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용 제12장(제十二章) 군자(君子)의 도(道)는 비(費)하고 은미(隱微)하니라
君子之道는 費而隱이니라
군자(君子)의 도(道)는 비(費)하고 은미(隱微)하니라.
費는 用之廣也요 隱은 體之微也라
비(費)는 용(用)이 넓음이요, 은(隱)은 체(體)가 은미(隱微)함이다.
夫婦之愚로도 可以與知焉이로되 及其至也하여는 雖聖人이라도 亦有所不知焉하며 夫婦之不肖로도 可以能行焉이로되 及其之也하여는 雖聖人이라도 亦有所不能焉하며 天地之大也에도 人猶有所憾이라 故로 君子語大인댄 天下莫能載焉하며 語小인댄 天下莫能破焉이니라
부부(夫婦)의 어리석음으로도 참여하여 알 수 있으되 그 지극함에 이르러는 비록 성인(聖人)이라도 또한 알지 못하는 바가 있으며, 부부(夫婦)의 불초(不肖)함으로도 능히 행할 수 있으되 그 지극함에 이르러는 비록 성인(聖人)이라도 또한 능하지 못한 바가 있으며, 천지(天地)의 큼으로도 사람이 오히려 한(恨)하는 바가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군자(君子)가 큰 것을 말할진댄 천하(天下)가 능히 싣지 못하며, 작은 것을 말할진댄 천하(天下)가 능히 깨뜨리지 못한다.
君子之道는 近自夫婦居室之間으로 遠而至於聖人天地之所不能盡하여 其大無外하고 其小無內하니 可謂費矣라 然이나 其理之所以然은 則隱而莫之見也라 蓋可知可能者는 道中之一事요 及其至而聖人不知不能은 則擧全體而言이니 聖人도 固有所不能盡也니라 侯氏曰 聖人所不知는 如孔子問禮問官之類요 所不能은 如孔子不得位, 堯舜病博施之類라 愚謂 人所憾於天地는 如覆載生成之偏, 及寒署災祥之不得其正者라
군자(君子)의 도(道)는, 가까이는 부부(夫婦)가 집에 거처하는 사이로부터 멀리는 성인(聖人)과 천지(天地)도 능히 다할 수 없는 것에 이르러, 그 큼이 밖이 없고, 그 작음이 안이 없으니, 비(費)하다고 이를 만하다. 그러나 그 이치의 소이연(所以然)은 은미하여 드러나지 않는다. 알 수 있고 능할 수 있는 것은 도(道) 가운데의 한 가지 일이요, 그 지극함에 이르러 성인(聖人)도 알지 못하고 능하지 못한 것은 전체(全體)를 들어 말한 것이니, 성인(聖人)도 진실로 다하지 못하는 바가 있다.
후씨(侯氏)[후중량(侯仲良)]가 말하였다. “성인(聖人)도 알지 못하는 것은 공자(孔子)께서 예(禮)를 묻고, 관제(官制)을 물은 것과 같은 종류요, 능하지 못한 것은 공자(孔子)께서 지위를 얻지 못함과 요순(堯舜)이 널리 베푸는 것을 부족하게 여김과 같은 종류이다.”
내가 생각건대, 사람이 천지(天地)에 대하여 한(恨)한다는 것은 하늘이 덮어주고 땅이 실어주어 생성(生成)함에 있어서의 편벽됨과 추위와 더위, 재앙과 상서가 그 바름을 얻지 못함을 이른다.
詩云 鳶飛戾天이어늘 魚躍于淵이라하니 言其上下察也니라
《시경(詩經)》에 이르기를 “솔개는 날아 하늘에 이르는데, 물고기는 연못에서 뛰논다.” 하였으니, 상하(上下)에 이치가 밝게 드러남을 말한 것이다.
