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lmonary thromboembolism
심부정맥혈전이 대부분의 원인이다.
위험요인
Immobilization
입원/침상에서의 안정
뇌졸중/척수 손상
긴 여행
최근의 수술
외상(특히 하지나 골반)
비만
심장질환
화상
심부정맥 혈전증이나 폐색전증의 과거력
Hypercoagulable의 상태
임신
protein C 부족
protein S 부족
antithrombin III 부족
악성종양
에스트로젠 치료
T Trauma
H Hypercoagulable, hormone replacement
R Recreational drugs(IV drugs)
O Old age( > 40 세)
M Malignancy
B Birth control pill, blood group A
S Surgery, smoking
I Immobilization
S Sickness
[임상양상]
흉통(특히 흉막성), 호흡곤란, 빠른 호흡(>16)
호흡곤란
흉통, 늑막성
불안
기침
객혈
식은땀
흉통, 비늑막성
실신
빈호흡 >16/분
Rales
Accentuated second sound
빈맥 >100/분
발열 >37.8° C
식은땀
S3, S4 gallop
혈전정맥염
하지부종
심잡음
청색증
[진단]
신체검진
우측심장 이상소견(경정맥 확대, 심음 중 폐음증가 등등)
friction rub < 20%
국소 천명음
폐색전증의 분류: 혈역학적 지표
massive PTE
저혈압, 저산소증
40~50%정도가 막혔을 때 생기며 치료에 불응한다.
폐부종 환자 중에서 5%정도이지만 사망률은 40%이다.
심폐질환을 가진 사람은 더 적게 막혀도 같은 증상을 보일 수 있다.
sub-massive PTE
치료하면 사망률은 2%이지만 치료하지 않으면 20 %정도이다.
일부에서는 혈역학적 지표는 정상이지만 이학적 검사와 심초음파상에서 우심실 이상을 보일수 있다. 이 경우 치료하지 않으면 우심실 경색이 오게 된다.
lung scan에서 30%이상 defect를 보인다.
적극적인 치료를 필요로 한다.
오직 폐혈관 조영술에서 음성이 나와야 폐색전증을 배제할 수 있다.
EKG
심낭염과 심근경색을 배제하는데 유용하다.
비특이적 ST-T 변화와 동성빈맥이 가장 많다.
T-wave inversion in precordial lead
New right bundle branch block
P-pulmonale
S1Q3T3
Clockwise axis rotation
Atrial fibrillation, flutter ......
chest X-ray
기흉과 폐렴 감별에 좋다.
호흡곤란이 있고 저산소증이 있는데 chest가 정상이면 폐색전증을 강력히 시사한다.
PTE의 chest X-ray 소견
ABGA
Hypoxemia는 90%이상에서 있지만 PaO2가 정상일 수 있다.
PaO2가 70mmHg이하이고 chest가 정상이면 폐색전증을 강력히 의심한다.
A-a gradient( = 713XFiO2 -1.25 X PaCO2 - PaO2): 25%에서 정상이며 노인 환자에서는 유용성이 떨어진다.
생화학적 검사
별로 유용한 것이 없다.
D- dimer < 500 U/ml : Strong evidence against thrombosis( 음성 예측율: 90 %)
Imaging study
Imaging Study심초음파
우심방, 우심실, 근위 폐동맥의 색전을 볼 수 있다.
흉부 대동맥질환을 감별할 수 있다.
우심실 부전이 있고 혈역학적 상태가 정상이면 집중적인 감시와 적극적이고 침습적인 치료를 고려한다.
혈역학적으로 불안정한 환자에서 유용하다. 시술자의 술기에 의존한다.
Duplex USG& IPG
근위 심부정맥 혈전증에서 진단율이 높다. 원위 심부정맥에서는 진단율이 낮다.
폐색전증을 일으킬만한 심부정맥 혈전증은 대부분 근위부까지 침범한다.
V/Q Scan
High suspicion + High probability -> 96% 예측력
low suspicion + low suspicion -> 96% 예측력 정상이거나 가능성이 높을 때만 믿을만하다.
Spiral CT
sensitivity : 82~90%, specificity : 93~96% subsegmental 페색전증에서 정확성이 떨어진다.
MRI
sensitivity : 75~100%, specificity : 95~100% 불안정한 환자에게서는 쓸 수 없다.
Pul. Angio
음성이면 진단을 배제할 수 있다. 사망율 : 0.5 %, 이환율 : 4 %
폐색전증이 강하게 의심되지만 다른 검사에서 음성일 때 검사한다.
[치료]
PTE의 치료
Heparin
5000U(80U/kg) bolus 주입 후 1280U/hr(18U/kg/hr) infusion
6시간마다 aPTT 검사. aPTT : 50-90초
Warfarin
heparin 주입 후 24시간 이후에 5-10mg P.O. 매일 PT 검사. PT(INR): 2-3
heparin과 적어도 4일은 함께 사용하고 적어도 3개월은 쓴다.
Thrombolytics
1. Massive PTE with refractory hypoxemia, circulatory collapse
2. Moderate to severe RV dysfunction
Urokinase
4400U/kg loading 후 12-24시간동안 4400U/kg/hr
Streptokinase
250,000U loading 후 24시간동안 100,000U/hr
r-tPA
100mg을 2시간에 걸쳐서 준다.
* Heparin과 warfarin은 Thrombolytics infusion이 끝난 후 시작한다.
Embolectomy
최근 Unstable patients에서 thrombolytics 사용 대신 시술하는 경향
IVC Filter
항응고제 사용 중 발생하는 Recurrent PTE와 항응고제를 사용할 수 없는 환자
* Septic PTE/DVT: 항응고제,와 항생제 사용. septic focus 제거, 필요시 감염된 정맥 제거.
[합병증/예후]
조기 진단과 치료 받은 경우 예후는 좋다.
재발에 의한 사망률 또한 낮다(<3%).
대부분의 생존자에서 관류장애도 소실됨.
예방법
심부정맥혈전증의 발생을 막음으로 폐동맥 색전증의 발생을 줄일 수 있다.
저용량 헤파린
입원중인 환자로 심부정맥혈전증의 위험인자를 지닌 경우
복부, 혹은 흉부 수술을 받은 40세 이상 환자
intermittent pneumatic compression of calves, thigh
항응고치료: warfarin, low MW hepar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