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장이 감정적으로 노를 저으면, 배가 어떻게 되겠는가.
진행 방향을 잘못 잡는 일도 있게 될 것이다.
그것은, 우리 감정의 혼란이,
육체적 부조화를 만들어내는 원인으로 되기 때문이다.
올바른 판단이 불가능하게 되고 마는 것이다.
감정이 가라앉지 않는 한,
바르게 말하는 것도, 바르게 듣는 것도, 바르게 보는 것도,
바르게 염(念)(=기원)하는 것도, 불가능한 것이다.
감정적으로 된다고 하는 것은,
자신에게 나쁜 말이나, 나쁜 것을 보았을 경우,
폭발하는 것이다.
실제 그런 사람들이 많다.
이것은 중도가 아니다.
자기 보존의 마음이 강하기 때문에, 그렇게 되는 것이다.
상대방이 하는 말을,
제3자의 입장에서, 냉정하게 듣거나 보거나 하면,
올바른 판단을 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만약 상대방의 오해 때문에 생긴 감정의 혼란이라면,
그 오해를 푸는 것이 중요하고,
몇 사람인가의 사람들을 거쳐 전해져 온 것이든 어쨌든,
올바르게 납득될 때까지, 판단하는 것이 중요하다.
상대방이 감정적으로 노여움을 가지고 오더라도,
냉정한 판단으로 올바르게 듣고, 올바르게 말해야 한다.
만약 상대방의 감정적 언동에 휘말려,
자기 자신도 감정적 언동을 사용한다면, 상대방의 독을 먹은 것이다.
그것은, 자신의 마음에 어두운 구름을 만들어,
자신의 영위기(靈圍氣)를 부조화한 것으로 만들어 버린다.
이 독은, 심신(心身)에 흘러 다니게 된다.
그래서 노여움이랑, 괴로움으로 되어 나타난다.
우리 그룹의 사람은, 과거세에서 친했던 사람들과,
가령 몇천 년 전의 친구로 있었어도,
당시의 언어로써 서로 대화할 수 있다.
그리고 감격에 겨운 눈물의 해후를 체험하게 된다.
강연회 때이다.
Y.S(33세)가, 마음의 창을 열었을 때의 일이다.
그는 와세다 대학의 대학원에서 철학을 공부한 사람인데,
인생에 대해서 많은 의문을 가지고 있었다.
캘리포니아에 살고있는 그의 백모 미세스 부라운의 소개로, 알게 된 사람이었다.
Y.S는 신리의 강연을 몇 차례 듣고,
생활이 조화됨과 동시에,
지금부터 2,500여 년 전의 언어로 말하기 시작했다.
“포코라 파라 가리 파라세레 파라파라 치코라 파라 가리 파라세레 파라파라 .....”
라고, 자기가 고타마 붓다의 제자,
바라나시의 야사라고 하는 아라한이라는 것을, 말했던 것이다.
나도 인도 시절에는, 야사와 같이,
사로몬(수행자)으로 친한 사이였기 때문에,
강연회에 참석한 많은 청중 앞에서, 서로 손을 잡고 당시의 일을, 말하였던 것이다.
이러한 감정은, 우리의 의식 속에 잠재되어 있는
《“마하반야바라밀다”》
즉 위대한 지혜가 솟아 나오기 때문이다.
마하반야바라밀다는,
⟨내재된 위대한 지혜에 도달한다⟩
라는 뜻이다.
그리움에, 남 앞에서도, 부끄럽다고 하는 기분도 일어나지 않는다.
부끄럽다는 감정도, 자기 보존이다.
남들 앞에서도, 마음에 거짓이 없으면,
부끄럽다고 하는 심적 작용이 일어나지 않는다.
이것은 남 앞에서, 자기를 꾸미려고 하는 마음이, 부끄럽다고 하는 괴로움을 만들어 낸다.
자기보존인 것이다.
그리고 식욕이나 정욕은, 본능과 감정이 작용하는 경우에 일어나는 것이다.
비록 짝사랑이더라도,
우리의 마음속에는,
인간 본래의, 신으로부터 부여받은 본능과 감정이 불타고 있으므로,
마음속에 사랑의 동요가 일어나는 것이다.
그것이 육체적으로도 현상으로 되어 나타나는 것이다.
생각한 것만으로도, 바로 육체로 나타나며, 마음은 불타는 것이다.
이때 우리의 몸은, 핑크색의 빛으로 뒤덮인다.
후광의 색이 변화하는 것이다.
성이 났을 때에는,
피의 색과 같은, 불꽃같은 후광이 사람들의 몸에서 나오고 있다.
이러한 모든 현상은, 우리의 의식(意識)속에 기록되어 있는 것이다.
그러기에 우리는 족함을 알고,
본능과 감정에 브레이크를, 걸어야 하는 것이다.
이 브레이크가, 우리들의 이성(理性)의 영역이다.
음식물등은, 배의 80%라고, 약간 모자랄 정도로 먹는 것이 좋은데도,
맛있는 것은, 본능적으로 그만 배의 120% 과식하고 만다.
그러나 술이든 담배든, 끊으려고 하면 끊을 수 있다.
이성을 확고하게 가지고,
강한 의지력을 발휘하면 불가능한 것은 아니다.
그러나 인간은, 자기 자신에게는 무르고 관대하기 때문에,
자칫 본능, 욕망대로 살고 싶어한다.
어린 아이들은, 좀처럼 이성도 의지도 통하지 않는 법이다.
우리 마음속의, 각각의 영역은, 성장함에 따라,
자기 나름대로의 지성을 통해서 깨달아 가는 것이다.
갓 태어난 젖먹이는, 모유나 밀크를 자연스럽게 빨 줄 안다.
이것도 전세에서 식생활을 했었기 때문에,
가르쳐 주지 않아도 먹을 수 있도록 되는 것이다.
그리고 성장함에 따라서, 오관(五官)이 작용하도록 되어,
욕망이 나오는 것이다.
자아의 싹틈이라고도 말할 수 있다.
욕망과 본능의 영역의 자각이다.
그러나 아직 이성(理性)이 잘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무작정 자아를 관철시키려는 응석을 부리게 된다.
이 시기부터, 좋은 환경과 부모 밑에서 편협되지 않은,
중도의 교육이 필요하게 된다.
인생의 경험이 없기때문에
지성(知性)은 오관(五官)으로부터 받는 것과 교육에 의해 풍부하게 되어 간다.
p130
첫댓글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_()_()_()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