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장달수의 한국학 카페 원문보기 글쓴이: 樂民(장달수)
피어선 가문의 역사적 배경 연구
조상열(평택대학교)
아브라함 피어선(Abraham Pierson, 1611-1678)은 토마스 피어선 2세
(Thomas Pierson, Jr., 1641/2-1684)를 낳고 토마스 피어선 2세는 아브라함
피어선(Abraham Pierson, 1676-1756/8)을 낳고 아브라함 피어선은 벤저민
피어선(Benjamin Pierson, 1701-1783)을 낳고 벤저민 피어선은 벤저민 피어
선 2세(Benjamin Pierson, Jr., 1736-1794)를 낳고 벤저민 피어선 2세는 데
이비드 피어선(David Pierson, 1763-1824)을 낳고 데이빗 피어선은 스테판 하
이니스 피어선(Stephen Haines Pierson, 1797-1863)을 낳고 스테판 하이니스
피어선은 아더 테판 피어선(Arthur Tappan Pierson, 1837-1911)을 낳으니라.
Ⅰ. 들어가는 말
이 논문은 아더 테판 피어선(Arthur Tappan Pierson)의1) 가계 분석을 통
하여 그 가문이 형성된 역사적 배경과 그 가문이 남긴 교육적 공헌이 무엇
122 韓國敎會史學會誌 第33輯(2012)
인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미국의 피어선 가문의 가계도에 관한 기록을 수
집한 책들은 지금까지 여러 권이 나왔지만, 그 중에서 부분적으로 유용한
것으로 평가받는 연구서로 네 권이 있다. 초기의 피어선 가문 연구서는
1878년에 출판된 리지 베네딕트 피어선(Lizzie Benedict Pierson)의 “피어선
족보기록”(Pierson Genealogical Records)으로서 피어선 가계의 족보만을
심층적으로 연구한 것이었다.2) 또 1887년에 출판된 조지 로저스 하우얼
(George Rogers Howell)의 “족보로 본 뉴욕, 롱 아일랜드, 사우스엄튼의 초기
역사”(The Early History of Southampton, L. I., New York, with Genealogies)
가 있다.3) 이후 아더 뉴튼 피어선(Arthur Newton Pierson)이 피어선 가문의
가계도와 이와 관련된 세 가문의 가계도를 함께 연구한 “피어선 가(家), 마쉬
가, 클락 가, 베이커 가의 족보”(Genealogy of the Pierson Family, the March
Family, the Clark Family, the Baker Family)를 1945년에 출판하였고,4) 가장
최근에는 리차드 피어선(Richard E. Pierson)과 제니퍼 피어선(Jennifer Pierson)
이 공동 연구한 “피어선 밀레니엄”(Pierson Millennium)이 2007년에 출판되었
다.5) 이는 바이킹 시절부터 현대까지 1000년간에 이르는 피어선 가문의 행적
과 가계도를 연구한 것으로 피어선 가문 연구 분야에서 가장 방대한 연구서라
할 수 있으며 이전의 연구들에서의 오류를 수정하고 있다.
미국에 이주한 피어선 가문에 관한 연구는 주로 피어선 가문의 후손들
이 주도하여 이루어졌지만, 그렇다고 연구의 가치를 혈족 구성원들의 관심
1) 이후 ‘Pierson’은 ‘피어선’으로 표기하도록 한다.
2) Lizzie B. Pierson, Pierson Genealogical Records (Albany, NY: Joel Munsell, 1878). 이 가
계도 연구는 리지 피어선의 중국 선교활동으로 출판되지 못하다가, 이후 조지 R. 하우얼
이 편집하고 일부 수정하여 출판되었다.
3) George Rogers Howell, The Early History of Southampton, L. I., New York, with
Genealogies, 2nd ed. (Albany, NY: Weed, Parsons and Company, 1887, 18661).
4) Arthur Newton Pierson, Genealogy: the Pierson Family, the Marsh Family, the Clark
Family, the Baker Family (1945). 이 책은 1945년에 그가 사망한 후 정리되어 출판되었다.
5) Richard E. Pierson and Jennifer Pierson, Pierson Millennium (Westminster, MD: Heritage
Books, 2007).
조상열, 피어선 가문의 역사적 배경 연구 123
사 정도로 평가 절하할 수는 없다. 피어선 가문은 미국의 주요 대학의 초
기 설립역사에 큰 영향을 끼쳤기 때문에 피어선 가문의 역사적 배경 연구
를 통해 그 가문을 지배해 온 정신적 가치가 어떻게 계승되어 구현되었는
지를 더 깊이 연구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위의 사전
연구를 기초로 하여 한국의 피어선기념성경학원 설립의 동기(動機)가 된
아더 피어선의 직계를 중심으로 그의 가문 형성과 발전에 대한 역사적 분
석을 통해 피어선 가문이 이룬 교육적 업적을 분석하고자 한다.
Ⅱ. 피어선 가문의 미국 이주 전의 조상
서양사에서 한 가계의 족보는 유아세례와 장례 등 대부분 교회에 보관
되어 있는 종교행사 기록을 근거로 재구성되고 있다. 그러나 기록이 불완
전하거나 부정확한 경우가 있기에 기타 여러 전승과 기록과 고고학적 발굴
을 근거로 역사를 재구성하는 수밖에 없다. 특히 영국에서는 1066년 프랑
스 노르망디의 윌리엄 공이 이끈 영국 점령(England Conquest)6) 이전까지
출생이나 사망, 가족관계, 결혼 등에 관한 기록이 보존되지 않았고 이후부
터 기록보존 제도가 생겼다. 영국 교구의 기록이 정식으로 보존되기 시작
한 것도 1536년 헨리 8세의 명령 때문이었다.7)
역사기록을 통해 밝힐 수 있는 피어선 가문의 가장 오랜 혈통상의 조상
은 793년부터 1042년까지 영국 요크셔(Yorkshire) 주로 침략과 이주(특히
876-918년)를 통해 들어온 바이킹의 후손들이며8) 리지 피어선은 ‘Pierson’
(피어선)이라는 이름은 요크셔에서 비롯되었다고 주장한다.9) ‘Pierson’(피
6) 이후 윌리엄은 잉글랜드의 왕이 되어 노르만 왕조의 시조가 되었다.
7) Richard E. Pierson and Jennifer Pierson, Pierson Millennium, 21.
8) Ibid., 5-15.
