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용 제14장(第十四章) 군자는 현재의 위치에 따라 행하고, 그 밖의 것을 원하지 않는다
君子는 素其位而行이요 不願乎其外니라
군자(君子)는 현재의 위치에 따라 행하고, 그 밖의 것을 원하지 않는다.
素는 猶見(現)在也라 言 君子但因見在所居之位하여 而爲其所當爲요 無慕乎其外之心也라
소(素)는 현재와 같다. 군자(君子)는 단지 현재 처해 있는 바의 위치에 따라 마땅히 해야 할 것을 하고, 그 밖의 것을 사모하는 마음이 없음을 말씀한 것이다.
素富貴하얀 行乎富貴하며 素貧賤하얀 行乎貧賤하며 素夷狄하얀 行乎夷狄하며 素患難하얀 行乎患難이니 君子는 無入而不自得焉이니라
부귀(富貴)에 처해서는 부귀(富貴)대로 행하며, 빈천(貧賤)에 처해서는 빈천(貧賤)대로 행하며, 이적(夷狄)에 처해서는 이적(夷狄)대로 행하며, 환난(患難)에 처해서는 환난(患難)대로 행하니, 군자(君子)는 들어가는 곳마다 스스로 만족하지 않음이 없다.
此는 言素其位而行也라
이는 그 현재의 위치를 따라 행함을 말씀한 것이다.
在上位하여 不陵下하며 在下位하여 不援上이요 正己而不求於人이면 則無怨이니 上不怨天하며 下不尤人이니라
윗자리에 있어서는 아랫사람을 능멸하지 않으며, 아랫자리에 있어서는 윗사람을 잡아당기지 않고, 자기 몸을 바루고 남에게 요구하지 않으면, 원망하는 이가 없을 것이니, 위로는 하늘을 원망하지 않으며, 아래로는 사람을 원망하지 않는다.
此는 言不願乎其外也라
이는 그 밖의 것을 원하지 않음을 말씀한 것이다.
故로 君子는 居易以俟命하고 小人은 行險以徼幸이니라
그러므로 군자(君子)는 평이함에 처하여 천명(天命)을 기다리고, 소인(小人)은 위험한 것을 행하고 요행을 바란다.
易는 平地也라 居易는 素位而行也요 俟命은 不願乎外也라 徼는 求也요 幸은 謂所不當得而得者라
이(易)는 평지(平地)이다. 거이(居易)는 현재의 위치에 따라 행함이요, 사명(俟命)은 밖의 것을 원하지 않는 것이다. 요(徼)는 구함이요, 행(幸)은 마땅히 얻어서는 안될 경우에 얻음을 이른다.
子曰 射는 有似乎君子하니 失諸正鵠이어든 反求諸其身이니라
공자(孔子)께서 말씀하셨다. “활쏘기는 군자(君子)와 같음이 있으니, <활을 쏘아> 정곡(正鵠)을 잃으면 자기 몸에 돌이켜 찾는다.”
畫布曰正이요 棲皮曰鵠 이니 皆侯之中, 射之的也라 子思引此孔子之言하여 以結上文之意하시니라
삼베에 <표적을> 그려놓은 것을 정(正)이라 하고, 가죽을 붙여놓은 것을 곡(鵠)이라 하니, 모두 후(侯)[과녁판]의 한가운데요, 활을 쏘는 표적이다. 자사(子思)께서 이 공자(孔子)의 말씀을 인용하여 상문(上文)의 뜻을 맺으신 것이다.
右는 第十四章이라 子思之言也니 凡章首에 無子曰字者는 放此하니라
우(右)는 제14장(第十四章)이다. 이는 자사(子思)의 말씀이니, 무릇 장(章) 머리에 ‘자왈(子曰)’이란 글자가 없는 것은 이와 같다.
--------------------------
(중용 14장)
君子素其位而行,不願乎其外。
素富貴,行乎富貴;
素貧賤,行乎貧賤;
素夷狄,行乎夷狄;
素患難,行乎患難。
君子無入而不自得焉。
군자소기위이행 불원호기외
소부귀 행호부귀
소빈천 행호빈천
소이적 행호이적
소환난 행호환한
군자무입이부자득언
<직역>
군자(君子)는 그(其) 자리(位)에서 질박(素)하게 있으면서(而) 행(行)한다 그 외(其外)에는(乎) 바라지 않는다(不願)
부귀(富貴)가 요란하지 않으(素)면 부귀(富貴)에 따라(乎) 행(行)한다
가난하고 천함(貧賤)이 분수에 맞다(素)면 가난하고 천함(貧賤)을(乎)을 행(行)한다
이적(夷狄)이 분수에 맞다(素)면 이적(夷狄)을(乎) 행(行)한다
환난(患難)이 분수에 맞다(素)면 환난(患難)을(乎)을 행(行)한다
군자(君子)는 들어가(入)서(而) 스스로 만족(自得)하지 못함(不)이 없(無)다((焉)
<해석>
군자는 자신이 처한 자리에 맞는 행동을 할 뿐, 분수에 맞지 않는 욕심을 내지 않는다.
부귀가 소박해 분수에 맞으면 부귀를 누리고
가난과 천함이 분수에 맞으면 가난하고 천하게 산다.
오랑캐의 땅에 사는 것이 맞다면 오랑캐에 맞게 행동한다.
