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용 제19장(第十九章) 달(達)은 통[공통].교(郊)는 하늘에 제사하는 것이요,사(社)는 땅에 제사하는 것이니
子曰 武王周公은 其達孝矣乎신저
공자(孔子)께서 말씀하셨다. “무왕(武王)과 주공(周公)은 누구나 공통(共通)으로 칭찬하는 효(孝)이시다.
達은 通也라 承上章而言 武王周公之孝는 乃天下之人이 通謂之孝니 猶孟子之言達尊 也라
달(達)은 통(通)[공통]이다. 상장(上章)을 이어 무왕(武王)과 주공(周公)의 효(孝)는 천하(天下) 사람들이 공통으로 효(孝)라고 칭찬한다고 말씀하셨으니, 맹자(孟子)가 달존(達尊)이라고 말씀하신 것과 같다.
夫孝者는 善繼人之志하며 善述人之事者也니라
효(孝)는 사람[부모]의 뜻을 잘 계승(繼承)하며, 사람의 일을 잘 전술(傳述)[준행(遵行)]하는 것이다.
上章엔 言武王纘大王王季文王之緖하여 以有天下하시고 而周公成文武之德하여 以追崇其先祖하시니 此는 繼志述事之大者也라 下文엔 又以其所制祭祀之禮通于上下者로 言之하시니라
상장(上章)에서는 무왕(武王)이 태왕(太王)·왕계(王季)·문왕(文王)의 기업(基業)을 이어 천하를 소유하셨으며, 주공(周公)이 문왕(文王)·무왕(武王)의 덕(德)을 이루어 그 선조(先祖)들을 추존(追尊)하셨음을 말씀하였으니, 이는 뜻을 계승하고 일을 전술함의 큰 것이다. 아래 글에는 또 제정(制定)한 바 제사(祭祀)의 예(禮)가 상하(上下)에 통행(通行)되는 것을 가지고 말씀하였다.
春秋에 修其祖廟하며 陳其宗器하며 設其裳衣하며 薦其時食이니라
봄과 가을에 선조(先祖)의 사당(祠堂)을 수리하며 종묘(宗廟)의 보기(寶器)를 진열(陳列)하며 그[선조] 의상(衣裳)을 펴놓으며 제철의 음식을 올린다.
祖廟는 天子七이요 諸侯五요 大夫三이요 適士二요 官師一이라 宗器는 先世所藏之重器니 若周之赤刀, 大訓, 天球, 河圖 之屬也라 裳衣는 先祖之遺衣服이니 祭則設之以授尸也라 時食은 四時之食이 各有其物하니 如春行羔豚膳膏香 之類가 是也라
선조(先祖)의 사당(祠堂)은 천자(天子)는 7묘(廟)이고, 제후(諸侯)는 5묘(廟)이고, 대부(大夫)는 3묘(廟)이고 적사(適士)[원사(元士)]는 2묘(廟)이고 관사(官師)[유사(有司)]는 1묘(廟)이다. 종기(宗器)는 선대(先代)로부터 소장(所藏)해 온 귀중한 기물(器物)이니, 주(周)나라의 적도(赤刀)·대훈(大訓)·천구(天球)·하도(河圖)와 같은 등속이다. 상의(裳衣)는 선조(先祖)가 남기신 의복(衣服)이니, 제사할 때에는 이것을 펼쳐 시동(尸童)에게 준다. 시식(時食)은 사시(四時)의 음식이 각기 마땅한 음식물이 있으니, 봄철에는 염소와 돼지를 쓰되 쇠기름으로 요리하는 것과 같은 따위가 이것이다.
宗廟之禮는 所以序昭穆也요 序爵은 所以辨貴賤也요 序事는 所以辨賢也요 旅酬에 下爲上은 所以逮賤也요 燕毛는 所以序齒也니라
종묘(宗廟)의 예(禮)는 소목(昭穆)을 차례하는 것이요, 관작(官爵)에 따라 서열함은 귀천(貴賤)을 분별하는 것이요, 일을 차례로 맡김은 어진이를 분별하는 것이요, 여럿이 술을 권할 때에 아랫사람이 윗사람을 위하여 <술잔을 올림은> 천(賤)한 이에게까지 미치는 것이요, 잔치할 때에 모발(毛髮)의 색깔대로 차례하는 것은 연치(年齒)를 서열(序列)하는 것이다.