124 韓國敎會史學會誌 第33輯(2012)
어선)이라는 성(姓)은 ‘Peter’(피터/베드로)의 일반적인 성(姓)의 형태로서,
조지 하우얼(George R. Howell)에 따르면, ‘Pierson’(피어선)은 1066년 윌리엄
의 영국 점령(England Conquest) 이후에 반입된 옛 불어식 세례명인 ‘Pierre’
(삐에르/베드로)에서 변형된 ‘Piers’(피어스)에서 온 것이다. 이것이 후에 영국
에서 성(姓)을 사용하면서 Piers(피어스)의 자손 John(존)이라는 뜻으로 John
Pierson(존 피어선)이 되는 식으로 가계의 명맥을 나타내는 표시가 되었다
는 것이다.10)
그러나 리차드 피어선과 제니퍼 피어선에 따르면, Pierre(삐에르)나 Piers
(피어스)와 같은 이름을 1300년대 이전의 영국역사 기록에서는 찾아볼 수
없고, 다만 1300년대에 와서 ‘Piers’(피어스)라는 두 사람의 이름이 나타나
는데, 그 중 한명은 1066년 윌리암의 영국 점령 이후 1070년 경 요크셔에
정착하여 톱클리프(Topcliffe)에 성을 건축한 윌리엄 퍼시(William de Percy)
남작의 후손인 헨리 퍼시(Henry de Percy) 휘하의 기사로 활동한 피어스
경(Sir Piers)으로 1308년의 기록에 나타나고 있고 또 다른 사람은 재미있
게도 1376년 윌리엄 랑돈(William Langdon)의 정치적 종교적 시인 “Piers
Plowman”(농부 피어스)에 묘사된 자로서 그는 여기서 사람과 농부, 왕, 대
군주, 교황, 베드로, 아담, 그리스도 등의 다양한 역할을 가진 완벽한 사람
의 상징으로 나타나고 있을 뿐이라고 말한다.11)
한편 리차드 피어선과 제니퍼 피어선은 윌리엄 퍼시가 요크셔에 도착한
이후에 세워진 마을의 지명인 Persene(피어슨)에서 Pierson, Pereson, Person,
Pearson, Peirson,12) Peerson, Pearsonne, Persone 등의 다른 철자로 전환되
어 나타나는 모든 피어선가문의 성(姓)의 기원을 찾는다.13) Persene은 ‘피
9) Lizzie B. Pierson, Pierson Genealogical Records, 8.
10) See George R. Howell’s footnote in Lizzie B. Pierson, Pierson Genealogical Records, 8, n. 1.
11) Richard E. Pierson and Jennifer Pierson, Pierson Millennium, 1-2.
12) 리차드 피어선과 제니퍼 피어선은 Pearson과 Peirson이 Pierson보다 더 초기의 철자법이
었을 것으로 본다.
조상열, 피어선 가문의 역사적 배경 연구 125
어슨’(Pierson 혹은 Pearson)으로 발음되었으며 ‘Percy에게 속한’이라는 뜻
으로 지금은 사라진 마을이다. 지명의 유래는 1066년 윌리엄 공의 영국 점
령 이후, 1067년 프랑스에서 도착한 또 다른 월리암(William de Percy) 남
작이 이곳의 땅을 수용해 정착하면서 자신의 출신지인 프랑스 La Manche
(라 망쉬)의 Saint-Lo(생-로)에 있는 Percy(뻬혹씨) 시의 지명에서 딴 자신
의 성(姓)에서 비롯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14) 1070년경 월리암(William
de Percy)은 이곳의 이름을 Pericne(피어리슨)으로 지었으나 후에 Persene
(피어슨)으로 철자가 바뀌었다.15)
1100년경 유럽 인구가 증가하면서 성(姓)을 사용하기 시작하였을 때, 이
지역의 거주민 일부가 출신지명을 성(姓)으로 사용하였고, 이후 그 후손들
이 요크셔와 더럼(Durham) 등지로 이주하다 결국 영국과 스코틀랜드 전역
으로 확산되었는데, 이들의 연구에 의하면, 1240년부터 1856년까지 가문의
문장(coats of arms)으로 상징되는 모든 피어선 가계(Pearson, Peirson, Pierson
등)의 본거지는 34곳으로 영국의 잉글랜드와 스코틀랜드와 네덜란드에 분
포되어 있으며 웨일즈나 아일랜드에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16) 분명한 것
은 피어선 가계가 혈족상으로는 스칸디나비안 바이킹의 후손들이고 그들
의 영국내 원 출신지는 요크셔 주였다는 점이다.
아더 피어선에 의하면 1890년 그가 스코틀랜드 아브로스(Arbroath)를 방
문하였을 때, 그곳의 옛 수도원 터(Arbroath Abbey)에서 가문의 문장이 새
겨져 있는 기사출신의 피어선 가문 일원들의 묘석을 발견했고 또 낡은 조
13) Richard E. Pierson and Jennifer Pierson, Pierson Millennium, 1-4. Pearson과 Pierson과
Peirson의 성(姓)이 라틴어로 표기될 때는 Person으로 철자화되었다. Cf. ibid., 29-30.
14) Ibid., 2-4. 월리암(William de Percy)는 영국 퍼시(Percy) 가문의 시조가 되었으며 첫 십자
군 원정에 참가하여 1099년 팔레스타인(Palestine)에서 죽었다.
15) Ibid., 4. Pericne은 요크셔 이스트 리딩(East Riding)에 있는 베버리(Beverley)에서 북쪽으
로 3.5마일(5.6km) 떨어진 곳이다.
16) Ibid., 1, 7-8, and 65-81.
126 韓國敎會史學會誌 第33輯(2012)
상의 집을 방문하기도 했다고 전하고 있다.17) 아브로스는 바이킹이 이주하
여 정착한 곳 중의 하나이다. 바이킹은 영국 중부 등으로 이주해 온 이후
로 군사기지를 기반으로 한 농경사회를 이루었기에 그들의 군사적 기원은
오랫동안 그 사회 구조에 영향을 끼쳐서 정착을 시작한 지 수 백년이 지난
10세기경에도 그 후손들은 자신들을 ‘군대’라고 불렀다.18) 따라서 이러한
기원은 피어선 가문의 후손들이 직업을 선택할 때에 그들에게 영향을 주었
던 것이다. 현재 아브로스 수도원의 피어선가문의 일파의 비석의 내용은
기록으로 보존되어 있으나 그 실물은 훼손, 폐기되어 그 흔적을 찾아볼 수
는 없다.19)
1500년대 이전에 피어선이라는 이름을 썼던 조상으로는 1298년 스코틀랜
드 버윅(Berwick)의 남작으로 기록된 오티어 피어러슨(Wautier Pieressone)이
있다.20) 그리고 1440년 요크셔 주, 토레스비(Thoresby)의 교구목사(Rector)
로 기록된 윌리암 피어슨(William Pereson)과21) 1452년 당시 요크셔 주의
치안행정관(Sheriff)이었던 토마스 피어슨(Thomas Peirson, ?-1490) 등이 있
다. 토마스 피어슨은 질서를 유지하고 세금을 징수하며 군대를 모병하는
17) Arthur T. Pierson, The New Acts of the Apostles: the Marvels of Modern Missions (New
York: Baker & Taylor, 1894), xvii.
