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정함에 숙고 편
Paṭikūlamanasikāra pabbaṁ 빠띠꾸울라마나시까-라 빱방
뿌나 짜빠랑, 빅카웨-, 빅쿠
Puna caparaṁ, bhikkhave, bhikkhu
이마메-와 까-양 웃당 빠-다딸라-
imameva kāyaṁ uddhaṁ pādatalā
아도- 께-사맛타까- 따짜빠리얀땅
adho kesamatthakā tacapariyantaṁ
뿌-랑 나-납빠까-랏사 아수찌노- 빳짜웩카띠
pūraṁ nānappakārassa asucino paccavekkhati
다시 빅쿠들이여,
피부로 둘러싸이고 갖가지 더러운 것들로 가득 찬 이 몸을
발바닥부터 위로, 머리털에서 아래로 반조한다.
앗티 이마스밍 까-예-
‘atthi imasmiṁ kāye
께-사- 로-마- 나카- 단따- 따쪼-,
kesā lomā nakhā dantā taco,
망상 나하-루 앗티 앗티민장 왁깡,
maṁsaṁ nahāru aṭṭhi aṭṭhimiñjaṁ vakkaṁ,
하다양 야까낭 낄로-마깡 삐하깡 빱파-상,
hadayaṁ yakanaṁ kilomakaṁ pihakaṁ papphāsaṁ,
안땅 안따구낭 우다리양 까리-상 맛탈룽강,
antaṁ antaguṇaṁ udariyaṁ karīsaṁ matthaluṅgaṁ,
삣땅 셈항 뿝보- 로-히땅 세-도- 메-도-,
pittaṁ semhaṁ pubbo lohitaṁ sedo medo,
앗수 와사- 케엘로- 싱가-니까- 라시까- 뭇딴띠.
assu vasā kheḷo siṅghāṇikā lasikā muttan’ti.
이 몸에는 머리털, 몸 털, 손발톱, 이, 피부,
살, 힘줄, 뼈, 골수, 콩팥,
심장, 간, 근막, 비장, 폐,
내장, 장간막, 위장 속 음식, 똥, 뇌,
담즙, 가래, 고름, 피, 땀, 굳기름,
눈물, 기름, 침, 콧물, 관절액, 오줌이 있다.
세이야타-삐, 빅카웨-,
Seyyathāpi, bhikkhave,
우바또-무카- 뿌또올리
ubhatomukhā putoḷi
뿌-라- 나-나-위히땃사 단냣사,
pūrā nānāvihitassa dhaññassa,
세이야티당 사알리-낭 위-히-낭 묵가-낭
seyyathidaṁ sālīnaṁ vīhīnaṁ muggānaṁ
마-사-낭 띨라-낭 딴둘라-낭.
māsānaṁ tilānaṁ taṇḍulānaṁ.
따메-낭 짝쿠마- 뿌리소- 문찌뜨와- 빳짜웩케이야
Tamenaṁ cakkhumā puriso muñcitvā paccavekkheyya
이메- 사알리- 이메- 위-히- 이메- 묵가-
‘ime sālī, ime vīhī ime muggā
이메- 마-사- 이메- 띨라- 이메- 딴둘라-띠.
ime māsā ime tilā ime taṇḍulā’ti.
에-와메-와 코-, 빅카웨-, 빅쿠
Evameva kho, bhikkhave, bhikkhu
이마에-와 까-양 웃당 빠-다딸라-
imameva kāyaṁ uddhaṁ pādatalā
아도- 께-사맛타까- 따짜빠리얀땅
adho kesamatthakā tacapariyantaṁ
뿌-랑 나-납빠까-랏사 아수찌노- 빳짜웩카띠
pūraṁ nānappakārassa asucino paccavekkhati
빅쿠들이여, 마치 양쪽으로 열려 있는 자루에
밭벼, 벼, 녹두, 강낭콩, 참깨, 흰쌀 같은 곡식이 들어 있는데
시력이 좋은 사람이 자루를 열고
‘이것은 밭벼, 이것은 벼, 이것은 녹두, 이것은 강낭콩,
이것은 참깨, 이것은 흰쌀이다’라고 관찰하듯이
마찬가지로, 빅쿠는 피부로 둘러싸이고
갖가지 더러운 것들로 가득 찬 바로 이 몸을
발바닥부터 위로, 머리털부터 아래로 관찰한다.
앗티 이마스밍 까-예-
‘atthi imasmiṁ kāye
께-사- 로-마- 나카- 단따- 따쪼-,
kesā lomā nakhā dantā taco,
망상 나하-루 앗티 앗티민장 왁깡,
maṁsaṁ nahāru aṭṭhi aṭṭhimiñjaṁ vakkaṁ,
하다양 야까낭 낄로-마깡 삐하깡 빱파-상,
hadayaṁ yakanaṁ kilomakaṁ pihakaṁ papphāsaṁ,
안땅 안따구낭 우다리양 까리-상 맛탈룽강,
antaṁ antaguṇaṁ udariyaṁ karīsaṁ matthaluṅgaṁ,
삣땅 셈항 뿝보- 로-히땅 세-도- 메-도-,
pittaṁ semhaṁ pubbo lohitaṁ sedo medo,
앗수 와사- 케엘로- 싱가-니까- 라시까- 뭇딴띠.
assu vasā kheḷo siṅghāṇikā lasikā muttan’ti.
