리테일에 이르는
다운스트림의 벨류체인을 확보하며 주요 글로벌 마켓에서 사업을 추진할 방침이다.
한화솔루션 관계자는 “우선 기본적으로 기존 태양광 셀과 모듈 등에서 벗어나 다운스트림 중심으로 집중할 계획”이라며
“원자재 등 대외적인 이슈를 컨트롤하기는 어렵지만 즉각 대응하고 경쟁력을 강화해 수익을 개선할 것”이라고 말했다.
■ 전기차 시대 대비 가성소다 생산 설비 증설
가성소다는 2차전지의 핵심 소재인 양극재 생산 공정에서 불순물 제거를 위해 필수적으로 쓰인다.
한화솔루션은 전기자동차 산업의 급격한 성장에 대비해 2차전지와 전기차용 경량 소재 등의 제조에 필수적인 가성소다 생산 설비 증설을 추진 중이다. 3380억원을 투자해 여수공장 내 4만2900㎡(약 1만3000평)의 부지에 CA(클로르-알칼리) 생산 설비를 늘릴 계획이다.
이번 투자로 늘어나는 27만톤을 합쳐 연산 111만톤의 가성소다 생산 시설을 구축, 국내 1위는 물론 글로벌 주요 생산 업체로 도약하게 된다.
가성소다 생산 확대에 따라 부산물인 염소 생산량도 25만톤 늘어난다. 염소와 에틸렌을 반응시켜 PVC(폴리염화비닐)의 원료로 사용하는 EDC(염화에틸렌) 생산 역시 28만톤 이상 증가한다. 한화솔루션은 추가 확보한 EDC 물량을 기반으로 PVC 설비 증설을 적극 검토 중이다.
남이현 한화솔루션 대표는 “2025년 상반기 증설 물량의 상업생산이 시작되면 연간 3000억원 이상의 추가 매출이 발생할 것으로 기대된다”며 “재생에너지 분야의 신규 투자와 함께 2차전지 등 미래 산업과 연계한 케미칼 사업에 집중해 안정적인 수익을 낼 수 있도록 기존 사업 포트폴리오를 고도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화솔루션 (009830) : 페로브스카이트 태양광, 네옴 시티
▲ 부띠크 강남 ▲
이 진 (실장) : 010-3242-9883
카카오톡 id : cjclub9
LP ◎ STOCK : http://cafe.daum.net/artmore
네이버 카페: http://cafe.naver.com/artmore
페이스북 : http://facebook.com/cjclub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