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용~ 나모나모 입니다~
이거 스노우보드 스쿨 게시판에 올리려니... 안되요..-0-;; 그래서 여기다 올려요..ㅜㅜ
지지난주 크리닉때 이론 강습을 하던중... 스노우보드를 아시는 분들은 용어에 대한 거부감이 없을 텐데요.
초보 분들은 용어에 대한 이해도가 필요 할 듯 하더라구요..
명색이 올원 스노우 보더라면 이정도 용어는 숙지 하고 계시는 것이 좋을 듯 하여~ 간단하게 정리 해봅니다..
1. 장비
- 데크 : 일명 판때기...
- 바인딩 : 데크와 저희 몸뚱이을 고정 시켜 줍니다. 토우스트랩, 앵클스트랩, 하이백, 베이스 플레이트 이렇게 크게 나뉩니다.
※ 간혹가다 발이 아프시다고 바인딩 체결을 헐렁 하게 하시는 분들이 있습니다. 이럴 경우는 데크를 저희 마음데로
콘트롤 하기가 불가능 합니다. 발이 아픈 원인은 바인딩 셋팅이나 부츠에 간섭 부분이 없는지 한번더 체크 하심
됩니다.
- 부츠 : 신발... 굳이 설명은 않겠습니다... 참고로 부츠는..... 좋은거 사세요........ 좋은건....... 발도 편하고 좋은데... 비싸요..- -;;;
- 안전보호구 : 고글, 헬멧, 궁디 보호대, 무릎 보호대 필히 착용 하세용~~
손목, 상체보호대는 선택입니다.!!
※ 고글이 왜 안전보호구냐!!! 운영진중 재하님께 문의 해보세요..-0-;;; 왜 안전보호구인지..ㅎㅎㅎ
2. 기초 공통 용어 (많이 쓰이는 거만 정리 합니다.)
- 스탠스 : 스노우 보더의 진행 방향을 뜻합니다. 레귤러 / 구피가 있습니다.
가끔 초보 분들께 스탠스가 뭐에요? 라구 여쭈으면 ..당황 하시지 말고!!
레귤러/구피 입니다. 라고 말하심 됩니다. 하지만 스탠스는 정해진게 아닙니다. 자신이 가장 편한 방향이
스탠스가 될수 있습니다.!!
레귤러 : 보통 오른손 잡이들, 오른발 잡이의 스탠스 입니다.
구피 : 왼손 잡이, 왼발 잡이 스탠스
- B.B.P : 비비피!!!! 영어로 하면 밸런스드 바디 포지션, 베이직 바디 포지션, 베스트 바디 포지션...으로 불립니다.
물론 초급 용어지만 중/상급 까지도 쓰이는 용어 입니다. 무지 중요하죠!
모든 스노우보드 기술의 기본 자세를 뜻합니다.
양발을 어깨 넓이로 벌린후 무릎으로 부츠를 눌러 발앞꿈치가 보이지 않을 정도까지 내려주세요.
※ 주의할 점 : 허리는 펴세요! 궁디 빠지면 궁디 팡팡!! 합니다...;;;;
- 로테이션 : 쉬운말로 회전입니다. 스노우 보드에 로테이션이 빠질수 없는 요소 입니다.
참 말처럼 안되는것이 이 로테이션입니다. 안된다고 포기 하지 마시고~~!!! 화잇팅!
- 스케이팅 : 한발만 바인딩을 체결하고 밀면서 다니는 것을 말합니다.
※ 초보분들은 안되더라도... 연습 많이 하시면~~~ 라이딩에도 도움이 됩니다~~~
- 슬로프 : 스키장의 코스를 이야기 합니다~
- 폴라인 : 경사진 곳에 공을 놓으면 공이 그 경사면을 따라서 굴러가죠???? 그길을 폴라인이라고 부릅니다.
-....... 요정도까지만... ㅡ.,ㅡ;;;
3. 기술용어 (각 기술의 목적이나 방법은 서술 하지 않겠습니다. 다음 버전에서 기술 하도록 하겠습니다.)
- 사이드 슬리핑 : 힐 사이드 / 토우 사이드 두가지 입니다.
힐 사이드 슬리핑 : 보더가 산 아래를 보고 미끄러짐
토우 사이드 슬리핑 : 보더가 산 위를 보고 미끄러짐
- 펜듈럼 : 일명 낙엽!! 역시 힐 사이드 / 토우 사이드 두가지 입니다.