18) Richard E. Pierson and Jennifer Pierson, Pierson Millennium, 13. 지금도 스코틀랜드 에딘
버러에서는 호그마니(Hogmanay) 축제 등을 통해 그들이 바이킹의 후손임을 기념하고 상
기하는 행사를 갖고 있다.
19) 델러반 피어선은 그의 책에서 피어선 가문의 문장을 소개하고 있다. See Delavan L.
Pierson, Arthur T. Pierson (New York, etc.: Fleming H. Revell, 1912), 6. 델러반 피어선
은 아더 피어선이 칼을 사용하는 무사들이었던 조상들과 달리 하나님의 말씀을 무기로
세상을 정복하려 하였던 하나님의 기사였다고 평하였다: Ibid., 17. 아브로스의 비석상태
는 2012년 7월에 직접 방문하여 확인하였음.
20) Angus Baxter, “The Pearson Family,” Heritage Quest Magazine, American Genealogical
Lending Library, Issue #58, (July/Aug 1995), 39. Richard E. Pierson and Jennifer Pierson,
Pierson Millennium, 30에서 재인용.
21) Lizzie B. Pierson, Pierson Genealogical Records, 70-733. Richard E. Pierson and Jennifer
Pierson, Pierson Millennium, 30에서 재인용. 토레스비는 요크에서 서북쪽으로 38마일
(61.1km) 떨어진 노스 리딩(North Riding)에 있다.
조상열, 피어선 가문의 역사적 배경 연구 127
일 등으로 당시의 왕인 헨리 6세(Henry VI)를 보좌하였다. 리차드 피어선
과 제니퍼 피어선은 토마스 피어슨(Thomas Peirson)과 요크(York)의 부감
독(Subdean)이자 요크셔 볼튼 퍼시(Bolton Percy, Yorkshire)의 교구목사였
던 토마스 피어슨(Thomas Pereson)을 동일인물로 추정하여 그가 묻힌 요크
민스터(York Minster)에 기록된 ‘Thomas Pereson’이 그의 라틴어식 이름이
라고 주장하는데,22) 이러한 직책을 수행하려면 특별 교육이 전수되어야 한
다는 점과 중세의 주요 직책은 대부분 세습되었다는 점에서, 리차드 피어
선과 제니퍼 피어선은 토마스 피어슨(Thomas Pereson)이 윌리암 피어슨
(William Pereson)의 아들이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23) 또 1477년 당시 요
크셔 주의 치안행정관(Sheriff)은 니콜라스 피어선(Nicholas Pierson, ?-1490)
이었는데, 위와 같은 이유로 리차드 피어선과 제니퍼 피어선은 이 사람을
토마스 피어슨(Thomas Pereson)의 아들로 추정하고 있다.24)
리차드 피어선과 제니퍼 피어선은 피어선 가문이 피어선이라는 성을 갖
게 된 계기를 그들의 선조가 출신지인 Persone(피어슨)을 떠나게 된 동기에
서 찾는다. 그들은 피어선 일가가 근거지인 Pericne/Persene(피어슨)을 떠난
이유가 자녀교육문제 때문이었을 것으로 추정한다. 이들은 Pericne/Persene
(피어슨)이라는 마을이 세워진 1070년부터 농민혁명이 일어난 1381년까지
당시 마을의 농노들은 법적으로 이주가 자유롭지 않았기 때문에, 피어선
가문의 시조가 성주에게 충성심을 보이며 교육을 위해 그들의 자녀들이 도
22) Richard E. Pierson and Jennifer Pierson, Pierson Millennium, 30. 그가 묻힌 요크 민스터
(York Minster)에 기록된 ‘Thomas Pereson’이 그의 라틴어식 이름이라고 생각한다: ‘Hic
jacet Thomas Pereson hujus ecclesia cathedralis subdecanus, qui obiit XXVIII die mensis
Octobris A.D. 1490, cujus animae propitietur Deus, Amen’ (여기 교회 성당 부감독이었으
며 A.D. 1490년 10월 28일에 죽어, 그의 영혼이 평안히 하나님께 기댄 토마스 피어슨이
묻히다. 아멘). 볼튼 퍼시는 요크에서 남서쪽으로 8마일(12.8km) 떨어진 웨스트 리딩
(West Riding)에 있는 곳이다.
23) Ibid., 7-8, 30.
24) Ibid., 8, 31
128 韓國敎會史學會誌 第33輯(2012)
시로 떠날 수 있도록 부탁하여 첫 이주가 이루어졌을 것으로 본다. 당시의
교육은 교회에서 시행되었고 농노들의 자식들이 더 나은 교육의 혜택을 입
을 수 있도록 마을을 떠나 도시로 이주하게 되었는데, 피어선 가문의 시조
도 이때 이러한 사유로 본거지 마을을 떠나 요크(York)에 정착하게 되었을
것으로 추정한다.25) 이리하여 그들이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허락을 받아
떠나게 된 근거지에 대한 충성심의 일환으로 그들이 성(姓)이 피어슨이 되
었다는 것이다. 이러한 추정은 역사 사료적 근거가 빈약한 약점이 있기는
하지만, 현재로서는 피어선 가문의 이주 및 정착배경 이해에 도움이 되는
유력한 설명이라고 볼 수 있다.
어쨌든 여러 이유로, 피어선 가문의 시조들은 당시 요크셔의 지배세력인
퍼시(Percy) 가문의 영향력 아래에 있는 교회에서 읽고 쓰기 등의 교육을
받아, 교회와 관련해서는 기록서기(recorder), 교구목사(vicar, rector),26) 부
감독(subdean), 감독(dean) 등의 직무와, 정치적으로는 치안행정관(Sheriff)
의 고위직까지 수행하게 되었고,27) 이는 자연스럽게 요크에 정착한 피어선
가문의 가업으로 발전한 것으로 보인다.
Ⅲ. 피어선 가문의 미국 이주 후의 조상
미국 피어선 가문의 선조의 역사는 1500년대 후반부터 영국에서 일어난
청교도들의 역사와 깊이 연결되어 있다. 리지 피어선(Lizzie B. Pierson)은
1639년 5월에 메이플라워(Mayflower)호를 타고 런던을 떠나 아마도 그해 7
25) Ibid., 7-8, 30.
