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Now, this is something that’s been going round the internet recently:
0:00 자, 이번 주제는 요즘 인터넷에서 돌아다니는 주제인데요.
0:03 you know you’re German when you can pronounce...
0:03 자신이 독일인인지를 알려먼 이 단어를 발음해보면 된답니다.
0:07 Well, I’m not German. But I’ll give it a go anyway.
0:07 전 독일인이 아니지만. 일단 한번 시도는 해볼께요.
0:13 tschechisches Streichholzschachtelchen
0:13 tschechisches Streichholzschachtelchen
0:17 That’s not perfect, but it’ll do.
0:17 완벽하진 않았지만, 통했을겁니다.
0:20 It’s a tongue-twister.
0:20 잰말놀이 (발음하기 힘든것을 빠르고도 정확히 말하는 것)의 일종인데요.
0:22 And for the record, the German for “tongue-twister” is “Zungenbrecher”,
0:22 영어로는 "텅스위스터"지만, 독일어로는 “Zungenbrecher”라고합니다.
0:26 which literally means “tongue-breaker”.
0:26 직역하자면 "혀를 부수는 자"라는 뜻입니다.
0:29 Yes, in English, tongue-twisters merely twist your tongue:
0:29 그렇습니다, 영어에서는 혀가 꼬이기만 하지만,
0:33 in German, they can actually break it.
0:33 독일어에서 어려운 말들은 혀를 부술수도 있어요.
0:36 So then I get people asking me, “What does... that phrase mean?
0:36 그러면 사람들이 물어보고는 합니다. "그래서... 도대체 저게 무슨 뜻인가요?
0:41 Does it even have a meaning, or is it something completely fictional?”
0:41 의미가 있기는 한가요? 아니면 그냥 지어낸 말인가요?"
0:45 Oh, it has a meaning all right.
0:45 괜찮습니다. 의미가 실제로 있어요.
0:48 Not a very useful one, but it does have a meaning.
0:48 뭔가 쓸모있는 지식은 아니지만, 의미가 있기는 합니다.
0:50 First, “tschechisches” is the German for “Czech”,
0:50 먼저, “tschechisches”는 독일어로 "체코의"라는 뜻인데,
0:54 with a grammatical ending.
0:54 끝부분에 어미가 붙었습니다.
0:56 If you’re studying German, you probably already recognise the ending and why it’s there.
0:56 독일어를 배우시는 분이라면, 어디가 어미인지, 왜 그게 붙었는지 아실겁니다.
1:01 If not, you don’t need to know.
1:01 독일어를 배우시지 않으셨다면, 모르셔도 좋아요.
1:04 Okay; it’s because the gender of the noun is neuter,
1:04 알겠습니다... 체코라는 명사의 성별이 중성이고,
1:08 and we’re using it in the nominative case, okay?
1:08 여기서 주격으로 사용되었기 때문입니다, 아시겠죠?
1:12 The rest is a long word which, like many long German words,
1:12 언어의 나머지 부분은 긴 독일어 단어들이 다 그렇듯이,
1:16 we can break down into smaller words which are, thank goodness, easier to pronounce.
1:16 신에게 감사스럽게도, 더 발음하기 쉬운 작은 단어로 쪼갤 수가 있습니다.
1:22“Streich” can sometimes mean a practical joke.
1:22“Streich”는 재미있는 농담을 뜻하는 단어이기도 합니다.
1:25 In this context, though, it comes from the verb “streichen”,
1:25 하지만 이 경우에는, “streichen”이라는 동사에서 온것입니다.
1:30 which means “to scrape”.
1:30 "긁다" 라는 뜻입니다.
1:32 It has many other meanings as well, but we’ll stick with that one.
1:32 이것 말고도 다른 의미가 여러개 있지만, 여기서는 이 뜻만 가지고 진행하겠습니다.
1:36“Holz” means “wood”; so that gives us “Streichholz”,
1:36"Holz" 라는 것은 "나무"를 뜻합니다. 그래서 "Streichholz"가 나온겁니다.
1:39 something wooden that you scrape against something else.
1:39 무언가에 대고서는 긁는 나무를 의미하게 되는 것이지요.
1:43 Why would you do that?
1:43 왜 그런 짓을 하냐고요?
1:45 Well, let me show you.
1:45 제가 한번 보여드리겠습니다.
1:54 And that brings us to the halfway point in this word.
1:54 그리고 이렇게 단어의 뜻을 절반이나 해독을 했네요.
1:57 There’s more.
1:57 아직 더 남아있습니다.
1:58“Schachtel” is one word for a box.
1:58"Schachtel"은 상자를 뜻하는 단어입니다.
2:01 So a “Streichholzschachtel” is a box for wooden things that you scrape on other things.
2:01 따라서 "Streichholzschachtel"은 다른 무언가에 대고는 긁는 나무들을 담아놓는 상자가 되는 것이죠.
2:08 It’s a matchbox!
2:08 성냥갑입니다!
2:10 With me so far?
2:10 따라오고계시나요?
2:11 If you take the word “Schachtel”, add an umlaut and the ending “-chen”,
2:11 "Schachtel"이라는 단어에 움라우트를 더하고, 어미 "-chen"을 더한다면,
2:16 you get what is called a diminutive: “Schachtelchen” means “little box”.
2:16 지소사의 형태를 갖추게 됩니다. 즉 "Schachtelchen"은 "작은 상자"를 뜻합니다.
2:22 And there you have it: it’s a little Czech matchbox.
2:22 드디어 뜻이 다 나왔군요. 바로 체코산 작은 성냥갑입니다.
2:27 Wasn’t so bad, was it?
첫댓글 독일어는 아름답습니다.
비록 제가 고등학교때 독일어 시험을 빵점받았긴 하지만요.
말머리 달아주세요.
수정할때마다 매번 말머리가 날아가네요 -_-;;; 죄송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