宗廟之次는 左爲昭요 右爲穆而子孫이 亦以爲序하여 有事於太廟면 則子姓兄弟群昭群穆이 咸在而不失其倫焉이라 爵은 公侯卿大夫也요 事는 宗祝有司之職事也라 旅는 衆也요 酬는 導飮也니 旅酬之禮에 賓弟子, 兄弟之子가 各擧觶 於其長而衆相酬하니 蓋宗廟之中엔 以有事爲榮이라 故로 逮及賤者하여 使亦得以申其敬也라 燕毛는 祭畢而燕이면 則以毛髮之色으로 別長幼하여 爲坐次也라 齒는 年數也라
종묘(宗廟)의 차례는 좌(左)가 소(昭)가 되고 우(右)가 목(穆)이 되니, 자손(子孫)들 또한 이것으로 차례를 삼아, 태묘(太廟)에 제사가 있게 되면, 자성(子姓)[자손(子孫)]과 형제(兄弟)의 여러 소(昭)와 여러 목(穆)이 모두 있어 그 차례를 잃지 않는다. 작(爵)은 공(公)·후(侯)·경(卿)·대부(大夫)요, 사(事)는 종(宗)·축(祝)과 유사(有司)가 맡은 일이다. 여(旅)는 여럿이요, 수(酬)는 인도하여 마시게 하는 것이다. 여럿이 술을 권하는 예(禮)에 빈객(賓客)의 아우와 아들, 형제의 아들들이 각각 술잔을 어른에게 들어 올리고 여럿이 서로 술을 권하니, 종묘(宗廟)의 가운데에는 일을 맡는 것을 영화로 여긴다. 그러므로 천한 자에게까지 미쳐 공경을 펴게 하는 것이다. 연모(燕毛)는 제사를 마치고 잔치를 하게 되면, 모발(毛髮)의 색깔대로 어른과 어린이를 분별하여 앉는 차례를 정하는 것이다. 치(齒)는 연수(年數)이다.
踐其位하여 行其禮하며 奏其樂하며 敬其所尊하며 愛其所親하며 事死如事生하며 事亡如事存이 孝之至也니라
그 자리를 밟아 그 예(禮)를 행하고 그 음악(音樂)을 연주하며, 그가 존경하시던 바를 공경하고 그가 친애(親愛)하시던 바를 사랑하며, 죽은 이를 섬기기를 산 이를 섬기듯이 하고 없는 이를 섬기기를 생존(生存)한 이를 섬기듯이 하는 것이 효(孝)의 지극함이다.
踐은 猶履也라 其는 指先王也라 所尊所親은 先王之祖考子孫臣庶也라 始死를 謂之死요 旣葬則曰反而亡焉이라하니 皆指先王也라 此는 結上文兩節이니 皆繼志述事之意也라
천(踐)은 이(履)[밟음]와 같다. 기(其)는 선왕(先王)을 가리킨다. 존경하시던 바와 친애하시던 바라는 것은 선왕(先王)의 조고(祖考)와 자손(子孫)과 신서(臣庶)[신하]들이다. 처음 죽었을 때를 사(死)라 이르고, 이미 장례하면 돌아와 봄에 뵐 수가 없다고 하니, 이는 모두 선왕(先王)을 가리킨다. 이는 상문(上文)의 두 절(節)을 맺은 것이니, 모두 뜻을 계승하고 일을 전술하는 뜻이다.
郊社之禮는 所以事上帝也요 宗廟之禮는 所以祀乎其先也니 明乎郊社之禮와 禘嘗之義면 治國은 其如示諸掌乎인저
교제(郊祭)와 사직(社稷)제사의 예(禮)는 상제(上帝)를 섬기는 것이요, 종묘(宗廟)의 예(禮)는 그 선조(先祖)에게 제사 지내는 것이니, 교제(郊祭)와 사직(社稷) 제사의 예(禮)와 체제(禘祭)·상제(嘗祭)의 의의(意義)에 밝으면, 나라를 다스림은 그 손바닥 위에 놓고 보는 것처럼 쉬울 것이다.”
