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전 특히 이부분 너무 약해서요 ㅠㅜ
꼭 한문제씩은 나오던데요...
1> 연관시 교차율 구하는 문제
(a'bc/ab'c')*(abc/abc) 교배시 a와 c만의 교차율은?
여기서 (a'bc/ab'c')는 같은 염색체 상에 있는건가요?
2> 어떤 열성유전병은 인구 10000명당 9명의 비율로 나타난다
어버이가 정상인 가정에서 태어난 철수는 정상이지만 철수의 동생은 유전병에 걸렸다
영희의 가계에서는 이 유전병에 걸린 사람이 없었다. 영희의 가계는 집단유전학의 법칙을 따른다
철수와 영희가 결혼하여 자녀를 낳을 경우 이 유전병에 걸릴 확률은?
그럼 철수네 가족 어버이는 a'a * a'a 맞죠? 그럼 철수 동생은 q^2= 9/10000 이구요
그렇다면 철수의 유전자는 aa나 a'a중 하나일텐데 그다음부터 모르겠네요... p+q=1이고 p=97/100
철수가 가질 유전자 확률과 영희와 결혼하여 자녀를 낳을 경우의 확률을 곱해야 하나요? --;; 헷갈려요
고수분들 도와주셈 ㅠㅜ
첫댓글 2번은 제 생각인데요..하디바인버그법칙 - 철수부모는 Aa×Aa , 철수동생의 경우 aa=q2=9/10000 이므로 철수의 경우는 Aa=pq=291/10000, 영희의 가계에서 영희의 유전자형을 모르므로 철수와 결혼했을때 최대 3가지 유전자형이 나올수 있으므로 291/1000 × 1/3 = 97/10000
너무 어려운 고시문제 풀지 마세염. 머리만 아파염
근데 자손중 헤테로 확률이 2pq가 아니고 pq인가요? 답은 97/10000 인데요... 생물 책 보니 그렇게 나와있던데요...^^;;
혹시 여기다가 영희의 유전자 확률도 곱해야 하는것이 아닌가요? 그러므로 2pq=582/10000, 582/10000*1/3*1/2 따라서 답은 97/10000. 영희는 유전병에 걸리지 않았다니 AA나 Aa가 나올거 같구요. 흠... 모르게써요^^;;
집단 유전자 풀에서 세대를 거듭해도 유전자 빈도는 그대로 이므로 영희와 결혼한다해도 여전히 자식들 중에서 정상이 나올 경우의 수는 pp 이든지 pq이든지 qq 일 겁니다. 즉 pp=AA, pq=Aa, qq=aa 입니다. 따라서 A,A,A,a,a,a 중에서 aa가 되어야지 열성유전병에 걸리므로 3으로 나누어 준 것입니다.
이런문제 안나옴..^^
감사합니다^^ 근데 위에 문제는 농진청 기출문제인데요... 생각보다 수준 높던데...^^;
아닙니다. 작년 2005 기술고시 문젭니다. 제가 직접 봤거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