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년만의 지리산 천왕봉 등정
천왕봉에 처음 오른 것은 1962년 이다. 고등학교 2학년 여름 방학 때다. 곰이나 멧돼지 만날까봐 호신용으로 나는 허리에 닛뽄도 찼고, 철수는 도끼를 등에 메었다. 하나는 바이킹이고, 하나는 사무라이 였다. 신발은 군대 웍화고, 바지는 청바지였다. 배낭도 우비도 없었다. 요즘같이 지정등산로가 없었다. 등산로 표시도 없었다. 가다가 산길이 없어져 버리곤 했다. 대원사 쪽에서 오른 기억이 난다. 어떤 절벽 밑에서 이슬 피하려고 나무를 쳐서 대충 위는 가리고, 칼과 도끼를 옆에 놓고, 모닥불 피우고 비박을 했다. 천왕봉은 답사했지만, 어느 쪽으로 하산했는지는 오래 전이라 기억에 없다.
두번째 오른 것은 63년 겨울이다. 63년에 대학 합격 발표 본 후다. 처음 대학 뺒지를 달고 자랑삼아 진주 밀림다방에 나갔다가, 뒤에 LG 씨름 감독한 이중근을 만나 한겨울 산행 감행한 것이다. 두번째도 군대 야전잠바와 월화가 전부였다. 배낭도 없었다. 법계사 코스였는데, 눈은 우리 허리께까지 쌓여있었다. 눈길이라 시간은 지체되고, 길 잃고 헤매다가 밤이 되었다. 칠흑천지에 눈바람은 부는데, 몸은 눈 속에 허리까지 빠지고, 체온은 식어갔다. 웍화 속에 스민 물은 슬슬 얼어붙고, 면장갑 낀 손도 꽁꽁 얼어붙었다. 여기서 얼어죽는구나 할 때다. 캄캄한 산 속 저멀리 능선에 불빛이 하나 보였다. 사람이 등불을 들고 이리저리 산중을 비치고 있었다. 나중에 알고보니 깊은 산중에 사시는 분은 산속에 조난자가 있을까해서 밤에 이렇게 등불로 빈 산을 비춘다고 했다. 법계사 보살님이었다. '여보세요!' 우리의 목소리는 거의 울부짖음 이었다.'누구요? 거기 사람 있읍니까?' 이 대답 하나에 우리 네 목슴은 살아났다. 보살님이 해주신 따뜻한 쌀밥 얻어먹고, 썰썰 끓는 장판바닥에 얼어붙은 엉뎅이를 녹작지근하게 녹여 살아났다. 이튿날 아침, 은혜를 모르는 버르장머리 없는 총각들은, '썰피까지 갖춘 부산대 산악팀도 여기서 하산했으니 돌아가라.'고 보살님 간곡한 만류를 뿌리치고 천왕봉에 올랐다. 천왕봉 일대는 쌓인 눈이 사람 목에까지 찰 정도였다. 손바닥 보다 큰 곰발자국도 군데군데 찍혀있었다. 만약 곰을 만났으면 우린 끝이었을 것이다. 법계사로 내려오니 보살님이 보이지않았다. 산을 한참 내려와서야 보살님을 만났는데, 보살님은 동네 청년 구조대를 만들어 우리를 구조하려고 올라오고 있었다.
세번째 산행이 이번 산행이다. 50년 세월 후딱 지나간 것이다. 중장년을 서울서 보낸 후 백발 노인 되어 지팡이 짚고 온 것이다. 두류동에서 자고, 7시 20분 첫 셔틀버스로 학습원 가장 짧은 코스로 올랐다. 여기서부터 노인 산행이 시작됐다.
산에 가서 하루 종일 물가에 앉아있어도 탓 할 이 없다. 약수도 한모금 마셔보고, 시원한 물에 얼굴도 씻어봐야 한다. 폭포와 쏘도 눈여겨 보고, 물에 비친 바위와 나무와 흰구름도 유심히 보아야 한다. 조용한 물소리와 시원한 바람소리 듣고 차나 시주(詩酒) 즐기는 운치도 잊어선 않된다. 산은 도시의 출근길처럼 바쁘면 않된다. 처음 할 일은 바위에 느긎히 앉아 한참 단풍 든 산을 바라볼 일이다.
그 다음은 청풍을 즐기며 '소리'를 즐겨볼 일이다. 마침 최상호군이 대금을 갖고 왔다. 그의 <청성곡>은 참으로 청아하다. 맑은 소리가 소소히 떨어지는 낙엽 소리와 잘 어울린다.
계곡에 내려가 물가의 바위 위에 잠시 누워보았다. 물소리 싫컷 듣는 것도 산에 오는 이유다.