郊는 祭天이요 社는 祭地니 不言后土者는 省文也라 禘는 天子宗廟之大祭니 追祭太祖之所自出於太廟하고 而以太祖配之也라 嘗은 秋祭也니 四時皆祭로되 擧其一耳라 禮必有義하니 對擧之는 互文 也라 示는 與視同하니 視諸掌은 言易見也라 此는 與論語文意로 大同小異하니 記有詳略耳라
교(郊)는 하늘에 제사하는 것이요, 사(社)는 땅에 제사하는 것이니, 후토(后土)를 말하지 않은 것은 생략한 글이다. 체(禘)는 천자(天子)의 종묘(宗廟)의 큰 제사이니, 태조(太祖)로 부터[말미암아]> 나온 분[시조(始祖)] 을 태묘(太廟)에 추제(追祭)하고 태조(太祖)를 배향(配享)한다. 상(嘗)은 가을 제사이니, 사시(四時)에 모두 제사하는데 그 중의 하나를 들었을 뿐이다. 예(禮)는 반드시 의(義)가 있으니, 상대하여 든 것은 호문(互文)이다. 시(示)는 시(視)와 같으니, 손바닥을 본다는 것은 보기 쉬움을 말한다. 이는 《논어(論語)》의 글 뜻과 대동소이(大同小異)하니, 기록함에 상세함과 간략함이 있을 뿐이다.
右는 第十九章이라
우(右)는 제19장(第十九章)이다.
-------------------------------------
(중용 19장)
子曰:「武王、周公,其達孝矣乎。
夫孝者,善繼人之志,善述人之事者也。
春秋,脩其祖廟,陳其宗器,設其裳衣,薦其時食。
자왈 무왕 주공 기달효의호
부효자 선계인지지 선술인지사자야
춘추 수기조묘 진기종기 설기상의 천기시식
<직역>
공자 말씀하시길(子曰) 무왕(武王)과 주공(周公)은 그(其) 통달(達)한 효(孝)이로다(矣乎)
대저(夫) 효라는 것(孝者)은 사람의 뜻(人之志)를 잘(善) 잇(繼)고 사람의 일(人之事)을 잘(善) 계승하는(述) 것이다(者也)
봄가을(春秋)에 그(其) 조상의 사당(祖廟)을 닦(脩)고 그(其) 종묘의 그릇(宗器)을 진열(陳)하고 그(其) 치마와 옷(裳衣)을 설치(設)하고 그 제철 음식(其時食)을 올린다(薦)
<번역>
공자 말씀하시길 무왕과 주공은 그 지극한 효를 실천한 사람이다.
효라는 것은 부모의 뜻을 잘 잇는 것이고 선조의 일을 잘 계승하는 것이다.
봄과 가을에는 조상 사당을 잘 닦고 제사 그릇을 진설하고 선조의 옷을 늘어놓고 제철의 음식을 올린다.
<해설>
상의(裳衣)는 선조가 입던 치마와 옷인데 이것은 신주 대신 사용하는 조상의 영혼이 깃들 상징물이다. 당대에는 7살 깨끗한 아이를 선정해 그에게 선조의 옷을 입히고는 앞에 음식을 차리고 제사를 지냈다고 한다. 그 아이를 시동(尸童)이라고 하는데 그 아이에게 조상의 영혼이 내려온다고 믿었다한다. 조금 이상하고 으스스한 풍습이다. 그 아이의 정신건강이 염려가 되면서...
<한자>
達(통달할 달) - 통달하다, 통하다, 현달하다, 능숙하다
述(펼 술) _ 펴다, 서술하다, 계승하다, 따르다, 전술하다
脩(포 수) - 포, 육포, 닦다, 수양하다, 마르다, 멀다
薦(천거할 천) - 천거하다, 드리다, 올리다, 늘어놓다, 자리 깔개
<영역>
The Master said, "How far-extending was the filial piety of King Wu and the duke of Chau! " Now filial piety is seen in the skillful carrying out of the wishes of our forefathers, and the skillful carrying forward of their undertakings. " In spring and autumn, they repaired and beautified the temple halls of their fathers, set forth their ancestral vessels, displayed their various robes, and presented the offerings of the several seasons.
宗廟之禮,所以序昭穆也。
序爵,所以辨貴賤也。
序事,所以辨賢也。
旅酬下爲上,所以逮賤也。燕毛所以序齒也。
종묘지례 소이서소목야
서작 소이변귀천야
서사 소이변현야
려수하위상 소이체천야 연모 소이서치야
<직역>
종묘의 예(宗廟之禮)는 소목(昭穆)의 순서를 세우(序)기 위함(所以)이다(也)
작위(爵)를 차례대로 함(序)은 귀하고 천함(貴賤)을 분별(辨)하기 위함(所以)이다(也)
집사(事)를 차례지움(序)은 현명한 사람을 분별(辨賢)하기 위함(所以)이다(也)
함께(旅) 술을 권함(酬)에 아래(下)를 먼저 함(爲上)은 천함(賤)에 미치(逮)도록 하기 위함(所以)이다(也)
잔치(燕)에 머리털(毛)은 나이(齒) 순서(序)를 위함(所以)이다(也)
<번역>
종묘의 예는 소목의 순서를 잘 지키기 위해 있는 것이고,
작위에 따라 순서대로 함은 귀천을 구별하기 위한 것이다.
