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TG p.95 Changes in the Relative Scope of Negation에서 36번, 37번 예문에 대해 질문이 있습니다.
교수님께서 강의 중 아래와 같이 말씀해 주셨습니다.
36) "Tom deliberately did not destroy the evidence."
올바른 tag question = "didn't he?"
37) "Tom didn't deliberately destroy the evidence."
올바른 tag question = "did he?"
위와 같이 두 예문의 tag question이 다르다고 하셨는데, 이 부분이 잘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두 문장 모두 main clause의 "did"가 부정되고 있는 통사론적 부정문이므로 tag question은 "did he?"가 맞는 것이 아닌가요?
다만 부사 "deliberately"가 "not"의 scope 안에 포함되느냐 아니냐에 따라 의미가 달라지는 것이라고 해석했습니다.
답변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첫댓글 안녕하세요 선생님!! 제가 이해한 바를 말씀드려보겠습니당!!
36) Tom deliberately did / not destroy the evidence.
: Tom은 의도적으로 했다!!!! 증거를 파기하지 않는 것을 -> 증거 파기 X 의도적 O
👉🏻 not의 작용범위가 destroy에 미치므로 tag question은 didn’t he?
의미) Tom acted deliberately in not destroying the evidence.
37) Tom didn’t deliberately / destroy the evidence.
: Tom은 의도적으로 하지 않았다!!!! 증거를 파기하는 것을 -> 증거 파기 O 의도적 X
👉🏻 not의 작용범위가 did deliberately에 미치므로 tag question은 did he?
의미) Tom did not act deliberately in destroying the evidence.
따라서 두 문장 모두 did가 부정되고 있지는 않아서 tag question도 달라지게 됩니다!!
문장을 전체적으로 해석하다보면 더 어려워서 끊어서 해석하시면 이해하실 수 있으실거에요 :)
선생님 답변 감사합니다! 그런데 제가 이해한 바로는 tag question은 의미보다는 통사적인 부정인지 여부를 따지는데, 위 두 문장은 모두 통사적으로 부정문이 아닌가요?ㅜㅜㅜ 너무 헷갈리네요... 통사적으로 부정이더라도 그 안에 deliberately와 같이 특정 부사어가 쓰인 경우 그 부사어의 위치에 따라 not의 작용범위가 달라질 수 있다고 이해하면 될까요??
@ucham 저는 통사적 부정에서도 not의 작용범위가 한 번만 사용된다고보면 36은 not이 destroy인거고 37은 not이 did deliberately로 이해했습니다!
@ucham 네! 그래서 부사 deliberately 때문에 의미가 달라지는 문장인걸로 이해하시면 더 속편하실거에요•••ㅋㅋㅋㅋㅋ큐ㅠㅠㅠ
@Woney 아 네 알겠습니다! 아직 영어학 공부 초반이라 통사론적인 지식이 부족해서 더 어려운 것 같네요 ㅎㅎ ㅜㅜ 친절한 답변 감사합니다~~!! 👍👍
@ucham 홧팅입니당!!!! >_<
@Woney 안녕하세요 선생님! scope 관련하다 글을 발견하게 되어 글 남깁니다! 선생님이 해주신 답변 중 "두 문장 모두 did가 부정되고 있지는 않아서" 여기에서 37) 은 통사적으로 did가 부정되고 있는 것 아닌가요? 그래서 올바른 tag Q도 did he? 인 것 아닌가요?
@일단하자 제가 말한 “모두 부정되다“ = ”모든 문장 (2문장)에서 did가 부정된다는게 아니라 각 문장마다 부정되는 요소가 다르다“ 이런 의미로 썼어요~ 그래서 뒤에 tag question도 달라진다는 말로 이어지게 설명했습니다! 댓글 보시면 쌤이 말씀하신 바와 같습니당
@Woney 아아 이해했습니다! 빠르게 답변 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남은 하루 편안하게 마무리하세요 :)
@일단하자 네! 쌤두 불금 보내세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