詩는 大雅旱麓之篇이라 鳶은 鴟類라 戾는 至也요 察은 著也라 子思引此詩하사 以明化育流行하여 上下昭著가 莫非此理之用이니 所謂費也라 然이나 其所以然者는 則非見聞所及이니 所謂隱也라 故로 程子曰 此一節은 子思喫緊爲人處니 活潑潑地라하시니 讀者其致思焉이니라
시(詩)는 〈대아(大雅) 한록편(旱麓篇)〉이다. 연(鳶)은 솔개의 종류이다. 여(戾)는 이르름이요, 찰(察)은 드러남이다. 자사(子思)는 이 시(詩)를 인용하여 화육(化育)이 유행(流行)하여 상하(上下)에 밝게 드러남이 이 이(理)의 용(用) 아님이 없음을 밝혔으니, 이른바 비(費)라는 것이다. 그러나 그 소이연(所以然)은 보고 들음이 미칠 수 있는 바가 아니니, 이른바 은(隱)이라는 것이다. 그러므로 정자(程子)가 말씀하기를 “이 1절(節)은 끽긴(喫緊)[요긴(要緊)]하게 사람을 위한 것으로 활발발(活潑潑)[생동감(生動感) 넘침] 한 곳이다.” 하였으니, 읽는 자들은 생각을 다하여야 할 것이다.
君子之道는 造端乎夫婦니 及其至也하여는 察乎天地니라
군자(君子)의 도(道)는 단서가 부부(夫婦)에게서 시작되니, 그 지극함에 미쳐서는 천지(天地)에 밝게 드러난다.
結上文이라
위 글을 맺은 것이다.
右는 第十二章이라 子思之言이니 蓋以申明首章道不可離之意也라 其下八章은 雜引孔子之言以明之니라
우(右)는 제12장(第十二章)이다. 이는 자사(子思)의 말씀이니, 수장(首章)에 도(道)는 떠날 수 없다는 뜻을 거듭 밝힌 것이다. 이 아래 여덟 장(章)은 공자(孔子)의 말씀을 섞어 인용하여 이것을 밝힌 것이다.
--------------------------
(중용 12장)
君子之道,費而隱。
夫婦之愚,可以與知焉,及其至也,雖聖人亦有所不知焉。
夫婦之不肖,可以能行焉,及其至也,雖聖人亦有所不能焉。
天地之大也,人猶有所憾。
故君子語大,天下莫能載焉,語小,天下莫能破焉。
군자지도 비이은
부부지우 가이여지언 급기지야 수성인역유소부지언
부부지불초 가이능행언 급기지야 수성인역유소불능언
천지지대야 인유유소감
고군자어대 천하막능재언 어소 천하 막능파언
<직역>
군자의 도(君子之道)는 널리 쓰이(費)지만(而) 은밀(隱)하다
부부(夫婦)의(之) 어리석음(愚)으로도 함께(與) 알(知) 수 있(可以)다(焉) 그 지극함(其至)에 미쳐(及)서는(也) 비록(雖) 성인(聖人)이라도 역시(亦) 알지 못하(不知)는 바(所)가 있(有)다(焉)
부부(夫婦)의(之) 어리석음(不肖)으로도 능(能)히 행(行) 할 수 있(可以)다(焉) 그 지극함(其至)에 미쳐(及)서는(也) 비록(雖) 성인(聖人)이라도 역시(亦) 할 수 없는(不能) 바가 있(有所)다(焉)
천지(天地)의(之) 위대함(大)에도(也) 사람(人)은 오히려(猶) 섭섭해하(憾)는 바(所)가 있다(有)
그러므로(故) 군자(君子)가 큰 것(大)을 말하(語)면 천하(天下)에 실을(載) 수(能)가 없(莫)다(焉) 작은 것을 말하(語小)면 천하(天下)가 능히(能) 쪼갤(破) 수 없(莫)다(焉)
<번역>
군자의 도는 모든 사람이 알 정도로 보편적이지만 한편으로는 알 수 없을 만큼 은밀하다. 어리석은 부부도 군자의 도를 알 수 있지만 그 지극한 면은 비록 성인이라도 다 알 수 없다. 어리석은 부부도 군자의 도를 능히 실행할 수 있지만 지극한 도는 성인이라도 다 실행할 수 없다.
천지가 끝없이 커다해도 사람은 천지에 대해 유감을 가지기도 한다. 이처럼 군자는 천하에 다 실을 수 없을 만큼 큰 것을 말하기도 하고, 쪼갤 수 없을 정도로 작은 것을 말하기도 한다.
<해설>
공자가 이상적 인간으로 설정한 군자가 행하는 도는 누구나 아는 수준에서 성인도 모르는 수준까지 광범위하며 쪼개면 좁쌀보다 작은 일에도 그 도가 행해지기도 하지만 크게는 천지보다 더 거대하다고 말한다. 군자의 도가 천지가 운행하는 이치(理)란 말인가? 알 수 없다.