제사를 돕는 집사에 순서를 두는 것은 현명한 사람을 구별하기 위해 그렇고
제사 후 술을 권함에 아랫사람들이 먼저 하도록 해 주는 것은 천한 사람에게도 복이 미치도록 하기 위한 것이고
제사 후 잔치에 머리나 수염이 센 사람을 구별하는 것은 나이 많은 사람을 우선하기 위해서다.
<해설>
천자는 7대 조상을 제사한다. 건국 시조와 6대조를 모신다. 제후는 시조를 비롯한 5대 조상을 제사하고 대부는 건국시조와 자신의 2대조를 제사한다.
이렇게 제사지낼 대상이 많을 때 좌우로 번갈아가며 조상을 모시는데 왼쪽을 소(昭)라고 하고 오른쪽을 목(穆)이라고(좌소우목)한다.
종묘의 예가 중요한 이유는 많은 이 조상신의 제사를 왼쪽 오른쪽으로 질서정연하게 하기 위해서이다. 제후의 종묘제사의 경우 태조의 신위가 있고 좌측에 아버지, 우측에 할아버지, 다시 좌측에 증조할아버지 우측에 고조할아버지의 신위가 자리 잡게 된다. 이때 좌측 신위를 소(昭)라부르고 우측 신위를 목(穆)이라 부르게 된다.
旅酬下爲上(려수하위상)이 도대체 무슨 뜻인지 매우 어렵다. 모든 중용해설서에 ‘술잔을 아랫사람이 윗사람에게 바친다’라고 한다. 주자가 그렇게 해석했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면 다음 구절이 해석이 안 된다. 다음 구절은 所以逮賤也(천한 사람에게도 미치도록 하기 위해서다)인데 무슨 말인지 연결이 안 된다. 술을 아랫사람이 윗사람에게 먼저 따르는데 천한 사람에게 무슨 영향이 미친다는 말인가? 엉터리다.
사실은 이렇다. 주인이 손님에게 술을 따라 주는 일을 수(酬)라고 하고 손님들이 서로 술 따르는 것을 려수(旅酬)라고 한다. 종묘 제사 후 이 려수(旅酬)를 할 때는 낮고 천한 사람들이 서로 술을 따르는 것을 먼저 하도록 허락해 줌을 말한다. 그렇게 하는 이유는 조상의 음복이 천한 사람에게도 골고루 가게 하기 위해서인 것이다.
(이 주장에 대한 반론을 기다립니다.. 아무도 이런 이야기를 하지 않더군요... 제가 무언가를 놓친 것일까요??)
<한자해설>
所以(소이) : 까닭, 이유, 방법, 따라서, 그러므로
序(차례 서) : 차례, 실마리, 펴다, 차례를 매기다, 따르다
昭穆(소목) : 사당에 신주를 모시는 차례, 昭는 왼쪽 줄 신주, 穆은 오른쪽 줄 신주
昭(밝을 소) : 밝다, 밝히다, 비추다, 뚜렷하다
穆(화목할 목) : 화목하다, 아름답다, 온화하다
辨(분별할 변) : 분별하다, 밝히다, 따져 다스리다, 변론하다
旅酬(려수) : 제사가 끝나고 함께 술을 권하는 일
旅(나그네 려) : 여행하다, 나그네, 함께, 무리, 군대
酬(갚을 수) : 보답하다, 갚다, 술을 권하다, 보수
逮(미칠 체) : 다다르다, 미치다, 쫓다, 잡다
燕(제비 연) : 제비, 연나라, 잔치, 편안하다
<영역>
"By means of the ceremonies of the ancestral temple, they distinguished the royal kindred according to their order of descent. By ordering the parties present according to their rank, they distinguished the more noble and the less. By the arrangement of the services, they made a distinction of talents and worth. In the ceremony of general pledging, the inferiors presented the cup to their superiors, and thus something was given the lowest to do. At the concluding feast, places were given according to the hair, and thus was made the distinction of years.]