26) vicar(비커)는 봉급만 받는 교구목사이며 rector(렉터)는 교구세까지 받는 교위직 교구목
사이다.
27) Ibid., 8.
조상열, 피어선 가문의 역사적 배경 연구 129
월경 식민지 뉴잉글랜드의 보스턴에 도착한 청교도인 아브라함 피어선 목
사(Rev. Abraham Pierson, Sr., 1611-1678)와, 같은 시기에 신대륙으로 이주
한 헨리 피어슨(Henry Peirson, 1615-1680)과 토마스 피어선(Thomas Pierson,
?-?)이 형제지간이라고 주장했다.28) 이후 아더 뉴튼 피어선(Arthur Newton
Pierson)은 펠레트로와 브라운의 가계연구를29) 인용하며 1612년 7월 31일에
결혼한 아브라함 피어선(1590-?)과 부인 크리스틴 존슨(Christine Johnson)
사이에 동명의 자식인 아브라함 피어선(1611-1678)과 헨리 피어슨(Henry
Peirson)이 있었다고 주장하였다.30) 그러나 이를 뒷받침해 줄 수 있는 역사
적 근거는 없다. 리차드 피어선과 제니퍼 피어선은 아브라함 피어선(1590-?)
과 부인 크리스틴 존슨에 관하여 남아있는 기록은 그들이 1612년이 아닌
1615년 7월 31일에 결혼했다는 기록뿐이라며31) 그들의 자식의 출생에 대
한 어떠한 기록도 전해 내려오지 않고 있다고 반박한다.32) 또한 헨리 피어
슨(Henry Peirson)은 기록상 윌리암 피어슨(William Peirson)의 아들로 1615
년에 태어난 것으로 나타난다.33) 리차드 피어선과 제니퍼 피어선은 식민지
로의 도착 연대만 일치할 뿐 헨리 피어선의 세례기록 외에, 헨리 피어선의
부모가 또 다른 형제를 자식으로 두었다는 어떠한 역사적 기록도 찾지 못
했다고 논박한다. 그러나 아브라함 피어선과 헨리 피어슨이 형제관계는 아
닐지라도, 친척관계일 가능성은 있을 수 있다.34) 또 리지 피어선이 추정하
28) Lizzie B. Pierson, Pierson Genealogical Records, v, 34.
29) William S. Pelletreau and John Howard Brown, American Families of Historic Lineage,
National Americana Society (New York: National Americana Society, 1913[?]).
30) Arthur Newton Pierson, Genealogy: the Pierson Family, the Marsh Family, the Clark
Family, the Baker Family (Arthur N. Pierson, 1945).
31) London Marriage Licenses & Allegations, 1521-1869, Col. 1035, microfiche in State
Library at Sydney, Australia. Pierson Millennium, 51에서 재인용.
32) Ibid., 50-51.
33) Ibid., 103.
34) Ibid., 48.
130 韓國敎會史學會誌 第33輯(2012)
는 것과 같이 토마스 피어선이 1639년에 신대륙으로 이주했다는 기록은 없
으며 정식 기록은 그가 1662년에 결혼하였고, 1666년 10월 코네티컷 주의
브랜포드(Branford)에서 아브라함 피어선을 따라 뉴저지의 뉴어크(Newark)
로 이주하기로 동의하고 서명한 가장들 중의 한 사람이었다는 것이다.35) 따
라서 아브라함 피어선보다 한 세대 정도 어리기에 아브라함 피어선의 형제
로 보기에는 어려우나 친척일 가능성은 배제하지 않는다.36) 1639년에 신대
륙으로 건너온 것으로 기록된 또 한 사람은 바돌로메 피어선(Bartholomew
Pierson)이다.37) 따라서 리차드 피어선과 제니퍼 피어선은 아브라함, 바돌
로메, 헨리가 친척관계였을 것으로 보고 있다.38)
아브라함 피어선은 1613년생으로 알려져 있지만,39) 리차드 피어선과 제
니퍼 피어선의 연구에 의하면, 요크셔 주 지방의 1613년경 당시의 교회 유
아세례 기록에는 세 명의 아브라함 피어슨이 나타나는데,40) 그 중 한명이
토마스 피어슨(Thomas Pearson, ?-1617)의 아들인 아브라함 피어슨(Abraham
Peerson)으로 1611년 9월 22일에 세례를 받아, 그가 아브라함 피어선(Abraham
Pierson)과 동일인물인 것으로 보이며41) 그의 성은 미국에서 Pierson(피어
선)으로 교정된 것으로 보인다.42) 다만 유아세례 기록에는 그가 요크셔 주
35) Lizzie B. Pierson, Pierson Genealogical Records, 34.
36) Richard E. Pierson and Jennifer Pierson, Pierson Millennium, 49.
37) Ibid., 55-57.
38) 아브라함 피어선의 친척관계에 대해서는, see ibid., 57-64.
39) Ibid., 48.
40) 리차드 피어선과 제니퍼 피어선은 Church of Jesus Christ of Latter-Day Saints International
Genealogical Index (CD ROM)을 사용하여 위와 같은 사실을 밝혀냈다. 나머지 두 명은
다음과 같다: Abraham Pearson, 1599년 7월 24일 세례 (父: William; 출신: 요크셔 주, 브
래드포드); Abraham Person, 1608년 8월 14일 (父: 미기재; 출신: 요크셔 주, 귀슬리),
1608년 9월 30일에 곧 사망함. See Ibid., 51.
41) 유아세례 기록에는 아브라함 피어슨(Abraham Peersone)이 토마스 피어슨(Thomas Peerson)
의 아들로 나오나, 다른 형제들의 기록에는 토마스 피어슨(Thomas Pearson)으로 나온다.
ibid., 51-52. Cf. Susan H. Moore, Pilgrims: New World Settlers & the Call of Home (New
Haven, etc.: Yale University Press, 2007), 196.