이 몸에는 머리털, 몸털, 손발톱, 이, 피부,
살, 힘줄, 뼈, 골수, 콩팥,
심장, 간, 근막, 비장, 폐,
내장, 장간막, 위장 속 음식, 똥, 뇌,
담즙, 가래, 고름, 피, 땀, 굳기름,
눈물, 기름, 침, 콧물, 관절액, 오줌이 있다.
이띠 앗잣땅 와- 까-예- 까-야-누빳시- 위하라띠,
Iti ajjhattaṁ vā kāye kāyānupassī viharati,
바힛다- 와- 까-예- 까-야-누빳시- 위하라띠,
bahiddhā vā kāye kāyānupassī viharati,
앗잣따바힛다- 와- 까-예- 까-야-누빳시- 위하라띠.
ajjhattabahiddhā vā kāye kāyānupassī viharati.
이와 같이 그는 안으로 몸에서 몸을 관찰하며 머물고
또는 밖으로 몸에서 몸을 관찰하며 머물고
또는 안과 밖 양쪽으로 몸에서 몸을 관찰하며 머문다.
사무다야담마-누빳시- 와- 까-야스밍 위하라띠,
Samudayadhammānupassī vā kāyasmiṁ viharati,
와야담마-누빳시- 와- 까-야스밍 위하라띠,
vayadhammānupassī vā kāyasmiṁ viharati,
사무다야와야담마-누빳시- 와- 까-야스밍 위하라띠.
samudayavayadhammānupassī vā kāyasmiṁ viharati.
그는 몸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관찰하며 머물고
또는 몸에서 사라지는 현상을 관찰하며 머물고
또는 몸에서 일어나고 사라지는 현상 모두를 관찰하며머문다.
앗티 까-요-띠 와- 빠낫사 사띠 빳쭈빳티따- 호-띠
‘Atthi kāyo’ti vā panassa sati paccupaṭṭhitā hoti
야-와데-와 냐-나맛따-야 빠띳사띠맛따-야
yāvadeva ñāṇamattāya paṭissati-mattāya
아닛시또- 짜 위하라띠,
anissito ca viharati,
나 짜 낀지 로-께- 우빠-디야띠.
na ca kiñci loke upādiyati.
에-왐삐 코-, 빅카웨-, 빅쿠
Evampi kho, bhikkhave, bhikkhu
까-예- 까-야-누빳시- 위하라띠.
kāye kāyānupassī viharati.
또는 ‘몸이 있다’는 사띠(알아차림)가 지혜 성장에 필요한 정도로,
사띠(알아차림) 성장에 필요한 정도로 그에게 확립된다.
그리고 그는 의존하지 않고 머물며
세상의 어떤 것에도 집착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빅쿠들이여, 빅쿠는 몸에서 몸을 관찰하며 머문다.
빠띠꾸울라마나시까-라 빱방 닛티땅
Paṭikūlamanasikāra pabbaṁ niṭṭhitaṁ.
몸의 부정함에 숙고 편 끝.
-------------------------------------------------------------------------------
몸에 대한 이 사띠(알아차림)는 다음으로 이끕니다. 즉
① 큰 긴박감,
② 노력에 토대를 둔 심원한 고요 또는 안전,
③ 깊은 사띠(알아차림)와 분명한 이해,
④ 통찰지 증득,
⑤ 지금 여기서 행복하게 삶,
⑥ 지혜와 해탈의 결실을 실현함(아라한 도와 과 증득).
양쪽이 열린 자루는 지, 수, 화, 풍 사대로 이루어진 몸과 같고 머리털, 몸털 등 몸 32가지 부위는 자루 안에 던져져 섞인 다양한 곡식과 같습니다.
몸 32가지 부위로 다음 세 가지 명상 수행을 할 수 있습니다.
① 색깔 까시나,
② 부정관,
③ 사대요소 명상.
이 경우 세 가지 몸이 있습니다. ① 몸 32부분, ② 물질 몸, ③ 정신 몸.
이 단계에서는 두 종류의 일어남과 사라짐을 식별해야 합니다.
① 인과적 일어남과 사라짐: 무명, 갈애, 취착, 상카라(의도적 형성), 업의 일어남으로 다섯 과보의 취착 무더기가 일어난다.
② 아라한을 증득할 때 다섯 원인의 완전한 소멸로 빠리닙바나(최종 열반) 후에 다섯 무더기는 완전히 그칠 것입니다.
이 둘을 인과적 일어남과 사라짐이라고 합니다.
그다음 원인이 일어나자마자 사라지므로 그것들은 무상, 고, 무아라고 관찰합니다.
또 다섯 취착 무더기가 일어나자마자 사라지므로 그것들은 무상, 고, 무아라고 관찰합니다.
이런 종류의 원인과 결과의 일어남과 사라짐을 찰나적 일어남과 사라짐이라고 합니다.
첫댓글 사-두 사-두 사-두 _()_
사두사두사두
사~두 사 ~두 사 ~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