대채로 산에 가서 갈 길을 잊은듯 나무의 수형과 뿌리 모습에 반하여 한가히 살펴보는 습관도 바람직 하다.산의 나무를 감상함에는 먼저 뿌리를 보는 것이 좋다. 천인단애에 솟아, 암석에 끼이고, 빗물에 씻긴 나무가 노목이 되면, 흔히 뿌리를 노출하고 있다. 그것은 마치 세상을 벗어난 선인이 여윌대로 여위고 나이가 늙어서, 근골이 울퉁불퉁 불거져 나온 것과 같아서 운치가 있다. 낭떨어지에 난 것, 돌 위에 난 것, 비스듬히 굽어 바람 타고 다니는 선인(仙人)같은 것, 물결 밟고 다니는 신녀(神女)같은 나무를 볼 수 있다. 이 나무 하나하나 손뼉을 치며 넙적다리를 치면서 득의(得意)하여 구경하는 것이 좋은 취미이다. 이런 기목(奇木)들은 어떤 호사가가 아무리 많은 비용을 부담하고 구하려해도 얻지못할 나무이다.
'태산이 높다하되 하늘 아래 뫼이로다. 오르고 또오르면 못오를리 없건마는...' 양사언의 시조를 읊어 보았다. 한가하면 맘이 편하고, 편하면 흥이 난다. 노닥거리는 새 어느새 법계사 7백미터 밑에 도달했다. 이곳은 나도 이장군도 50년 만 이다. 그도 60년대 사관생도 시절 몇번 종주한 이래 처음이다.
법계사의 3층 석탑 바라보니 옛날 감회가 솟지않을 수 없다.
법계사서 천왕봉 구간은 바위가 많다. 바위는 산의 뼈대이며, 좋은 산은 반드시 좋은 빼대를 지니는 법이다. 미원장(米元章)은 기묘한 바위를 보면, 기뻐 말하기를, '이것은 나의 절을 받을만 하다' 하고 예를 갖추어 절하고, 매양 석우(石友)라고 불렀다 한다. 만장같은 바위에 손바닥을 대고 천년 세월을 느껴봐도 좋고, 바위 이끼의 고색(古色)을 감상해도 좋다. 청태(靑苔) 속에 피어난 가날픈 풀꽃을 감상하거나, 달빛 비친 바위를 보며 시상(詩想)에 잠기는 것도 좋은 취미이다.
이 구간은 거의 70도 각도의 급경사다. 사람들은 흔히 여길 '깔딱고개'라 부른다. 그러나 여기를 그냥 아무 생각없이 용을 쓰며 기어오르기만 해서는 않된다. 높은 9층탑을 참배하듯 경건한 마음으로 올라가야 한다. 여기 돌계단은 지리산 마고선녀(麻姑仙女) 신전 올라가는 신성한 계단이다. 자세히 보면 바닥에 청석이 많다. 청석과 오석은 연마하면 광택이 난다. 둘 다 귀한 돌 이다. 법화경에는, 금,은, 파리, 마노, 유리, 산호,거거(車渠)를 칠보라 부른다. 청석은 가공하면 칠보와 다름없다. 영국, 덴마크, 스페인, 모르코 왕궁을 가보면, 그 어디에도 세련된 푸른 청석으로 만든 궁전은 없다. 마고선녀처럼 세련된 궁전 취향이 없다. 선녀는 아마 머리에 비취로 만든 비녀를 꽂고, 손에는 은가락지를 끼고, 이 궁전을 우아하게 거닐었을 것이다. 지금 영국이나 덴마크의 왕녀가 그처럼 기품 있을까. 이런 생각을 하면서 돌계단을 올라갔다.
정상에는 안개가 가득하였다. 선녀의 의중이 짐작되었다. 산이 미인이라면 안개는 미인의 얼굴을 가린 스카프다. 산의 아지랑이처럼 신비로운 것은 없다. 산을 볼 때는 이런 관점에서 보아야 한다. 푸른 산에 백운이 걸치어 층을 이루어 산을 가로막고, 구름이 열린 곳에 창천(蒼天)이 나타난 모습을 운산(雲山)이라 하고, 나무가지 사이에 안개 덮힌 것을 운초(雲梢)라 한다. 이런 것들을 감상해야 한다. 선녀는 이런 신비로운 모습을 우리에게 보여주신 것이다. 사람들이 많아 <천왕봉>이란 글씨 새겨진 돌 앞에서 사진 찍기 힘들었지만, 겨우 옆의 색씨에게 부탁해서 찍었다. 어쨌던 마음 그리 흐믓할 수 없었다.
첫댓글 보기 좋습니다.아무튼 노익장을 과시 하는 것 같지만 보기는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