조상열, 피어선 가문의 역사적 배경 연구 131
브래드포드(Bradford)에서 북쪽으로 6마일(9.6km) 정도 떨어진 귀슬리(Guiseley)
출신인 것으로 기록되어 있는데, 브레드포드 교구의 유아세례 기록을 보면,
모두 토마스 피어슨(Thomas Pearson)의 자식으로 추정되는 11명의 유아
중 첫 세 명은 부모의 출신지가 브레드포드로, 나머지는 귀슬리로 표기되
어 있어, 토마스 피어슨이 1593년에 결혼 후 1602년 경 브레드포드에서 귀
슬리로 이동한 것으로 보인다.43) 반면 미국 내의 전설에 따르면 아브라함
피어선이 영국 노팅험셔(Nottinghamshire) 주의 뉴어크(Newark-on-Trent)
출신이어서 그의 출신지명을 따서 뉴저지의 새로운 정착지의 이름을 뉴어
크(Newark)로 지었다고 전한다.44) 또 다른 전설은 영국의 뉴어크가 아브라
함 피어선이 목사안수를 받은 장소였기 때문이라고 전한다. 그러나 이 같
은 전설을 증명할 역사적 자료가 현재 영국 뉴어크에는 없다.45)
아브라함 피어선은 1632년에 캠브리지대학교, 트리니티 칼리지(Trinity
College)를 졸업하였다.46) 아브라함 피어선이 재학할 당시의 캠브리지대학
교는 국교회의 철저한 개혁을 추구하며 청교도식 목회 훈련을 시키던 청교
도 운동의 본거지였으며 청교도(Puritans)라는 별명이 생긴 곳이기도 하였
다. 따라서 첫 식민지 이주 청교도 목사들 가운데 한 둘을 제외하고는 모
두가 캠브리지대학교 졸업생들이었으며47) 특히 1630년부터 1640년 사이
미국으로 이주해온 청교도 중 90명 이상이 청교도적 교육이 전개된 캠브리
42) Richard E. Pierson and Jennifer Pierson, Pierson Millennium, 50.
43) Ibid., 51-52.
44) Delavan L. Pierson, The Influence of a Loving Life: Glimpses of Laura W. Pierson
(1942[?]), 1.
45) Lizzie B. Pierson, Pierson Genealogical Records, 74; Richard E. Pierson and Jennifer
Pierson, Pierson Millennium, 50, 89.
46) Lizzie B. Pierson, Pierson Genealogical Records, 10, 73. Susan H. Moore, Pilgrims: New
World Settlers & the Call of Home, 196.
47) Henry W. Foote, “The Significance and Influence of the Cambridge Platform of 1648”, in
Henry W. Foote (ed.), The Cambridge Platform of 1648: Tercentenary Commemoration at
Cambridge, Massachusetts October 27, 1948 (Boston: Beacon Press, 1949), 34.
132 韓國敎會史學會誌 第33輯(2012)
지와 옥스퍼드 대학교 졸업생들이었다.48) 청교도 목사들의 이러한 배경은
자연스럽게 그들이 뉴잉글랜드 지역에 청교도식 교육을 강조하며 1636년
하버드대학 설립과 1647년 이른 바 캠브리지 강령(Cambridge Platform)이
라 불리는 교육법제의 확립을 주도하도록 만들었다.49) 아브라함 피어선이
왜 그리고 어떻게 캠브리지대학교에서 수학하게 되었는지는 역사자료상으
로 추적할 수 없으나 그의 대학진학은 교육을 통해 가문을 유지, 발전시키
려는 피어선 가문의 내력이 계승된 결과로 추정된다. 따라서 아브라함 피
어선은 교육을 바탕으로 발전한 피어선 가문의 배경과 신앙교육을 강조하
는 청교도 운동의 영향을 함께 받은 것으로 보인다.
캠브리지대학교에서 청교도적 교육을 받은 후 1632년 졸업한 아브라함 피어
선은 그해부터 요크(York)에 있는 올 세인츠 페이브먼트(All Saints Pavement)
교회에서 안수 받기 전 교역자(an unlicensed Curate)의 신분으로 목회사역
을 시작하였다. 리지 피어선은 아브라함 피어선이 영국국교회에서 안수받
았다고 전하지만,50) 이를 증명할 기록은 현재 찾을 수 없다. 리지 피어선
은 그 이유를 아브라함 피어선이 당시 비국교도(Non-conformist)의 길을 걸
어간 청교도였기 때문에 영국국교회와 관련된 그에 대한 기록이 남아있지
않게 되었을 것이라고 설명한다.51) 이후 1639/40년경 3월 19일 아브라함
피어선은 고등법원위원회에 소환 당하였다. 그러나 그는 소환에 불응하였
고 이로 인해 당시 20파운드의 벌금형을 받게 되었다.52) 아브라함 피어선
이 소환당한 이유는 그가 청교도적 입장을 취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48) Frederick L. Fagley, “The Narrative of the Cambridge Synod”, in Henry W. Foote (ed.),
The Cambridge Platform of 1648, 7.
49) 배한극, “17세기 뉴잉글랜드 청교도의 학문과 교육”, 「서양사학연구」 12(2005), 55-60.
Cf. 정정숙, “청교도들의 교육사상 연구”, 「신학지남」 73집/4(2006), 103-106.
50) Lizzie B. Pierson, Pierson Genealogical Records, 10.
51) Ibid., 73.
52) Susan H. Moore, Pilgrims: New World Settlers & the Call of Home, 196.
조상열, 피어선 가문의 역사적 배경 연구 133
이로 인해 아브라함 피어선은 이후 박해를 피하고 종교의 자유를 찾아 신
대륙 식민지로 떠나게 되었다. 델러반 피어선은 아브라함 피어선이 영국
국교회 목사로서 영국왕실의 특별 발탁으로 영국 뉴어크의 그의 교구를 떠
나게 되었다고 전한다.53) 그러나 이는 확인하기 어려운 전승을 그가 여과
없이 인용한 것으로 보인다.
아브라함 피어선이 미국으로 이주해온 시기에 대해서도 이견이 있다. 일
반적으로 아브라함 피어선은 1639년 5월에 런던을 출발하여 9월경 뉴잉글
랜드에 도착한 것으로 여겨졌다.54) 반면 수잔 무어는 아브라함 피어선이
소환에 불응한 사건 직후 1640년 초기에 신대륙으로 이주한 것으로 본
다.55) 1639과 1640년 사이로 이주년도의 차이가 크지는 않으나 아브라함
피어선이 1639년 3월에 소환을 당하자 그해 5월에 신대륙으로 건너간 것
으로 보여, 1639년 이주설에 더 무게가 있어 보인다. 또한 아브라함 피어선
은 1640년 10월 11일 보스턴에서 사우샘프턴의 정착자들의 목회자로 선출
되어,56) 11월에 매사추세츠 주의 린(Lynn)에서 40 가정 정도의 회중교회
목회를 위해 목사안수를 받고 담임목사로 취임하였으며, 같은 해 린에서
사람들을 이끌고 뉴욕 주, 롱 아일랜드의 사우샘프턴(Southampton)으로 이
주하여 이 지역의 초대 목사로서 회중교회를 세우고 도시를 형성하였다.57)
따라서 아브라함 피어선은 1639년경에 신대륙으로 이주해 와, 일 년 후 높
아진 그의 지명도를 통해 1640년 담임목사로 지목된 것으로 보인다.
