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덴서의 종류와 특징
필름 콘덴서
(Film Capacitors)
필름 유전체를 전극 사이에 넣고 롤로 감은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저주파 특성 뿐만 아니라 고주파 특성도 양호하여 오디오 회로의 주요 부위 또는 업그레이드 용으로 널리 사용 됩니다. 최근에는 대용량 필름 콘덴서가 보급 됨에 따라 전원부 용으로도 필름 콘덴서가 사용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용량에 비해 크기가 크고 가격이 비쌀 뿐만 아니라, 큰 용량을 제조 하기가 어렵습니다. 재질 및 제조공정에 따라 가격차가 크며, 일반적으로 폴리프로필렌 계열 제품이 신호부의 커플링 용으로 사용되며, 마일러 계열의 적층 콘덴서는 신호부나 전원부의 바이패스용으로 사용 되기도 합니다. 필름 콘덴서 중 폴리프로필렌, 폴리스치롤 계열의 콘덴서는 커플링 콘덴서로 적합 할 뿐만 아니라 재질 및 제조공법에 따라 다양한 음질 및 음색을 가지므로 기존 앰프의 튜닝 및 업그레이드 용으로 사용하면 좋습니다.
폴리프로필렌 호일 콘덴서
(Polypropylene Cap)
필름 콘덴서의 하나로, 폴리프로필렌 필름 호일을 전극 사이에 넣어 롤로 감은 것으로서, 저주파 특성이 좋아 커플링 용으로 많이 사용되지만 대용량, 고전압의 콘덴서는 만들기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대표적인 콘덴서로는 뮤지캡, PPFX, ICel 이 있습니다.
메탈 폴리프로필렌 콘덴서
(Metal Polypropylene Cap)
필름 콘덴서의 하나로, 폴리 프로필렌 필름에 금속을 증착시킨 콘덴서로서, 소형화가 가능하며 자기 회복 능력이 뛰어 납니다. 품질에 비해 가격이 저렴하고 폴리프로필렌 호일에 비해 소형으로 만들 수 있어, 오디오 커플링 용으로 가장 많이 사용 됩니다. 대부분의 커플링 콘덴서가 여기에 해당되며, 제조공법에 따라 음질차가 큽니다. 대표적인 콘덴서로는 킴버 콘덴서, PPMFX, 위마 MKP10, 엑시콘 등이 있습니다.
폴리스치롤 콘덴서
(Polystyrole Cap)
필름 콘덴서의 하나로, 폴리스치롤 호일을 전극 사이에 넣어 롤로 감은 것으로, 저주파 특성 뿐만 아니라 고주파 특성이 뛰어나며, 용량 변화가 적고 안정적 이므로 커플링 또는 고주파 특성이 요구되는 세라믹 콘덴서나 마이카 콘덴서의 업그레이드 용으로 많이 사용 됩니다. 대표적인 콘덴서로는 RTX, ASC-폴리 캡이 있으며, 참고로 폴리 캡은 저용량의 정밀급이므로 포노 Eq 부에 많이 사용되며, 음질경향은 부드러우며, 맑고 투명 합니다.
마일러 콘덴서
(Mylar Cap)
필름 콘덴서중 가장 저급의 제품으로, 적층 필름 콘덴서 계열인 폴리에스텔 콘덴서 등을 통칭하며, 과거의 필름 콘덴서가 여기에 해당 됩니다. 일반적으로 저가의 앰프나 전원부에 사용 되고 있습니다.
오일 콘덴서
(Paper Oil Cap)
오일 절연지를 금속 전극판에 넣어 롤감이 한 것으로 주로 저주파 회로에 사용되며, 주파수 대역이 좁아 현재에는 잘 사용되지 않습니다. 최근 두툼한 중역과 고역의 부드러움으로 다시 주목 받고 있으며, 주파수 대역을 확장시킨 하이엔드급 제품인 젠센 오일콘덴서가 출시되고 있습니다. 또한 필름 콘덴서로서 오일적인 음색을 지닌 호브랜드 뮤지캡이 있어, 오일적인 분위기에 해상력 및 주파수 대역이 강조된 음을 원하는 분에게 권할 만 합니다. 오일 콘덴서의 음질 경향은 윤기있고 부드러우나, 특히 장기간 사용 할 경우 열화되어 절연지 사이의 오일이 건조 되거나 누출되어, 누설 전류가 증가하여 출력 진공관이 손상 되거나 험이 발생되는 경우도 있으니 가능한 신품으로 교체 하는 것이 좋습니다. 대표적인 콘덴서로 젠센 콘덴서, Ampohm, Vitamin Q, West Cap 등이 있습니다.
전해 콘덴서
(Electrolytic Cap)
소형으로 대용량을 만들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격이 저렴하여 널리 사용되나 용량의 편차가 크고 리플, 누설전류가 일반 필름 콘덴서나 탄탈 콘덴서 보다 많습니다. 따라서 전원부에 많이 사용되며, 대표적 제품으로는 말로리, 스프라그, IC 가 있습니다. 참고로 최근에는 고용량의 필름 콘덴서가 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보급됨에 따라 솔렌 패스트 캡과 같은 필름 콘덴서를 이용하여 전원부를 구성하거나 바이패스 시킴으로서, 전원 임피던스를 낮추고 응답속도를 높며 음의 순도와 밀도감을 높여 주기도 합니다.
