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리더의 ‘징비의식(懲毖 意識)’ ] 🤠
‘역사의 연구’를 집필해서
순식간에 세계의 지식인으로 평가받은 ‘아놀드 토인비’는
역사를 연구해 보면
민족의 유형이 크게 세 가지 있다고 주장했다.
● 민족의 유형 3가지
첫 번째는
재난을 당하고도 대비하지 않는 민족,
두 번째는
재난을 당해야만 준비하는 민족,
세 번째는
재난을 당하지 않고도 미리 대비하는 민족들이라 했다.
대한민국은
어디에 해당 될 것인가.
스스로 자문해 보기 바란다.
‘징비록(懲毖錄)’은
임진왜란이 끝난 후
조선 선조때
영의정과 전쟁 수행의 총 책임자를 지낸 유성룡(柳成龍,1542~1607)이 집필한
임진왜란 전란사(戰亂史)로서, 1592년(선조 25)부터
1598년까지 7년에 걸친
전란의 원인, 전황 등을 기록한 책이다.
징비록(懲毖錄)은
저자인 유성룡이 자리에서 물러나 낙향해서 집필한 것으로,
제목인 '징비'는
‘시경(詩經)’
소비편(小毖篇)의
"예기징 이비역환(豫其懲而毖役患)",
즉
"미리 징계하여 후환을 경계한다."는 구절에서 따온 것이다.
‘징비록’에서 유성룡은
수많은 인명을 앗아가고
비옥한 강토를 피폐하게 만든
참혹했던 전화를 회고하면서,
다시는 같은 전란을 겪지 않도록
지난 날 있었던
조정의 여러 실책들을 반성하고
앞날을 대비하기 위해
‘징비록’을 저술하게 되었다고 밝혔다.
온 산천이 피로 물들고,
계곡마다 하얀 시체가 산더미 처럼 쌓였고, 시체 썩은 물과 피물이 계곡을 흐르고,
사람이 사람을 잡아먹는 그 참혹한 전란이 다시는
조선에서 반복해 일어나지 않도록 경계하라고 피를 토하는 심정으로 썼다.
이렇게 목적의식을 가지고
전쟁의 최고 책임자가 집필하여 썼지만 정말 아이러니하게도
이 책은
조선에서 편찬되지 못하고
침략국 일본에서 편찬되었다는 것 또한 슬픈 일 중의 하나다.
17세기에
대마도에서 먼저 읽히고 있는 것을 발견한 것이다.
어느 역사학자가
조선의 역사가 5,000년이라고 하나
그 동안
조선이 외침을 받은 횟수는 무려 938번이라고 한다.
평균으로
5.3년마다 한 번씩 외침을 받았다는 결론이다.
조선은
왜 이렇게 외침을 많이 받았을까?
참으로
불행한 역사를 가지고 있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
토인비가 말한
첫 번째 민족유형이기 때문이다.
재난을 당하고도
대비하지 않는 민족이다.
참혹한 임진왜란이 끝나고
또 얼마 되지 않아
조선은
또 다른 치욕의 참혹한 전란에 휩싸이게 되었고 강산이 초토화 되었다.
바로
병자호란이다.
징비록에서
그렇게 미리 준비하고, 준비해서
또 그런 비극이 없도록
경계해야 한다고 주장했는데도
준비하고 대비하지 못한
지도자와 리더들의
무능과 무기력을 통탄하지 않을 수 없다.
그로부터 한참 뒤에는
아예 나라가 통째로 없어졌다.
그래서 우리는
참혹한 비극의 긴 역사를 가지고 있다.
그렇다면
리더들은 무엇을 해야 하는가?
왜
이렇게 당해야만 하는가를 분석하고 연구하고
다시는 이런 역사를 반복해서 당하지 않도록 대비해야 되는 것이 리더의 역할이다.
그것이
징비(懲毖)다.
일제 강점기 비극을 보더라도 왜 강점을 당했는가?
강점한 자들도 문제가 있지만
강점당한 자들은 문제가 없었는가?
오죽이나 못났으면
맨날 당하고 울고만 있었는가?
외교 분야에서
40년을 지낸 퇴역 외교관은
국제관계는
80%가 힘(power)이고,
20% 정도가 법(law)이라 했다.
그걸 모르는가?
나라를 고스란히 상납한 자가
군주였고,
강탈당한 것이 아니라
항복한 것 아닌가?
왜 항복해야 했는가?
힘이 없어서다.
왜 힘이 없는가?
준비하지 않았으니 그렇다.
75년이 지난 지금도
친일파니, 죽창가니, 토착왜구니 등의 어설픈 감성적 말로
국민들을 선전, 선동하고
표를 위해 편 가르기와 같은
그런 어리석은 짓거리를 할 것이 아니라 역사에 대해 뼈저린 반성을 하고,
무엇이 잘 못된 것인지
다시는 반복해 당하지 않기 위해
징비(懲毖)를 해야 될 역할이
리더의 역할이다.
역사를 보면
이 나라 리더들은
세상과 주변 나라들의 변화를 읽지도 못하고
미리 준비도 못한 무책임한 지도자의 모습들이었다.
그런데 불행하게도
그러한 무능의 역사와 무능한 자들이
지금도 지배자가 되니
더욱 가혹한 안타까움과 자괴감을 떨쳐버릴 수 없다.
무능과 무책임,
그러고도 사익만을 추구하는
리더들의 DNA 성향이
그리 쉽게 달라지겠는가.
기원 전 로마 시대의 철학자 ‘세네카’는 “평화를 얻으려고 하면
전쟁을 준비하라”고
역설했다.
평화는 결코
구걸해서 얻는 것이 아니다.
어설픈 상념이나
말장난으로는
나라와 국민들을 지킬 수 없다.
또 나라 경영의 책임을 진 리더가
‘애완 비즈니스(Pet Business)’ 처럼 자기가 좋아하는 짐승을 키우듯이 좋아하는
것만을 하면
결코 리더가 아니다.
그건 어린 아이들이나 하는 짓이다.
지금은 AI가 세상을 지배하는 4차 산업혁명의 시대다.
정말 예측할 수 없는 시대를 살고 있다.
오늘 징비하고 준비하는 것에 의해
바로 미래가 결정된다.
미래를 구하는 것은
미래가 아니고
현재다.
대한민국에는
미래를 말하는 자가 없다.
그런데
미래는 이미 와 있다.
단지
고르게 퍼져있지 않을 뿐이다.
지금부터라도
미래를 징비하는
지혜로운 리더들이
나오기를
기대한다.
( 옮겨 받은 글 입니다 )
첫댓글 좋은글
멋진글
감사해요...회장님
새로운한주
월요일에도...
추운날씨에..
건강하시고....
좋은분들과
즐거운하루
기분좋은하루.....보내세요!!! 회장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