53) Delavan L. Pierson, Arthur T. Pierson, 18.
54) Richard E. Pierson and Jennifer Pierson, Pierson Millennium, 8, 34; Lizzie B. Pierson,
Pierson Genealogical Records, 10; George R. Howell, The Early History of Southampton,
L.I., New York, 15-16. Pierson Millennium, 48에서 재인용.
55) Susan H. Moore, Pilgrims: New World Settlers & the Call of Home, 196.
56) Richard E. Pierson and Jennifer Pierson, Pierson Millennium, 106.
57) George R. Howell, The Early History of Southampton, L.I., New York, 2nd ed., 21-22. 이
교회는 후에 장로교회가 되었다. 장로교회로의 전환에 대해서는 see ibid. (1st ed.).
Pierson Millennium, 48, 89에서 재인용.
134 韓國敎會史學會誌 第33輯(2012)
당시 영국에서 건너온 청교도 중 국교회 목사들은 그들의 목사직위를
공식적으로 포기하지 않았지만, 식민지에서 간단한 신약성서의 방식을 따
라 재안수(reordination)를 받았다. 그들은 식민지의 새로운 교회에서 평신
도 지도자들이 거행하는 이러한 재안수식을 그들의 목사로 선임되고 비준
받는 과정의 표시로 여겼다.58) 따라서 직접적인 기록상의 증거는 없지만,
아브라함 피어선은 영국에서 목사안수를 받은 후 식민지로 이주하여 1640
년에 회중교회에서 재안수를 받은 것으로 보인다.
청교도 정착자들이 모두 플리머스에 온 사람들처럼 신앙의 자유를 찾아
도피한 이주자들은 아니었다. 당시 식민지 정착자 중 상당수는 부유층이었
으며 영국의 대학에서 체계적인 교육을 받은 지도층이었다. 영국에서도 권
력층에 속했으며 이주 이후에도 영국의 권력조직과 연결되어 있었다. 따라
서 식민지 정착자 중에서 상위층이었던 그들은 뉴잉글랜드에 정결한 유형
의 교회와 정부를 세우려하였다.59) 이때 아브라함 피어선은 사우샘프턴에
서, 정권과 교권은 모두 교회에서 나온 것이기에 정치인의 자질에 대하여
훌륭한 기독교인이 아니라면 정부의 중요한 직책을 가져서는 안 된다고 주
장하였다. 단호한 그의 입장은 식민지 사회의 분열을 가져왔다. 정치에 대
한 교권개입의 견해 차이로 결국 1647년 그는 교인 중 일부 추종자들을 이
끌고 코네티컷(Connecticut) 주로 이주해 와 그의 출신지인 영국 요크셔 주
브래드포드(Bradford)의 이름을 딴 브랜포드(Branford)60) 시를 세우게 되었
58) Frederick L. Fagley, “The Narrative of the Cambridge Synod”, in Henry W. Foote (ed.),
The Cambridge Platform of 1648, 6; cf. 16. 각 회중교회가 담임목사를 선택하고 안수를
주는 것은 청교도적 의식에서 비롯된 것이다. See Henry W. Foote, “The Significance and
Influence of the Cambridge Platform of 1648”, in ibid., 34-6, 43.
59) Frederick L. Fagley, “The Narrative of the Cambridge Synod”, in Henry W. Foote (ed.),
The Cambridge Platform of 1648, 7.
60) 리차드 피어선과 제니퍼 피어선은 아브라함 피어선이 그의 출신지명인 브랜드포드
(Bradford)와 브랜포드(Branford)를 같은 이름으로 보았을 것으로 생각한다: Richard E.
Pierson and Jennifer Pierson, Pierson Millennium, 50.
조상열, 피어선 가문의 역사적 배경 연구 135
다.61) 이 기간에 그는 인디언을 대상으로 열정적인 선교활동을 수행하였
다.62) 그는 모헤간족(Mohegan)과 모히칸족(Mohigan) 인디언들과 가깝게
지냈는데 인디언들의 언어를 배워 그들의 언어로 설교를 했으며, 그들을
위해 교리문답서를 만들어 사용하기도 하였다. 또 인디언들과 시당국 사이
의 중재자 역할을 담당하기도 하였다.63)
아브라함 피어선은 무절제한 교회 성만찬 문제를 엄격하게 다루었고 코
네티컷 식민주 성직자들의 진보성을 인정하지 않았으며 유아세례식 문제
에서도 코네티컷 식민주의 성직자들과 다른 입장을 취하였다. 한편 뉴 헤
이븐 식민주에서는 세례교인이 아니면 시민권리를 가진 공민이 될 수 없었
다. 그리하여 그는 1665년, 코네티컷과 뉴 헤이븐(New Haven)의 병합에
반대하며 정교일치의 정부를 주장하던 뉴 헤이븐의 초대 목사이자 사돈인
존 대번포트(John Davenport)과64) 연합하였다. 신정정치에 대한 뜻을 굽히
지 않던 그는 결국 반대파들과 충돌을 피하고 평화를 지키기 위해서 1666
년 그를 따르는 상당수의 회중을 이끌고 19년간 목회사역을 한 브랜포드를
떠나 뉴저지로 내려와 인디언들에게서 지금의 뉴저지 주의 파사익(Passaic)
땅을 사들이며 뉴어크(Newark) 시를 건설하게 되었다. 1666년과 1667년에
브랜포드와 근처의 두 마을에서 65명 정도의 교인들이 뉴어크로 합류하게
되었고 이들을 중심으로 뉴어크 최초의 교회인 뉴어크 제일회중교회(The
First Congregational Church in Newark)가 조직되었다. 아브라함 피어선은
이 교회의 초대 담임목사가 되어 교회와 지역사회를 12년간 이끌다가 1678
년에 사망하였다. 이 교회는 이후 장로교회로 바뀌게 되었다.65)
61) Lizzie B. Pierson, Pierson Genealogical Records, 10-11.
62) Richard E. Pierson and Jennifer Pierson, Pierson Millennium, 89.
63) Delavan L. Pierson, Arthur T. Pierson, 20.
64) 아브라함 피어선의 딸 아비게일(Abigail)은 존 대번포트(John Davenport)의 아들 존 대번포
트 2세와 1663년에 결혼하였다. Cf. Lizzie B. Pierson, Pierson Genealogical Records, 12.