환란에 처함이 맞다면 환란에 맞게 산다.
군자는 어디에 가더라도 만족하지 못함이 없다.
<한자해석>
素(흴 소) : 희다, 무늬 없는 피륙, 근본, 소박하다, 바르다, 분수에 따르다, 헛되다
乎(어조사 호) : ~인가, 이냐? ~도다, ~에(於와 같은 의미)
自得(자득) : 스스로 터득함, 스스로 만족함
<영역>
The superior man does what is proper to the station in which he is; he does not desire to go beyond this. In a position of wealth and honor, he does what is proper to a position of wealth and honor. In a poor and low position, he does what is proper to a poor and low position. Situated among barbarous tribes, he does what is proper to a situation among barbarous tribes. In a position of sorrow and difficulty, he does what is proper to a position of sorrow and difficulty. The superior man can find himself in no situation in which he is not himself.
在上位,不陵下;在下位,不援上;
正己而不求於人。則無怨。
上不怨天,下不尤人。
故君子居易以俟命,小人行險以徼幸。
재상위 불릉하 재하위 불원상
정기이불구어인 즉무원
상불원천 하불우인
고군자거이이사명 소인행험이요행
<직역>
윗자리(上位)에 있(在)으면 아래(下)를 업신여기지 않고(不陵) 아랫자리(下位)에 있으면(在) 위(上)에 매달리지 않는다(不援)
자신을 바르게(正己)하고(而) 사람에게(於人) 구하지 않는다(不求) 그런 즉(則) 원한이 없다(無怨)
위(上)로는 하늘을 원망하(怨天)지 않고(不) 아래로(下) 사람(人)을 탓하지 않는다(不尤)
그러므로(故) 군자(君子)는 편안히 머물(居易)며(以) 천명을 기다린다(俟命)
소인(小人)은 험함을 행하(行險)면서(以) 요행(幸)을 구한다(徼)
<번역>
군자는 높은 자리에 있게 되면 아랫사람을 업신여기지 않고 아랫자리에 있을 때에는 윗사람에게 매달리지 않는다.
자신을 바르게 하고 다른 사람에게서 무엇을 바라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 원망이 없다.
위로는 하늘을 원망하지 않고 아래로 다른 사람을 탓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군자는 마음 편히 머물며 천명을 기다리고 소인은 위험하게 행동하며 요행을 구하려한다.
<해설>
不援을 대부분의 해설서가 끌어내리지 않는다로 적고 있다. 아랫자리에 있는 사람들이 윗사람을 보통 끌어내리나? 약간 오역이라 할 수 있다. 援(도울 원)은 손으로 잡아당기는 것은 맞지만 잡아당겨 올려줄 때 많이 사용하지 아래로 끌어 내린다는 뜻은 없기 때문이다. 윗사람에게 끌어달라고 매달리는 것을 묘사한 단어다.
<한자해석>
陵(언덕 릉) : 언덕, 무덤, 가벼이 여기다, 업신여기다, 범하다, 짓밟다
援(도울 원) : 돕다, 당기다, 잡다, 매달리다, 구원하다
尤(더욱 우) : 더욱, 오히려, 허물, 원한, 탓하다, 힐책하다, 주저하다
俟(기다릴 사) : 기다리다, 대기하다, 서행하는 모양
徼(돌 요) : 돌다, 순행하다, 구하다, 훔치다, 순라군
<영역>
In a high situation, he does not treat with contempt his inferiors. In a low situation, he does not court the favor of his superiors. He rectifies himself, and seeks for nothing from others, so that he has no dissatisfactions. He does not murmur against Heaven, nor grumble against men.
Thus it is that the superior man is quiet and calm, waiting for the appointments of Heaven, while the mean man walks in dangerous paths, looking for lucky occurrences.
子曰:「射有似乎君子。失諸正鵠,反求諸其身。」
자왈 사유사호군자 실저정곡 반구저기신
<직역>
스승 말했다(子曰) 활쏘기(射)는 군자(君子)에(乎) 비슷함이 있다(有似) 그(諸)바른 과녁(正鵠)을 잃으면(失) 반대로(反) 그것을(諸) 그 자신(其身)에게서 구한다(求)
<해설>
중용은 저울이나 활쏘기와 흡사하다. 정확한 중심을 잡지 못하면 저울은 한쪽으로 기울어져 버리고 화살은 과녁을 벗어나 버린다. 화살이 과녁에 명중하지 못하면 화살을 쏜 사람이 힘과 각도를 잘못 사용한 것이지 과녁이 잘못되었다고 말할 수 없다. 마찬가지로 군자가 백성에게 도를 행함에 잘못이 있다면 군자가 백성의 욕망인 천명을 잘못 파악했거나 전체 백성의 여론의 중용을 파악하지 못한 것으로 보아야지 백성에게 책임을 넘겨서는 안된다는 뜻이다.
<한자해석>
鵠(고니 곡) : 고니, 따오기, 과녁, 정곡, 희다, 크다, 넓다
諸(모든 제) : 모든, 여러, ~은, ~것은, 이것, 이를, 이에, 그야말로, ~에서, ~여, 之於(~에 그것)의 준말
<영역>
The Master said, “In archery we have something like the way of the superior man. When the archer misses the center of the target, he turns round and seeks for the cause of his failure in himsel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