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Pontifex Maximus(최고제사장)
=> 폰티펙스 막시무스
* Office of Pontifex Maximus(현직 최고제사장) => 영향력+5
Ex Pontifex Maximus(전직 최고제사장) => 영향력+3
- 말그대로 제사장(종교직) 중 최고위직입니다.
2.Censor(감찰관, 시오노옹께서는 재무관이라고 부르십니다)
=> 켄소르, 영어발음은 당연히 센서~겠지요?
* Office of Censor => 영향력+3, 경영력+2
Ex Censor => 영향력+2
- 시오노옹의 말씀을 빌리자면, 원래는 인구조사를 맡기기 위해 창설된 조직이었다.
로마의 인구수 조사는 총인구의 조사라기보다는 호주들의 재정상태에 관한 조사였다.
감찰관도 재무관도 대강 맞는거 같습니다. 어차피 한문으로 번역하는거니까 머...
3.Consul(집정관)
=> 콘술, 영어발음은 컨설~맞나=,=?
* Office of Consul => 지휘력+2, 영향력+2
Ex Consul => 지휘력+1
- 집정관입니다...--;; 말안해도 다 아시겠죠? 넘어가죠~
4.Praetor(집정관 또는 치안관, 역시 시오노옹께서는 법무관이라고 부르십니다)
=> 프라이토르, 영어발음은 프래터.
* Office of Praetor => 경영력+1, 법(law)+2
Ex Praetor => 법(law)+1
- 시오노옹은, 처음에는 전쟁터에 나간 지정관의 업무를 대행했다.
하지만 그 뒤로 점점 사법책임자로 바뀌어 갔다.
때로는 필요하면 집정관을 대신하여 군대를 지휘하기도 했다.
음... 치안관보다는 법무관 쪽에 가깝네요. 말을 하나 만들자면 부집정관(퍽)
5.Aedile(조영관, 시오노옹은 안찰관이라고 부르십니다)
=> 아이딜리스, 영어발음은... 도저히 모르겠어서 사전을 찾아보니 이데일이네요///
* Office of Aedile => 경영력+1, 법(law)+1
Ex Aedile => 법(law)+1
- 임무1.축제행사의 연출, 경기대회 개최(- ㅡa)
임무2.치안유지를 위한 업무
임무3.식량공급의 원활함
그외에도 도로의 보수, 교통정리, 상하수도 관리... 더이상은 쓰기 귀찮군요(- ㅡ;;)
조영관이냐 안찰관이냐, 왈가왈부하기는 힘든 직업입니다.
6.Quaestor(검찰관 후에는 재무관, 시오노옹은 회계감사관이라고 부릅시네요)
=> 콰이스토르, 영어발음은 퀘스터겠죠, 머... 사전 찾기 귀찮네요(퍼벅)
* Office of Quaestor => 경영력+1
Ex Quaestor => 영향력+1
- 중요한 업무중 하나는 전쟁터에서 업무를 담당하는 일이었습니다.
쩝... 그냥 그렇게만 알아두십시오.
여기서 Office of XXX(현직 XXX)는 지금 이 직위에 있을 때, 생기는 부가적인 능력이고 Ex XXX(전직 XXX)는 한번 이 직위를 지냈을 때, 생기는 부가적인 능력입니다. 한마디로 콰이스토르라는 직책에 있을 때는 매니지먼트+1이었다가 짤리거나(;;) 다른 직책으로 넘어가면 매니지먼트+1은 사라지고 영향력+1이 생긴다는 말입니다.
언제가 한번 어떤 분들이 게임상 직위의 임기를 고증대로 했으면 좋겠다는 리플을 본적이 있는데 제 생각에는 그건 좀 힘들것 같습니다. 콘술, 프라이토르, 아이딜리스, 콰이스토르는 임기가 1년이라서(켄소르 역시 1년반) 게임상 1년은 2턴밖에 안됩니다. 물론 재선도 가능하지만 차라리 재선을 하려면 지금 그대로가 더 괜찮은 것 같네요.
당선됐다가 2턴만에 짤리면 그 자리를 채워야할 장군이 또 올라가야하니까 몇십년만 지나도 모든 장군들이 모든 직책을 경험하는 진풍경이 벌어질지 모릅니다.
물론 숫자는 더욱이 힘드네요. 콰이스토르는 나중가면 40명까지 늘어나기도 하니까요(- ㅡ;;). 그나마 연령제한이 제일 괜찮은듯... 그럼 이만 줄이겠습니다. 정말 오랜만에 들어와서 주절주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