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천사
용천사(湧泉寺)는 신라 문무왕 10년(670년) 의상대사가 창건한 해동화엄전교(海東華嚴傳敎)의 10대 사찰 중 한 곳이다.
화엄 십찰은 의상대사가 당나라에서 수행하고 돌아와 세운 사찰인데 최치원(崔治遠)이 쓴 『법장화상전(法藏和尙傳)』과 일연(一然)의 『삼국유사(三國遺史)』에 절 이름이 나온다. 『법장화상전』에 의하면 태백산 부석사(浮石寺), 원주 비마라사(毘摩羅寺), 가야산 해인사(海印寺), 비슬산 옥천사(玉泉寺), 금정산 범어사(梵魚寺), 지리산 화엄사(華嚴寺), 팔공산 미리사(美理寺), 계룡산 갑사(甲寺), 웅주 가야협 보원사(普願寺), 삼각산 청담사(靑潭寺) 10개 사찰을 말한다. 그러나 『삼국유사』에는 이중 부석사와 비마라사·해인사·옥천사·범어사·화엄사 6개 사찰만이 기록되어 있다. 이들 사찰은 의상대사가 전파한 화엄사상을 널리 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불교 전성기에는 승려가 천여 명이나 되었고 주변에 자리잡고 있던 암자들은 백련암, 청련암, 일련암, 남암, 서암, 내원암, 부도암 외 47개의 암자가 있었다고 전해지고 있으나 오랜 세월 속에 모두 없어져버렸다. 이미 24명의 도인이 나왔고 앞으로 104명의 도인이 나올 것이라는 설이 지금까지 전해지고 있다. 현존하는 건물 중 3중창(1631년) 때의 것은 문화재로 지정된 대웅전만 남아 있고 다른 건물은 근대에 세워진 것이다.
고려 원종 8년(1267년) 일연 선사가 중창하여 불일사(佛日寺)라 칭하였다가 다시 용천사로 고치고, 임진왜란 후 인조 9년(1631년) 조영대사(租英大師)가 3중창하였으며 순조 5년(1805년) 의열 화주가 크게 중수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유물로서는 법당의 삼존불, 후불탱화, 나한십육존불, 영탱, 석조물 등이 있으며 불을 밝히는 데 사용하였던 정료대가 남아있고 절 오른쪽 골짜기에 고승들의 부도(浮屠) 6기가 이 절의 역사를 대변해주고 있다.

용천사 안내석

용천사 입구

용천사 전경

용천사 요사

용천사 대웅전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295호
대웅전(大雄殿)은 앞면과 옆면 각 3칸씩의 규모로 17~18세기에 건축된 것으로 생각된다. 현재 비록 낡기는 했으나 조선 후기 사찰 건축의 좋은 자료가 되므로 1996년 경상북도유형문화재 제295호로 지정되었다. 안에는 17~18세기에 조성한 것으로 추정되는 석가 삼존여래좌상(석가모니불, 문수·보현 보살)이 봉안되었다. 불화로는 후불탱을 비롯하여 1956년에 조성한 칠성탱·신중탱, 그리고 창건주인 의상 대사의 진영이 있다. 본래 18세기에 조성한 후불탱이 봉안되어 있었으나 1999년 도난 당해 지금은 사진 복사본으로 대치하여 놓았다.

용천사 대웅전

용천사 대웅전내 신중탱과 칠성탱

용천사 명부전

용천사 명부전내 지장보살상

용천사 응진전

용천사 응진전내 나한상

용천사 응진전내

용천사 석탑
대웅전 앞에 석탑이 서 있는데, 부재가 많이 없어졌고 현재는 상층 기단, 탑신 1개, 옥개석 2개만 남아 있다. 그렇지만 현재 남아 있는 부재의 조각 기법으로 보건대 고려시대에 조성한 것으로 추정된다.

용천사 경내

용천사 용천
용천사의 우물을 보호하는 보호각이다. 용천사라는 이름은 맑고 풍부한 석간수가 끊임없이 용솟음쳐 흘러내리고 있어 용천(湧泉)이라 부쳐진 것이라고 전한다. 이 용천의 샘물은 가물 때나 장마가 질 때도 늘 일정한 양의 맑은 물이 흐르고 사철 마르지 않으며 한겨울에도 어는 법이 없다고 한다. 지금도 물을 떠가려는 사람들의 줄이 끊이지 않는다.
(주련)
龍王宮中迕靑龍 용궁에서 천룡을 만났으니
萬年吉運自大通 만년이나 길운 대통하리라.

용천사 샘물

용천사 범종각

용천사 불상

용천사 석조물

용천사 석물
경내에는 석등의 팔각 간주석(竿柱石)이 있다. 하대석과 화사석 및 옥개석 등은 없지만 꽤 고식(古式)이다. 표면에 '…式'이라 새겨져 있지만 다른 글씨는 판독하기 어렵다.
그 밖에 요사 옆에 아직도 물을 담는 데 사용되는 석조(石槽)가 있다. 표면에 '…二十一年 四月 造…' 등의 글씨가 새겨져 있는데, 조선시대 후기에 중건하면서 조성한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명부전 옆 고목 아래에도 조선시대의 석조가 있다.
이러한 석물(石物)들은 전부 용천사의 역사가 오래되었음을 나타내주는 유물 자료가 된다.
용천사 찾아가는 길
북대구 IC를 나와서 대구 신천대로를 따라 가다가 가창댐 입구에서 우회전을 한다.(댐 입구에 운흥사, 달성조길방가옥 표지판이 있다.) 그 길을 따라 비슬산 헐티재를 넘어오면 오른쪽 길가에 용천사가 있다.
청도 → 풍각 → 각북 → 오산리 → 용천사(30분 소요)
첫댓글 참 정갈한 절 같습니다...들어가는길도 아름답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