踐其位,行其禮,奏其樂,敬其所尊,愛其所親,
事死如事生,事亡如事存,孝之至也。
郊社之禮,所以事上帝也。
宗廟之禮,所以祀乎其先也。
明乎郊社之禮,禘嘗之義,治國其如示諸掌乎。」
천기위 행기례 주기악 경기소존 애기소친
사사여사생 사망여사존 효지지야
교사지례 소이사상제야
종묘지례 소이사호기선야
명호교사지례 체상지의 치국기여시저장호
<직역>
그의 지위(其位)를 밟고(踐) 그의 예법(其禮)을 행하고(行) 그의 음악(其樂)을 연주(奏)하고 그(其)의 존중하는 바(所尊)를 공경하고(敬) 그가 친하게 여기는 것(其所親)을 사랑(愛)하라
살아있는 사람을 섬기(事生)는 것처럼(如) 돌아가신 분을 섬겨라(事死)
존재하는 것을 섬기(事存)듯(如) 존재하지 않는 분을 섬겨라(事亡). 효의 지극함(孝之至)이다(也)
교제사와 사제사(郊社)의(之) 예(禮)는 상제를 섬기(事上帝)기 위한 까닭(所以)이다(也)
종묘의 예(宗廟之禮)는 그 선조(其先)에 대해(乎) 제사(祀)하기 위함(所以)이다(也)
교사의 예(郊社之禮)와 여름 제사(禘)와 가을제사(嘗)의(之) 예법(義)에(乎) 밝으면(明) 나라를 다스림(治國)은 아마(其) 그것을 손바닥에(諸掌) 보이는(示)것과 같(如)다(乎)
<경국대전의 봉사 - 문무관 6품이상은 3대를 제사하고 7품이하는 2대를 제사하고 서인은 부모만 제사하라>
<해설>
전체적으로 제사를 지낼 때는 산사람에게 정성을 다하듯 죽은 사람에게도 하라는 말이다. 제사가 바로 효도이기 때문이다. 제사행위가 효의 지극함을 표하는 것이다. 자신을 만들어준 은혜에 대한 보답을 선조에게 갚아라는 이야기다. 이러다보니 종가집에서는 제사지내다 1년이 다 간다. 주나라에서는 대부도 건국시조와 자신의 2대조에게만 사당제사 했다. 상급선비는 시조묘 없이 자신의 2대조에게만, 하급선비는 1대조에게만 제사 했다. 이것이 공자가 말하는 제사 예법이다. 경국대전 예전에도 7품 이하 관리는 조부모까지 제사하고 평민은 부모 제사만 하도록 규정되어 있다. 정확히 공자가 말하는 주나라 예법과 일치한다. 그런데 어떤 이유인지 조선시대에서 지금까지 평민이든 관리든 모두 4대조까지 제사지낸다. 모두들 자신이 제후급이다. 주자 가례를 만든 주자조차 이런 오바를 비판했다.
“而今祭四代已爲僭”(지금 4대조까지 제사하는 것은 매우 주제넘은 짓이다 - 주자가례)
교사(郊社)는 하늘에 대한 제사를 말한다. 주나라의 제사인데 동지에 하늘에 지내는 제사를 교(郊)라고 하고, 하지에 땅에 제사지내는 것을 사(社)라고 한다.
체(褅)제사는 여름제사를 말한다. 체교(褅郊)는 천자가 정월에 지내는 제사를 말한다. 상(嘗)제사는 가을제사를 말한다.
주자(1017 - 1073) - 주돈이(周敦頤), 송나라 주자학의 창시자, 호 렴계
<한자>
其(그 기) : 그, 그것, 만약, 아마도, 이에, 마땅히
乎(어조사 호) : ~인가? ~구나, ~에, ~에서, ~보다, 이여
諸(모든 제) : 모든, 여러, ~는, 이, 이에, ~에, ~에게서, ~이여, 之於(~에 그것)의 줄임말
郊(들 교) : 들, 야외, 근교, 천지의 제사
社(모일 사) : 모이다, 제사지내다, 땅귀신, 토지신
禘(제사 체) : 제사, 여름 제사, 종묘제사(천자가 정월에 남쪽 교외에서 지내는 제사)
嘗(맛볼 상) : 맛보다, 경험하다, 가을제사, 일찍이, 이전에
<영역>
"They occupied the places of their forefathers, practiced their ceremonies, and performed their music. They reverenced those whom they honored, and loved those whom they regarded with affection. Thus they served the dead as they would have served them alive; they served the departed as they would have served them had they been continued among them.
"By the ceremonies of the sacrifices to Heaven and Earth they served God, and by the ceremonies of the ancestral temple they sacrificed to their ancestors. He who understands the ceremonies of the sacrifices to Heaven and Earth, and the meaning of the several sacrifices to ancestors, would find the government of a kingdom as easy as to look into his pal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