<한자해석>
費(쓸 비) : 쓰다, 소모하다, 널리 쓰이다, 닳다, 비용
愚(어리석을 우) : 어리석다, 고지식하다, 나
可以(가이) : 할 수 있다, 해도 좋다
雖(비록 수) : 비록, 설사 ~이더라도
不肖(불초) : 못나고 어리석음, 부모를 닮지 않음
肖(닮을 초) : 닮다, 본받다
憾(섭섭할 감) : 섭섭하다, 한하다, 근심하다
焉(어찌 언) : 어찌, 어찌하여, 어디, 어떻게, ~인가, ~인 것이다, 임이 틀림없다
<영역>
The way which the superior man pursues, reaches wide and far, and yet is secret. Common men and women, however ignorant, may intermeddle with the knowledge of it; yet in its utmost reaches, there is that which even the sage does not know. Common men and women, however much below the ordinary standard of character, can carry it into practice; yet in its utmost reaches, there is that which even the sage is not able to carry into practice. Great as heaven and earth are, men still find some things in them with which to be dissatisfied. Thus it is that, were the superior man to speak of his way in all its greatness, nothing in the world would be found able to embrace it, and were he to speak of it in its minuteness, nothing in the world would be found able to split it.
詩云:「鳶飛戾天;魚躍于淵。」言其上下察也。
君子之道,造端乎夫婦;及其至也,察乎天地。
시운 연비려천 어약우연 언기상하찰야
군자지도 조단호부부 급기지야 찰호천지
<직역>
시경에서 말했다(詩云) 솔개(鳶)는 날아(飛) 하늘(天)에 이르고(戾) 고기(魚)는 못에서(于淵) 뛴다(躍) 그(其) 상하(上下)가 드러남(察)을 말하는 것이다(言也)
군자의 도(君子之道)는 부부(夫婦)에서(乎) 단초(端)가 만들어(造)지지만 그 지극함(其至)에 미쳐서(及)는(也) 천지(天地)에 드러난다(察乎)
<번역>
시경에서 말했다. 솔개는 날아 하늘에 닿고 물고기는 연못에서 뛰노네.
이는 군자의 도가 하늘과 땅 어디에서든 나타남을 말하는 것이다.
군자의 도는 부부에서 시작해 끝내는 지극히 멀리 천지에까지 다 나타나게 된다.
<해석>
시경구절은 시경 대아에서 문왕을 칭송하는 시 한록(旱麓)에 나오는 구절이다. 이어지는 구절까지 살펴보면 鳶飛戾天 魚躍于淵 豈弟君子 遐不作人(솔개는 날아 하늘에 닿고 물고기는 연못에서 뛰노네. 즐겁고 편한 군자여 어찌 사람들을 진작시키지 않으리.)
인용된 시의 뜻은 문왕이 정치를 잘하니 솔개도 하늘 끝까지 즐거이 오르고 물고기도 기뻐 뛴다는 것. 군자의 뜻이 잘 펼쳐져 하늘과 땅 끝까지 은혜 충만하다 정도의 말을 하고 있다. 그 다음 구절은 인륜의 도는 남녀가 있고 난후 부부의 도가 생기고 그 다음 자식이 생기니 부자의 도가 생기고 그 다음 군신의 도가 생기고 예와 충이 생겨나기 때문에 부부에서 군자의 도가 시작되어서 하늘과 땅끝까지 그 도가 번져나감을 설명하는 것이다.
<한자해석>
鳶(솔개 연) : 솔개, 연,
戾(어그러질 려) : 어그러지다, 거스르다, 사납다, 세차다, 이르다, 돌려주다
于(어조사 우) : ~에, ~에서, ~에게, ~부터, ~보다
躍(뛸 약) : 뛰다, 뛰어오르다
察(살필 찰) : 살피다, 살펴 알다, 드러나다, 상고하다
端(끝 단) : 끝, 한계, 시초, 실마리
乎(어조사 호) : ~인가, 이냐? ~도다, ~에(於와 같은 의미)
<영역>
It is said in the Book of Poetry, "The hawk flies up to heaven; the fishes leap in the deep." This expresses how this way is seen above and below. The way of the superior man may be found, in its simple elements, in the intercourse of common men and women; but in its utmost reaches, it shines brightly through Heaven and ear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