탄탈 콘덴서
(Tantalum Cap)
전해 콘덴서에 비해 충 방전이 빠를 뿐만 아니라, 온도범위가 넓고 안정성과 수명이 뛰어 납니다. 따라서 100uf/30v 이하의 전해 콘덴서 업그레이드용으로 사용 하면 좋습니다. 전해 콘덴서에 비해 내압이 낮고 용량이 적은 것이 단점 입니다. 주로 저주파, 시정수 회로에 사용 됩니다.
마이카 콘덴서
(Mica Cap)
운모를 AL판에 넣고 수지 몰딩 한 것으로 내압, 내열 및 용량 변화가 적고 안정적 입니다. 특히 고주파 특성이 좋아 필터 회로에 많이 사용되며, 세라믹 콘덴서의 업그레이드 용으로 좋습니다. 보다 고 품질의 제품을 원할 경우, 코넬 두빌리어 실버 마이카나 폴리캡을 사용 하면 좋습니다.
세라믹 콘덴서
(Ceramic Cap)
티탄산 바륨 원판을 은전극 사이에 넣은 것을 도료 피복 한 것으로, 고주파 특성이 좋으나 음질은 떨어져 저가의 제품이나 고주파 필터용으로 많이 사용 됩니다. 업그레이드 용으로 실버 마이카를 사용하면 좋습니다.
콘덴서 및 각종 부품의 음질개선 포인트
커플링 콘덴서
진공관 앰프에 있어서 진공관, 출력트랜스와 함께 음질을 결정하는 부품으로서, 빈티지 오디오는 그 당시 저급의 P.P 계열이나 페이퍼 오일콘덴서가 주로 사용 되었으며, 특히 블랙뷰티, 피라미드와 같은 오일계열 콘덴서는 경련변화에 따른 누설전류로 인하여 음질열화 또는 진공관 손상이 발생 될 수 있으므로 일정기간이 지난 콘덴서는 교체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는 앰프에 커플링용으로 전해나 일반 P.P 콘덴서가 장착되어 있는 경우도 음질이 좋은 필름 콘덴서로 교체하면 뛰어난 음을 낼수 있습니다. 커플링 콘덴서의 선택요령은 주위의 권유나 상표도 중요하지만 우선 본인의 시스템에 적합할 것인가를 면밀히 검토한 후 교체하는 것이 좋습니다. 사용 시스템에 따라 다소 다를 수 있으나, 음질이 부드러운 콘덴서 순서로는 암폼>젠센>뮤지캡>솔렌>오렌지드롭>ERO>킴버캡>멀티캡>Wima이며, 해상력 순서는 멀티캡>뮤지캡>킴버캡>ICel>Wima>젠센>솔렌>오렌지드롭>암폼>ERO 입니다. 따라서 빈티지적인 음질을 원하면 뮤지캡이나 젠센 오일 콘덴서를 사용 하거나 이를 병렬 조합하여 사용하고, 디지털적인 해상력과 대역을 원하면 멀티캡이나 킴버를 사용 하는 것이 좋습니다.
전해 콘덴서
주로 전원부 평활용이나 필터용으로 사용되며, 일정기간이 지나면 용량감퇴 및 경련변화가 심하므로, 구형앰프의 경우 가장 문제가 되는 부품으로서, 앰프의 험이나 고장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특히 70년대 후반부터 전원부, 필터 회로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거에는 직접 신호부가 아닌 전원부나 필터부에는 고급 필름 콘덴서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고 생각 하였다)이 바뀌어, 전원부에 넓은 주파수 대역을 커버하는 저임피던스 전원을 공급하고 응답속도를 빠르게 함으로서 음질이 개선 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이에따라 10uf 이하의 저용량 전해 콘덴서는 필름 콘덴서로 교체하고, 고용량 전해콘덴서는 용량의 약 10% 정도의 필름 콘덴서로 바이패스 시켜 줌으로서 음색의 투명도와 대역을 향상 시킬수 있습니다. 이에 대한 대체용 필름 콘덴서로는 고용량의 제품이 생산되는 솔렌 패스트캡이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또한 기존의 앰프에 장착되어 있는 전해 콘덴서를 고급 전해 콘덴서로 교체 함으로서, 음질 향상 외에 전원부의 신뢰성을 높일수 있습니다.
저항
빈티지 앰프들은 주로 카본 콤포지션 저항이 장착 되어 있습니다. 이 저항은 유도성분이 없고 전류를 원활히 흘려 주는 반면에 온도 편차, 잡음이 많고 경련 변화에 따라 저항값이 변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이를 ITT나 AB와 같은 신품 구형 카본저항이나 메탈 계열 또는 권선 계열의 고급 저항으로 교체하면 보다 깨끗하고 촛점이 명확한 음을 들을 수 있습니다. 저항류는 커플링 콘덴서에 비해 음질의 변화 폭은 적으나 민감한 시스템의 경우, 특히 캐소드, 플레이트 저항의 질에 따라 음질의 변화가 큽니다. 따라서 시스템의 음질경향을 파악하여 적절한 재질의 고급저항으로 교체하여 주면 좋습니다.
세라믹 콘덴서
빈티지 앰프들은 필터나 고주파 부에 주로 세라믹 콘덴서가 장착 되어 있는데, 이는 음질에 좋지 않으므로 가능 하다면 폴리스치롤 계열의 ASC-폴리캡이나 실버마이카 콘덴서로 교체하여 주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