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양식※ - 타사 모고나 타 강사분의 교재나 수업 내용에 대한 질문은 받을 수 없습니다.
1. 인강 내용 질문일 때 ⊙ 수강 중인 강좌 이름 - 몇 강 관련 질문인지 예시) 독해알고리즘 - 6강 전개방식 질문입니다.
2. 교재 내용 질문일 때 ⊙ 교재 이름 - 몇 페이지인지 예시) 문법알고리즘 - 24쪽 ○○ 질문입니다.
3. 인강이나 교재 내용 밖의 질문일 때 ⊙ 제목에 질문의 키워드를 넣어주세요 예시) 품사 통용 질문입니다.
4. 모고 질문일 때 ⊙ 교재 이름 - 무슨 시즌 몇 회 몇 번인지 예시) 백일기도 시즌 1의 1회 1번 질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어간 ㅁ,ㄴ+ㄱㄷㅂㅅㅈ=된소리되기, 신다[신따] 교체
명사 자음(ㄴㄹㅁㅇ)+ㄱㄷㅂㅅㅈ=사잇소리, 손짓[손찟] 첨가
된소리되는 교체가된걸 알겠는데 사잇소리는 왜 첨가인가요?
첫댓글 사실 이건 단순히 외우시는 게 더 편하긴 하지만 궁금하시다면!
>
울림소리 뒤에서는 원래 된소리되기가 날 이유가 없습니다. (안울림+안울림은 언제나 100% 된소리가 나지만요)
단, 한 용언 안에서는 어간이 울리면 어미가 세게 경음화됩니다.(울림소리는 원래 모음 성향이라서 뒤의 첫소리가 보상 차원에서 강하게 소리를 내주는 것이죠.) 이는 교체로 분류합니다.
하지만 단어가 합성될 때 본래 없었던 된소리되기가 덧나는 것은 한 단어 안에서 일어나는 보상차원의 경음화가 아니라서
일어나지 않아도 되는 행위의 '첨가'라는 개념으로 '첨가'로 분류합니다.
그래서 예외도 많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