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석규의 대몽골 시간여행' - 142. 제국의 붕괴, 막을 수 없었나?
▶ 쿠데타 두려움 속에 산 대칸
기황후를 중심으로 대륙에서의 마지막 몽골 대칸 토곤 테무르의 치세를 일부 살펴봤지만
그것만으로는 전체 상황을 이해하기가 쉽지 않다.
이제는 전반적인 상황을 짚어 보도록 하자.
크게 봐서 쿠빌라이 이후의 몽골제국은 안정성을 잃어 버렸다. 쿠
빌라이의 사후 2-30년 동안은 그 시대의 탄력으로 견뎌왔지만 그 이후는 쿠데타가 끊이지 않는 혼란의 시대가 이어졌다.
토곤 테무르가 즉위했을 때도 상황은 마찬가지였다.
다만 1-2년 사이로 대칸이 바뀌던 것과는 달리 토곤 테무르는 무려 37년이라는 긴 세월동안 권좌에 있었다.
그동안 쿠데타 시도가 없었던 것은 아니지만 성공을 거두지 못했다.
하지만 토곤 테무르는 항상 쿠데타의 두려움 속에 살았다.
권력을 장악한 강한 세력이 나타나면 그 세력이 자신을 제거할지도 모른다는 두려움 때문에
상대방을 먼저 제거하는 일을 반복해왔다.
[사진 = 몽골 초원의 황혼]
그래서 몽골 조정의 최고 실력자가 여러 차례 바뀌었다.
초기에는 몽골 북부 지방 메르키드 출신의 바얀(伯顔)이 실권을 장악했다.
하지만 바얀의 힘이 너무 강력해지자 그의 조카인 톡토(脫脫)를 부추겨 친위 쿠데타를 일으킨 뒤
쿠데타를 주도했다는 죄를 뒤집어 씌워 제거했다.
톡토 역시 같은 이유로 체포돼 유배지에서 독살됐다.
톡토를 제거한 것은 몽골 몰락의 길을 재촉한 최대의 잘못이었다.
▶ 톡토의 지정신정(至正新政)
[사진 = 톡토 추정도]
바얀 세력이 제거된 뒤 1,339년부터 토곤 테무르의 친정(親政)이 시작되면서 조정은 정상을 되찾았다.
토곤 테무르가 친정을 하게 된 데는 뛰어난 능력을 지닌 재상 톡토의 역할이 컸다.
톡토가 조정을 이끌면서 대원제국은 문화의 최전성기를 맞이하게 된다.
톡토가 정치를 주도해 나가는 동안 혁신정치를 통해 여러 가지 사회문제를 해결하고 모순을 완화시키는 데 주력했다.
이전 중국시대인 요나라와 금나라, 송나라의 정사(正史)를 편찬하는 작업도 이때 이루어졌다.
그래서 이를 지정신정(至正新政)이라고 부른다.
▶ 천재지변 속 곳곳에서 반란
[사진 = 황하]
1340년대 들어 유라시아 지역의 천재지변은 더욱 심해졌다.
서쪽 유럽 쪽에서 4천만 명 이상의 목숨을 앗아간 페스트의 여파가 킵차크한국은 물론 차가타이한국 지역까지 미처
일리계곡에도 흑사병인지 다른 전염병인지 알 수 없지만 돌림병으로 수많은 사람이 목숨을 잃었다.
중국 대륙에서는 황하가 범람을 거듭하면서 화북과 산동 지역이 완전 황폐화됐다.
말세가 도래하고 있다는 절망감이 몽골 제국 안에 확산되기 시작했다.
[사진 = 갈라진 농토]
천재지변으로 몽골 본토의 유목민들까지 도움을 요청하는 지경이 됐지만 조정은 도와줄 힘이 없었다.
이러한 상황은 자연히 곳곳에서 농민 반란을 불러왔다.
어지러운 정세는 조정에 반기를 드는 불만세력의 출현을 가져오기 마련이다.
절망감에 빠진 민중의 마음을 사로잡은 무장종교 집단까지 생겨나 몽골제국에게 칼을 겨누었다.
머리에 붉은 천을 둘렀기 때문에 홍건적(紅巾賊)이라 불렀던 백련교(白蓮敎)가 바로 그들이었다.
▶ 군벌 제압에 나선 실력자 톡토
[사진 = 몽골군 출병]
때 맞춰 강남에서는 수많은 무장 세력이 등장해 서로 주도권을 장악하기 위해 다툼을 벌이고 있었다.
자연히 대원제국의 경제적 기반이 됐던 강남지역으로부터의 물자 수송이 끊기고 소금세와 상세(商稅)에 의한
수입마저 사라져 버렸다.
경제적인 부와 제국 전역을 잇는 물류시스템은 대원제국을 지탱해온 기반이었다.
그것이 사라지고 있다는 것은 결국 제국 전체의 기능이 마비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그것을 타파하기 위해서는 군벌들의 지배아래 들어간 강남지역을 다시 장악하는 길밖에는 없었다.