65) Lizzie B. Pierson, Pierson Genealogical Records, 10-12; Richard E. Pierson and Jennifer
136 韓國敎會史學會誌 第33輯(2012)
아브라함 피어선의 장남인66) 아브라함 피어선 2세(Abraham Pierson, Jr.,
1641-1707)는 1641년 매사추세츠 주 린(Lynn)에서 태어나67) 부친인 아브
라함 피어선과 함께 뉴욕 주 사우샘프턴과 코네티컷 주의 브랜포드에서 함
께 생활하였으며 1668년 하버드대학을 졸업한 후, 뉴어크에 합류하여 1669
년부터 뉴어크 제일회중교회의 협동목사로 부친의 목회를 도왔다. 1678년
부친이 사망하자 담임목사가 되어 1692년까지 목회하였다. 그는 이후 코네
티컷 주로 돌아가 1694년 코네티컷 케닐워스(Kenilworth)의68) 제일회중교
회(the First Congregational Church) 담임목사가 되었다. 리지 피어선은 그
의 부친인 아브라함 피어선 1세는 엄격한 독립주의자였던 반면, 그는 온건
한 장로교주의자였다고 평가한다.69) 또한 그는 코네티컷 주의 세이브룩
(Saybrook)에서 부친에게서 물려받은 책 440권을 기증하면서 시작된 대학
(Collegiate School)의 초대 총장 겸 교구목사(Rector)로 선출되어 1701년
개교할 때부터 1707년 사망하기 전까지 6년간 이 학교에서 강의하였다. 그
의 사후 학교는 거상인 엘리후 예일(Elihu Yale)의 기부로 지금의 뉴 해이
븐(New Haven) 캠퍼스로 옮겨졌으며 교명도 1718년 예일대학(Yale College)
으로 개명하게 되었다. 그는 이 대학에서 “자연철학 체계”(System of Natural
Philosophy)를 작성하였으며 이것은 오랫동안 예일대학 학생들의 교육을
위해 사용되었는데,70) 이는 그가 신앙뿐 아니라 이성을 존중하며 교육을
Pierson, Pierson Millennium, 89-90.
66) 아브라함 피어선의 아들들의 이름은 아브라함(Abraham), 토마스(Thomas), 존(John), 티필
러스(Theophilus), 아이작(Isaac)이며 이외 5명의 딸들이 있었다.
67) 아브라함 피어선은 아브라함 피어선 2세가 태어난 1641년 이전, 영국 링커셔(Lincolnshire)
주 빌스비(Bilsby)의 교구목사(vicar)였던 존 휠라이트(John Wheelwright)의 딸 아비가일
(Abigail)과 결혼하였다. Richard E. Pierson and Jennifer Pierson, Pierson Millennium,
53-55.
68) 당시의 지명은 킬링워스(Killingworth)였으며 케닐워스(Kenilworth)의 옛 이름이다.
69) Lizzie B. Pierson, Pierson Genealogical Records, 13.
70) Richard E. Pierson and Jennifer Pierson, Pierson Millennium, 90.
조상열, 피어선 가문의 역사적 배경 연구 137
강조하고 학문을 발전시켰던 청교도적 전통에71) 서있었음을 말해준다.
아브라함 피어선 2세의 삼남 육녀의 자녀 중 셋째 아들인 존 피어선
(John Pierson, 1689-1770)은 1689년 뉴어크에서 태어나72) 1692년경 부친
과 함께 코네티컷으로 이주하였고 이런 시절 부친에게서 교육받았다. 1714
년 그는 예일대학을 졸업 후 뉴저지의 우드브리지(Woodbridge)로 내려가
설교사역을 하였으며 1717년 4월 29일에 우드브리지 제일장로교회에서 목
사안수를 받아 이 교회에서 1752년까지 목회를 지속하였는데, 1746년에는
뉴저지대학(the College of New Jersey) 설립을 주도한 11명의 설립이사 중
의 한 사람으로서 역할을 담당하였다.73) 이 대학은 후에 프린스턴대학교로
개명하였고 미국에서 네 번째로 오래된 대학이 되었다. 이로써 피어선 가
문은 식민지 이주자들을 위한 미국의 주요한 대학설립에 크게 기여하게 되
었는데 그 배경에는 가문 뿐 아니라 사회, 종교의 변화를 위해 교육을 중
요시한 피어선 가문의 전통과 영미 청교도의 교육적 특징이라는 큰 요인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Ⅳ. 아브라함 피어선 이후 아더 피어선의 직계 선조
토마스 피어선 2세(Thomas Pierson, Jr., 1641/2-1684)는 아브라함 피어선
(1611-1678)의 다섯 아들 중 차남으로 사우샘프턴(Southampton)에서 태어
났다. 아브라함 피어선이 코네티컷 브랜포드를 떠나 뉴어크로 이동하였을
71) 뉴잉글랜드 지역의 청교도적 교육 성향에 관해서는 배한극, “17세기 뉴잉글랜드 청교도
의 학문과 교육”, 57-60을, 청교도의 반이성주의의 배격에 관해서는 정정숙, “청교도들의
교육사상 연구”, 106-109을 참조하라.
72) Richard E. Pierson and Jennifer Pierson, Pierson Millennium, 90.
73) 이후 뉴저지의 여러 지역에서 목회하는 등, 총 56년의 목회사역을 마치고 1770년에 사망
하였다. ibid., 93.
138 韓國敎會史學會誌 第33輯(2012)
때, 토마스 피어선 2세는 부친과 함께하였다. 이후 그의 형인 아브라함 피
어선 2세가 코네티컷 주로 옮겼으나, 토마스 피어선 2세는 뉴어크에 계속
남게 되어 6에이커(24,281 ㎡)의 토지를 물려받았고,74) 이후 그의 아들인
아브라함 피어선(Abraham Pierson, 1676-1756/8)이 뉴어크의 부친의 땅을
상속받아 그곳에서 살게 되었다.
