곤륜산맥(崑崙山脈)


길이 2,500km, 최고봉은 무쯔타거산[木孜塔格山:7,723m]이다. 북쪽으로는 아얼진[阿爾金]산맥에 이어지는 치롄[祁連]산맥 이외에 코코실리산맥 등 여러 개의 지맥으로 갈라진다. 동부 북쪽에 타림분지(盆地), 서부 지맥 사이에 차이다무분지 등이 있다. 5,000m를 넘는 높은 봉우리가 많아 기후가 극도로 건조하며 추위가 심하여 서식하는 동 ·식물도 적다. 동부에서 황허강[黃河] ·양쯔강[揚子江]이 발원한다. 중국의 주요 산맥은 대부분이 쿤룬 산계(山系)에 포괄되어 있어 중국의 지형상 곤륜산맥이 지니는 의미는 매우 크다.
중국서부의 간선 산맥으로 서쪽 파미르고원으로부터 신장위구르자치구(新疆维吾尔自治区)를 횡단하며 신장위구르자치구(新疆维吾尔自治区)와 시짱자지구의 경계를 이루고 칭하이성(青海省) 서부 및 쓰촨성(四川省) 북부에까지 맞닿아 있는 산맥으로 길이가 2,500㎞에 달한다.
서단(西段)은 타림분지(塔里木盆地) 남쪽 가장자리에서 서북~동남주향(走向)을 보이며 동북 비탈은 험준하고 서남은 카라코람산맥(喀喇昆仑山脉, 객라곤륜산맥)과 접하고 있다. 주요 산으로는 궁커얼산(公格尔山, 공격이산) 7,719m, 궁커얼주볘봉(公格尔九别峰) 7,595m, 무스타커산(慕士塔格山) 7,546m, 무스산(慕士山) 7,282m 등 높은 봉우리가 많다.
곤륜산맥은 동경 81도 부근의 동단에서 동서방향에서 전환되어 3개의 가지로 갈라지는데 북쪽은 기만탑격산(祁曼塔格山)으로 차이다무분지(柴达木盆地, 시달목분지)의 서남 가장자리를 구성하며 중간부분은 아얼커산(阿尔格山)으로 동쪽으로 포이한포달산(布尔汗布达山), 아니마칭산(阿尼玛卿山, 아니마경산)과 연결되고 있다. 남쪽은 커커시리산(可可西里山, 가가서리산)으로 바옌카라산(巴颜喀拉山, 파언객랍산)으로 연결되어있으며 바옌카라산(巴颜喀拉山)은 황하(黃河)와 창강(长江)의 분수령이다.
이 지역의 특산물로는 신장 화톈(和田, 화전)의 쿤룬산록(崑崙山麓)에서 산출되는 최고 등급의 옥(玉)으로 고대로부터 중원지구 옥석(玉石)의 주요 원천이었으며 이로 인해 천자문(千字文)에도 옥출곤강(玉出昆崗)이라는 문구가 있다. 또한 쿤룬산은 도교의 성산(聖山)으로 신화 상의 여신 서왕모(西王母)가 이곳에 살고 있다고 전해져왔다.
쿤룬 산맥은 타지키스탄이 파미르 고원에서 동쪽으로 이어져 티베트-신장 지구를 거쳐 칭하이 성의 시노-티베트 산맥까지 장장 2,000킬로미터나 이어진 아시아 최대 산계이다. 쿤룬 산맥을 경계로 북부의 높은 티베트 고원과 중앙아시아의 평원이 나뉜다. 이 산맥에는 해발 5,791미터 봉우리가 200개가 넘는다. 가장 높은 봉우리는 무쯔타거, 콩구르타흐와 동베이이다. 쿤룬 산맥의 동쪽 사면은 폭이 600킬로미터에 달하며 넓은 골짜기와 수많은 산으로 다시 나뉜다.
서쪽 사면은 동사면보다 더 작은데 세 개의 산줄기가 평행하게 달리고 있으며 폭은 95킬로미터이다. 인도양과 태평양에서 불어오는 계절풍이 이 지역까지 미치지 않기 때문에 매우 건조하다. 그뿐만 아니라 이곳은 하루 중 기온과 계절별 기온의 차가 매우 심하며 바람도 몹시 센 편인데 특히 가을이 더 심하다. 토양이 척박하고 물이 부족하며 추위 때문에 쿤룬 산맥에 서식하는 동식물은 매우 한정되어 있다. 따라서 이곳에는 사람이 거의 살지 않으며 접근하기도 매우 어렵다.
[네이버 지식백과] 쿤룬 산맥 [Kunlun Mountains] (죽기 전에 꼭 봐야 할 자연 절경 1001, 2008.1.16, 마로니에북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