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종근당제약 아임비타 - 유아인의 얼굴을 전면에 내세우며 공격적인 마케팅을 펼쳤으나 프로포폴 투약이 이슈가 된 후 판매 채널에 노출된 상품 대부분에서 이미지를 내렸고, 제약회사라는 특성상 이번 사태에 더욱 촉각을 기울이고 있다. #
무신사 - 최근 가상인간 '무아인'을 전면에 내세워 마케팅을 펼칠 정도로 유아인과의 협업에 적극적이었으나 본 사건이 터진 후 광고영상을 비공개로 전환하고 사진을 내렸다. 광고계약을 해지할지 여부는 "경찰조사 결과를 본 뒤 기업 이미지에 미칠 것을 고려해서 판단하겠다"고 밝혔다. #
네파 - 네파 역시 유아인의 이미지와 영상, 사진 등을 모두 내린 상태로, 23 SS 시즌 화보도 일부 촬영했으나 본 사태 때문에 공개되지 못한 상황이며 '계약 해지 등에 대해서는 수사 결과가 나온 이후 방침을 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
3.3. 국내
2023년 3월 17일 KBS가 한시적 출연 제한 대상자로 지정했다.
3.4. 해외
마약관련 범죄에 엄격한 중국에서도 이번 논란이 신경보, 상여우 신문 등의 매체를 통해 대서특필 되고 웨이보에서 관련 게시물 열람이 9억 회를 넘기며 인기검색어 10위 안에 드는 등 구설수에 오른 홍역을 치르고 있다. 유아인을 모델로 기용했던 의류업체 '쑤셰(速寫 CROQUIS)'에서도 홍보물 및 사진의 게시를 전격 중단하며 타오바오 및 상거래 플랫폼에서 광고가 모두 내려갔다. #
4. 여담
유아인의 처벌 수위에 대해 대다수의 법조계 관계자들은 유죄 판단이 내려지더라도 벌금형 등 경미한 처벌을 받게 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 이는 반성 의지가 있는 초범일 경우, 법원이 벌금형이나 집행유예를 선고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또한, 3월 30일자 여러 기사에 따르면, 투약일시나 횟수를 정확하게 특정할 수 있는 증거를 확보하지 못할 경우에도,[6] 본인이 인정한 범행만 특정해서 기소될 수밖에 없기때문에 기소유예나 벌금형, 또는 집행유예를 받을 가능성이 높다고 예상하고 있다.#
유아인에게 프로포폴을 투약한 의사 본인이 의사 자신에게 프로포폴을 투약하다가 현행범으로 체포되었으나, 법원의 판단으로 석방되기도 하였다. #
최근 정부의 마약 처벌에 대한 기조가 강력하고, 대한민국 대통령과 법무부장관 모두 마약 수사에 대한 천명을 지시했기 때문에 증거가 잡힌 이상 본보기로 엄중 처벌이 될 가능성도 높다고 전문가들은 평가한다. 실제로 유아인은 이런 법무부와 식약처의 강화된 협력 아래 모니터링의 결과로 검거되었고, 과거 노태우의 범죄와의 전쟁에서 조직폭력범들은 기존보다 더 기강 잡히고 엄중한 처벌을 받았던 역사적 사례도 있다. 한동훈 '마약과의 전쟁' 선포…檢, 4곳에 특수팀 설치, 윤석열, 마약과의 전쟁 강조…한동훈 "전쟁하듯 막으면 막을 수 있어"
일각에서는 이제까지 유아인이 보여줬던 의아한 행동이나 반응들이 알고 보니 마약 부작용 때문이었던 것이 아니냐면서 그간의 행적들을 재조명하는 일부 누리꾼들도 있다.[7] 그러나, 마약 혐의 여부와 별개로 이는 모두 추측일뿐 무조건 마약 중독 증세로 보면 안된다는걸 분명히 해야한다. 마약류중독재활센터장은 유아인 인터뷰 등 영상들을 봤는데 마약 틱의 증상은 아니며, 마약 중독으로 인한 것은 굉장히 부자연스럽고 거의 몸하고 일체이다. 결론은 마약이랑 별 상관없다는 의견을 밝혔다.#
유아인에게서 검출되었다고 알려진 케타민은[8] 주지훈이 투약해서 대중들에게 알려진 마약이다. 주지훈은 2009년 케타민, 엑스터시 대마초를 투약한 혐의로 기소되어 징역 6월에 집행유예 1년을 선고 받았다. 이후 2010년부터 2011년까지 군 복무 후 사실상 자숙 없이 2012년 바로 업계에 복귀를 했다. 일부 네티즌들은 이러한 주지훈의 사례를 들어 유아인도 몇 년 자숙 겸 휴식기를 가진 후 복귀가 가능한 거 아니냐는 의견들도 있다. 또한 일각에서는 마약 범죄 배우들에게 관대한 영화와 드라마 업계의 도덕적 해이를 지적하기도 한다.[9] # 아니나 다를까 업계는 주지훈의 사례를 들어 유아인의 재기 가능성을 조금이나마 점쳐보고 있다. 스크린과 TV 무대를 가리지 않고 왕성하게 활동하고 있는 주지훈의 전례가 있기에 유아인 역시 이슈가 잊힐 때쯤 다시 연예계 인맥을 통해 재기할 수 있겠느냐는 분석이다. #[10][1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