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충체육관 50년 만에 '복합 문화체육시설'로 화려하게 부활

중국동포 문화축제가 많이 열렸던 장충체육관이 화려하게 새단장하여 문을 열었다. 장충체육관은 1963년 2월 1일 국내 최초 실내경기장으로 개관, 아마추어 농구를 비롯해 박치기왕 김일 선수의 프로레슬링 경기, 12대 대통령 선거까지 등 수 많은 역사를 간직한 체육관이다.
외부디자인은 부채춤, 강강술래 등 한국의 대표적인 춤·놀이를 형상화했으며 시설물 안전에 역점을 뒀다. 관람석엔 가족·연인석 등 테마석과장애인 배려석이 마련됐으며, 뮤지컬, 콘서트 등 각종 문화공연이 가능하도록 최첨단 음향, 조명, 전광판, 방송중계 설비 등도 갖췄다. 3호선 동대입구역-체육관 전용 연결통로가 신설돼 접근성도 높아졌다.
서울시와 서울시설공단은 지난 ‘12년 5월 장충체육관 노후시설 개선을 위한 리모델링에 착수한 지 2년 8개월 만에 공사를 마치고 15일(목) 내·외부 모습을 첫 공개했다.
정식 개장식은 17일(토) 오후 1시에 열렸다. 개장식엔 신동파, 장윤창, 홍수환, 김광선, 이왕표 선수 등 장충체육관을 빛낸 왕년의 스포츠스타 100여 명이 총출동하며, 17일(일)~25일(일) 시민 개방을 비롯, 프로배구 올스타전, 전국노래자랑 등으로 꾸며지는 개장 주간 행사가 대대적으로 열린다.
장충체육관은 리모델링을 거치며 당초 지하1층~지상3층(연면적 8,385㎡)에서 지하2층~지상3층 연면적 1만1,429㎡ 규모로 커졌다.총 관람석은 4,507석.
신설된 지하2층엔 그동안 부족했던 선수들의 연습 공간이자 체력단련 공간인 564.7㎡ 규모 보조경기장, 헬스장을 비롯해 인근 주민들이 이용할 수 있는 생활체육 공간을 새롭게 마련했다. 아울러 ▲지하1층엔 지역주민들이 여가활동을 즐길 수 있는 ‘스포츠 활동실’ ▲지상1층 주경기장 및 선수대기실, 심판실, 관리실 등 경기관련 및 운영지원시설 ▲지상2층 일반관람석 및 매표소, 카페테리아 등 서비스시설 ▲지상3층 일반관람석이 자리한다.
@동포세계신문(友好网報) 제331호 2015년 1월 23일 발행 동포세계신문 제331호 지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