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사업관리 업무지침서
제90조(공정관리)
② 건설사업관리기술자는 공사 착공일로부터 30일 안에 시공자로부터 공정관리계획서를 제출받아 제출받은 날로부터 14일 이내에 검토하여 승인하고 이를 발주청에 제출하여야 하며 다음 각 호의 사항을 검토․확인 하여야 한다.
1. 시공자의 공정관리 기법이 공사의 규모, 특성에 적합한지 여부
2. 계약서, 시방서 등에 공정관리 기법이 명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명시된 공정관리 기법으로 시행되도록 조치
3. 계약서, 시방서 등에 공정관리 기법이 명시되어 있지 않았을 경우, 단순한 공종 및 보통의 공종 공사인 경우 공사조건에 적합한 공정관리 기법을 적용토록 하고, 복잡한 공종의 공사 또는 건설사업관리기술자가 PERT/CPM 이론을 기본으로 한 공정관리가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PERT/CPM 기법에 의한 공정관리를 적용토록 조치
공정표를 작성하는 방법은 동일하게 Network Diagram에 의해 작성하면 됩니다. 공사에 대한 작업을 Activity로 분류하고, 각 Activity에 대해 선후행을 연결(Logic Network)한 다음 각 Activity의 Duration을 산정하여 공정표를 작성하면 됩니다.
“PERT/CPM 기법에 의한 공정관리”라는 것은 두 가지로 의미로 생각해 볼 수 있는데요. 첫 번째는 PERT/CPM이란 단어를 각각 고려하는 것입니다. “PERT 또는 CPM 기법을 적용해라”라는 의미로 작성했다고 볼 수 있죠. 이 경우는 해당 프로젝트에 적합한 기법을 사용하면 되니 해석에 문제가 없습니다.
문제는 “PERT/CPM기법”이라는 것이 한 단어로 사용될 경우인데요. 제 생각에는 이런 기법이 특정하게 정의되어 있는 것 같지는 않고, ‘주요 기법은 CPM기법을 따르되 Duration 적정성 혹은 준공일 준수 가능성을 검토 및 평가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PERT기법을 적용하라’는 의미인 것 같습니다
“CPM기법(Critical Path Method)”은 일정에 여유(Total Float)가 없는 Critical Activity들의 경로(Path)를 분석하여 전체 프로젝트 일정을 관리하는 방법입니다. (이 경우는 Activity Duration은 확정값으로 Total Float 계산이 가능합니다.)
Activity의 Duration을 확정값으로 보지 않고 확률변수로 계산하여 전체 프로젝트의 준공일을 검토하는 기법이“PERT기법(Program Evaluation Review Technique)”
(PERT는 베타 확률분포(Beta distribution)를 따라 “기대일=(낙관치+4x최빈치+비관치)/6”으로, “표준편차=(비관치-낙관치)/6”으로 계산합니다.) 각 Activity Duration의 표준편차를 계산하면 프로젝트 전체기간이 갖는 분포는 Longest Path Activity 표준편차의 합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Activity Duration 분포는 베타분포를 따르지만 프로젝트 전체기간은 정규분포(Normal Distribution)를 따른다고 가정하여 Longest Path의 표준편차 값으로 프로젝트 전체기간에 대한 달성가능성을 검토할 수 있습니다.
PERT의 장점은 각 Activity에 대한 확률변수를 고려하여 프로젝트 전체기간이 검토되었으니 준공일 달성 가능성에 대해 발주자와 협의 시 신뢰도 높은 자료가 될 수 있습니다. 또한 Activity가 확률변수에 따른 Duration값에 의해 Longest Path가 될 수 있는 확률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반면에 각 Activity Duration에 대한 비관치, 최빈치, 낙관치에 대한 근거자료를 충분히 확보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습니다.
참고로 공정표 작성 시 Activity Duration 산정방법을 PMBOK 6th(Project Management Body of Knowledge)에서는 아래 8가지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5판에서는 6가지였는데 6판에서는 8가지로 늘어나고 내용도 약간 수정이 되었네요.)
1. 전문가 판단(Expert Judgement)
2. 유사산정(Analogous Estimating)
3. 모수산정(Parametric Estimating)
4. 3점산정(Three-Point Estimating)
5. 상향식 산정(Bottom-Up Estimating)
6. 데이터분석(Data Analysis)
7. 의사결정(Decision Making)
8. 회의(Meetings)
이 중 4번째 3점산정 방식에서 5판은 삼각분포(tE=(tO+tM+tP)/3)와 베타분포(tE=(tO+tM+tP)/6)를 안내했는데 6판은 삼각분포만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PMBOK 6th (Project Management Body of Knowled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