그 역할을 맡고 나선 것이 바로 몽골 조정의 실력자 톡토였다.
여전히 몽골제국은 강남 지역을 제압할만한 군사력을 갖추고 있었다.
1,352년, 대군을 이끌고 반란군 토벌에 나선 톡토는 백련교를 이끌던 교주 한산동(韓山童)을 체포해 처형하고
홍건적에게 타격을 가했다.
1354년, 톡토는 소주(蘇州) 지역을 중심으로 해운항로와 제염지(製鹽地)를 장악한 소금 상인 출신 장사성(張士誠)에 대한
토벌에 나섰다. 톡토는 대군단을 편성해 장사성이 장악하고 있던 고우성(高郵城)에 대한 총공격에 나섰다.
이 싸움은 몽골군의 승리가 확실했고 장사성은 도망가지 않으면 안 되는 위기상황에 처했다.
▶ 쿠데타 의심에 톡토 제거 실수
톡토의 대군단이 장사성을 제압하고 강남으로 남하해 군벌 토벌에 나섰다면 아마도 주원장의 명나라는
존재하지도 않았을 가능성이 높다. 또 몽골제국의 수명도 좀 더 연장됐을 것이다.
그런데 톡토가 이끌고 간 군단이 너무 거대했다.
토곤 테무르는 톡토가 칼끝을 몽골황실로 돌려 황제가 되려는 것이 아닐까 하는 의심을 갖기 시작했다.
[사진 = 간신 하마 추정도]
물론 주변에서 그 가능성을 제기하며 톡토의 제거를 건의하는 무리들이 있었다.
바로 토곤 테무르를 둘러싸고 있으면서 대칸을 망쳐놓은 간신 하마(哈麻)였다.
톡토는 하마로부터 모함을 받아 탄핵됐고 결국 삭탈관직을 당한 채 유배됐다.
톡토는 처음에 회안(淮安)에 안치됐다가 다시 운남 대리로 옮겨졌다.
톡토의 복권을 두려워한 하마는 황제의 조서를 고쳐 1,355년 톡토를 독살했다.
하마는 어사대에 지시해 갖가지 죄명을 날조해 가짜 성지(聖旨)와 독약이 든 사신을 보내 톡토를 죽인 것으로 알려졌다.
최고 실권자인 톡토를 잃어버린 남벌군은 스스로 무너지면서 퇴각의 길에 올랐다.
이후 몽골은 소규모 전투로 대적하기는 했지만 곳곳에서 일어선 군벌들을 제대로 제압할 수 있는 기회를 갖지 못하게 된다.
▶ 톡토 제거, 원 멸망의 큰 원인
하마가 톡토를 모함해 죽이는 과정에 기왕후 모자를 끌어들인 것으로 알려졌다.
톡토가 독살 당하기 2년 전인 1353년, 황태자 책봉 과정에서 책봉식이 미루어지고 있는 것과 관련해
하마는 기왕후에게 당시 조정을 이끌고 있던 톡토의 반대 때문이라고 부추겼다.
이 때문에 기왕후는 톡토에 대한 좋지 않은 감정을 가지고 있었다.
[사진 = 고비사막]
자연히 대칸에게 톡토에 대해 좋지 않은 말을 자주하게 됐다.
그런 상황에서 하마의 모함이 있자 토곤 테무르는 그 말을 믿고 톡토의 병권을 회수하고
유배를 보내는 결정을 하게 됐다는 것이다.
비록 하마의 농간으로 일어난 일이지만 기왕후가 톡토를 제거하는 데 일조한 것은 그녀의 일생에서 가장 큰 잘못을 저지르는
결과를 가져왔다.
톡토가 반란군 토벌과정에서 모함을 받아 독살된 것은 원나라 멸망의 가장 큰 원인으로 꼽을 수 있다.
▶ 밀교에 빠져든 대칸
[사진 = 티베트 불교 부처]
톡토가 사라진 원나라 조정은 하마가 활개를 치는 곳이 됐다.
무엇보다 정치에 염증을 느끼고 있던 대칸을 홀려서 방중술(房中術)과 음사(淫奢)에 빠지도록 만든 것이
망국으로 가는 지름길이었다.
원사나 경신외사의 기록을 보면 토곤 테무르는 티베트 불교의 한 분파인 밀교(密敎)에 빠져든 것으로 보인다.
이 밀교는 남녀의 성적 교합을 통해 깨달음을 얻는다는 주장을 내세우고 있었다.
대칸을 여기에 빠져들도록 만든 간신은 하마와 하마의 매부인 투루 테무르(禿魯帖木兒)였다.
원사 혜종기(元史 惠宗紀)는
"하마와 투루테무르 등이 서천의 승려를 황제에게 은밀히 소개해 방중운기지술(房中運氣之術)을 행하였는데
황제는 이를 열심히 배웠다."고 기록하고 있다.
국가가 위기 상황에 처해 무너지고 있는 데 대칸이 밀교에 빠져 있었다는 것은
원나라를 망하게 하는 데 또 하나의 결정적인 원인이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