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장 앞부분은 그리스도의 재림에 대한 이야기의 연속입니다. 1~11절을 보겠습니다.
1 형제자매 여러분, 그 때와 시기를 두고서는, 여러분에게 더 쓸 필요가 없겠습니다.
2 주님의 날이 밤에 도둑처럼 온다는 것을, 여러분이 잘 알고 있습니다.
3 사람들이 "평안하다, 안전하다" 하고 말할 그 때에, 아기를 밴 여인에게 해산의 진통이 오는 것과 같이, 갑자기 멸망이 그들에게 닥칠 것이니, 그것을 피하지 못할 것입니다.
4 그러나 형제자매 여러분, 여러분은 어둠 속에 있지 않으므로, 그 날이 여러분에게 도둑처럼 덮치지는 않을 것입니다.
5 여러분은 모두 빛의 자녀요, 낮의 자녀입니다. 우리는 밤이나 어둠에 속한 사람이 아닙니다.
6 그러므로 우리는 다른 사람들과 같이 잠자지 말고, 깨어 있으면서, 정신을 차립시다.
7 잠자는 사람들은 밤에 자고, 술에 취하는 사람들도 밤에 취합니다.
8 그러나 우리는 낮에 속한 사람이므로, 정신을 차리고, 믿음과 사랑을 가슴막이로 하고, 구원의 소망을 투구로 씁시다.
9 하나님께서는 우리를 진노하심에 이르도록 정하여 놓으신 것이 아니라,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구원을 얻도록 정하여 놓으셨습니다.
10 그리스도께서 우리를 위하여 죽으신 것은, 우리가 깨어 있든지 자고 있든지, 그리스도와 함께 살게 하시려고 하는 것입니다.
11 그러므로 여러분은 지금도 그렇게 하는 것과 같이, 서로 격려하고, 서로 덕을 세우십시오.
주님의 날이 밤에 도둑같이 온답니다. 언제 올지 모른다는 것이지요. 주님께서 도둑같이 오신다는 기록은 복음서에도 나옵니다. 정말 다행입니다. 주님께서 날짜를 대충이라도 알려주셨다면 얼마나 큰 혼란이 일어났을까요.
구약성서에 나오는 ‘주님의 날’은 여호와의 날이었고 심판의 날이었습니다. 본문이 말하는 주님의 날도 하나님의 날입니다. 아울러 예수께서 재림하시는 날이며 심판의 날이기도 합니다. 그런데 그 날이 언제인지는 아무도 모른답니다. 아들도 모르고 천사도 모르고 아버지만 아신답니다. 그러니 늘 깨어 있으라는 것입니다. 당연히 이 모든 기록은 초대교회 교인들의 희망의 언어로, 그리고 고백의 언어로 읽으셔야 합니다. 물론 당대 사람들은 사실의 언어라고 생각했겠지만 말입니다.
이어지는 본문은 데살로니가 교인들을 향한 사도 바울의 마지막 권면과 인사말입니다. 그런데 여기에서도 사도 바울의 애정 어린 잔소리가 이어집니다.
서로 화목하게 지내랍니다. 무질서하게 사는 사람을 훈계하고, 마음이 약한 사람을 격려하고, 힘이 없는 사람을 도와주고, 모든 사람에게 오래 참으랍니다. 아무도 악으로 악을 갚지 말고 도리어 서로에게, 그리고 모든 사람에게 항상 좋은 일을 하려고 애쓰랍니다. 항상 기뻐하고 끊임없이 기도하고 모든 일에 감사하랍니다. 이것이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그리스도인들에게 바라시는 하나님의 뜻이랍니다.
바울의 애정 어린 훈계는 계속됩니다. 성령의 불을 끄지 말고, 예언을 멸시하지 말고, 모든 것을 분간하고, 좋은 것을 굳게 붙잡으랍니다. 그리고 여러 가지 모양의 악을 멀리하랍니다. 자신은 데살로니가 교인들을 위해, 평화의 하나님께서 친히 그들을 완전히 거룩하게 해주시고, 예수 그리스도께서 오실 때에 그들의 영과 혼과 몸을 흠이 없고 완전하게 지켜주시기를 빌겠답니다.
데살로니가 교인들에게 부탁도 합니다. 자신과 동역자들을 위해 기도해 달랍니다. 거룩한 입맞춤으로 모든 형제자매에게 문안도 해달랍니다. 그리고 모든 형제자매에게 이 편지를 읽어달랍니다. 글을 읽지 못하는 교우들을 위한 배려입니다. 마지막으로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은혜가 여러분과 함께 있기를 빕니다.’ 라는 말로 작별의 인사말을 마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