- 트레버싱 : 사활강이라고 합니다. 슬로프의 양 끝을 길게 왔다리 갔다리 하면 좋겠지만.. 사람이 많으면???? ㅎㅎㅎㅎ
- 갈란데(하프턴) : 쉽게 반턴... 비기너턴의 완성 전 단계입니다.
- 비기너턴 : 베이직 턴이라고도 합니다. 로테이션으로 베이스를 최대한 사용 하여야 됩니다. 엣지가 심하게 박힐 경우에는
카빙이 될 수도 있으니 이점 유의 해주세요.
- 너비스턴(Up/Down) : 비기너턴 + Up/Down 입니다.
Up/Down 이란 앉았다 일어서기인데요. 그냥 앉았다 일어서기가 아닙니다.
Up : 일어서는 동작입니다. 일어서면서 데크에 실린 하중을 풀어주는 동작입니다.
Up 동작에 엣지 체인징이 됩니다. 빠르게 UP! 한박자에 올려 주세요. 안그럼??????
별을 보게 되니.. 조심하세요...
Down : 앉을때 보더의 체중을 이용하여 프레스를 주어 데크를 누르는 것입니다.
Down은 길게 해주셔야 됩니다.~ Down~~~~~~~~~~~~~~~~
- 슬라이딩턴 : 인터미디어트 / 어드밴스드 슬라이딩 턴으로 나뉩니다.
- 카빙턴 : 인터미디어트 / 어드밴스드 카빙 턴으로 나뉩니다.
- 업 언웨이티드-다운 웨이티드 : Up 을 하면서 압력을 풀고 Down 을 하면서 압력을 주는 턴 입니다.
(우리가 흔히 하는 턴 입니다)
- 업 웨이티드-다운 언웨이티드 : Up 을 하면서 압력을 주고 Down 을 하면서 압력을 푸는 턴 입니다.
( 우리가 흔하 하는 턴의 업/다운을 반대로 하는 턴입니다.)
- 스티어링 : 상체 / 하체 스티어링, 무릎, 발목 을 사용합니다.
이정도 용어만 초보분들께서 숙지 하신다면 클리닉이나 캠프때 훨씬 수월 할 것으로 사료 됩니다~
더 추가 사항이나 궁금 하신점은 기술팀에 문의 하세요~~ 저 말구요 ㅋㅋㅋ -0-;;;;
그럼 전 이만~~ 슝~~
첫댓글 오~ 좋다!! ㅋㅋ
땡큐!!!
꽃보더: 꽃처럼 이쁜여자 보더(보드타는 사람)
좋은 정보감사합니다 클리닉 1차들어서인지 대충 감이 오네요
오~~~ 좋은 글 이고만~~
아~~확실하게 알겠네요. 용어정리 감사합니다^^
굿~~~감사합니다~^^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14.12.07 22:55
많은 도움이 됬어요 감사합니다^^
오~ 좋은 정보 굿굿굿^^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ㅎㅎ
잘보고 갑니다.
굿굿~~카빙턴 뒤에 오타만 수정해주세욜~~ㅎㅎㅎ
감사합니당~~~
좋은 내용이네요.
여러 분들께 유용하겠어요~
조금 수정했으면 하는게 있는데요.
- 카빙턴 : 인터미디어트 / 어드밴스드 카빙 턴이 있습니다.
- 업 언웨이티드-다운 웨이티드 : Up 을 하면서 압력을 풀고 Down 을 하면서 압력을 주는 턴 입니다. (우리가 흔히 하는 턴 입니다)
- 업 웨이티드-다운 언웨이티드 : Up 을 하면서 압력을 주고 Down 을 하면서 압력을 푸는 턴 입니다. ( 우리가 흔하 하는 턴의 업/다운을 반대로 하는 턴입니다.)
앗~ 조언 감사 합니다~ 본문 수정 하였습니다~~ ^^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초보분들에게 필요한 용어네요~~~ ^^
더 좋은 정보 많이 올려야 하는데... ㅡㅡ;;; 게을러서 ㅋㅋㅋㅋㅋ
어렵네여... 그냥 외우기에는 벅차고 배우면서 들으면 알듯해여 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