아브라함 피어선(1676-1756/8)의 사남 일녀의 자녀 중 장남인 벤저민 피
어선(Benjamin Pierson, 1701-1783)은 1701년 뉴어크에서 태어나 자랐으며
신앙심으로 존경을 받았던 자로 뉴저지 주의 윕퍼니(Whippany)에서 이스
트 하노버(East Hanover; 현재의 메디슨[Madison]) 방향의 길에 있는 모리
스타운(Morristown)에서 동쪽으로 3마일 떨어진 곳의 부지를 매입해 ‘피어
선마을’(Piersonville)이라 부르고 그곳으로 이주하여 농장을 일구고 거주하
였다. 이 땅은 후에 로마 가톨릭 수녀원과 학교에 매각되었다.75)
벤저민 피어선(1701-1783)의 차남인 벤저민 피어선 2세(Benjamin Pierson,
Jr., 1736-1794)는 1736년 3월 30일 뉴저지 주 모리스타운 근처에서 태어나
피어선마을의 본가(old homestead) 근처에 정착하였다. 독립전쟁이 일어난
직후인 1776년 벤저민 피어선 2세는 뉴저지의 제1차 입법의회에 모리스
카운티(郡, Morris County)를 대표하는 대의원 중의 한 사람으로 참여하였
고 뉴저지 모리스 카운티 동부연대의 대위이며 중대장으로서 중대를 이끌
고 식민지의 상점과 감옥을 지키는 임무를 다하였다.76)
데이비드 피어선(David Pierson, 1763-1824)은 벤저민 피어선 2세(Benjamin
Pierson, Jr., 1736-1794)의 장남으로 1763년 모리스타운에서 태어났으며 독
립전쟁 시 모리스 중대의 병사로 복무하였다.77) 스테판 하이니스 피어선
74) Richard E. Pierson and Jennifer Pierson, Pierson Millennium, 91, 94.
75) Lizzie B. Pierson, Pierson Genealogical Records, 17; Richard E. Pierson and Jennifer
Pierson, Pierson Millennium, 94.
76) Lizzie B. Pierson, Pierson Genealogical Records, 18; Richard E. Pierson and Jennifer
Pierson, Pierson Millennium, 96-7. 그는 뉴저지 모리스타운의 제일장로교회 마당에 묻혔다.
조상열, 피어선 가문의 역사적 배경 연구 139
(Stephen Haines Pierson, 1797-1863)은 데이비드 피어선의 사남으로 1797
년에 태어나78) 반노예주의자 아더 테판(Arthur Tappan)이 운영하던 회사의
회계사이자 비서로 근무하였다. 아더 테판은 채탬 스트리트-극장가(Chatham
Street Chapel-Theatre Street)의 극장을 빌리고 찰스 피니(Charles G. Finney)
를 초빙하여 장로교회를 시작하였는데, 스테판 피어선은 이 극장교회의 장
로였다. 이 교회는 반노예제도운동의 중심지가 되었으며 1832년 10월 이
극장교회에서 주일학교가 전국에서 처음 시작되기도 하였다.
Ⅴ. 아더 피어선과 그 후손
아더 테판 피어선(Arthur Tappan Pierson, 1837-1911)은 아브라함 피어선
목사(1611-1678)의 차남인 토마스 피어선 2세(Thomas Pierson, Jr.)의 7대손
이자 스테판 피어선의 십남매 중 사남이자 아홉째로79) 맨해튼 채탬 스트
리트-극장가에서 태어났다.80) 그의 이름은 과거 그의 선조들이 성서적 인
물이나 당시의 왕 혹은 아버지의 이름을 따서 지었던 전통과 달리, 그의
부친이 존경하던 아더 테판(Arthur Tappan)의 이름을 그대로 따서 지어졌
다.81) 스테판 피어선 부부는 그들의 자녀들을 성경구절 암송과 교리문답서
로 교육하며 아침과 저녁으로 가정예배를 드렸는데, 이는 청교도적 교육
전통에 따른 것이다.82) 아더 피어선의 아들인 델러반 피어선은 이러한 가
77) 그도 모리스타운의 제일장로교회에 부친과 함께 묻혀있다.
78) Richard E. Pierson and Jennifer Pierson, Pierson Millennium, 97.
79) Ibid., 97-8.
80) Delavan L. Pierson, Arthur T. Pierson, 22.
81) 데이나 로버트, 유윤종 역, 내가 올 때까지 완수하라: 피어선의 생애와 세계 복음화
(도서출판 B&A, 2004), 23.
82) 청교도의 자녀교육에 관해서는, cf. 정정숙, “청교도들의 교육사상 연구”, 117-123.
140 韓國敎會史學會誌 第33輯(2012)
문의 청교도적 교육 전통의 영향이 손자세대인 자신과 형제들에게까지 미
쳤다고 말한다.83)
이성과 지식의 중요성을 확신하며 교육을 중시하던 청교도 전통에 서있
던 스테판 피어선은 어려운 경제적 환경 속에서도 아더 피어선을 뉴욕주
클린턴의 해밀턴 대학으로 진학시킨다. 그 후 아더 피어선은 1860년 뉴욕
유니온신학교를 졸업하였는데, 신학생 시절인 1858년에 뉴욕시 50번가에
있는 한 작은 교회에서 담임목사의 지도를 받으며 21세의 나이에 처음 설
교를 시작하기도 하였다.84) 신학교 졸업직 후인 1860년 7월 12일 그는 사
라 베네딕트(Sarah Frances Benedict)와 결혼하였는데, 사라는 뉴욕의 기독
사업가이자 뉴욕인디펜던트(The New York Independent)의 창립자 겸 발행
인인 세트 윌리스톤 베네딕트(Seth Williston Benedict)의 딸이었다.85)
아더 피어선은 뉴욕주의 빙햄턴회중교회에서 정식 담임목회를 경험한
후, 워터포드제일장로교회(1863년 10월 6일-1869년초)에서 목회하였는데
이 교회의 주일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성경을 가르쳤다.86) 이후 디트로이
트 시의 포트 스트리드장로교회(1869-1882) 담임목사를 역임하면서 1871년
노스웨스트 시카고신학교(Chicago Theological Seminary of the Northwest)
의87) 이사로 선임되었다. 또 1875년에 노회와 총회의 중간개념인 미시간
주 대회(Synod of Michigan)의 대회장(Moderator)을 역임하며 1877년에는
미시간주 대회의 해외선교 상임위원회(Committee of Foreign Missions)의
위원장을 역임하였다. 또한 미시간여자신학교(Michigan Female Seminary)
의 이사(1873-1882)로 임명되었는데, 디트로이트 노회에서 재정적인 이유
로 신학교를 폐교하려고 할 때, 아더 피어선은 신학교는 빚 이상의 가치가
83) Delavan L. Pierson, Arthur T. Pierson, 25.
84) Arthur T. Pierson, Fold and Flock, Vol. 1, no. 5 and 6 (1885 Oct. and Nov.), 35.
85) Delavan L. Pierson, The Influence of a Loving Life, 2.
86) Arthur T. Pierson, Fold and Flock, 35.
87) 이 학교는 1886년에 기부자의 이름을 따서 McCormick Theological Seminary로 개명하였다.
조상열, 피어선 가문의 역사적 배경 연구 141
있는 곳임을 강조하였고 이에 디트로이트 노회는 그를 빚 청산을 위한 예
산확보를 책임지는 자리에 앉혔다. 아더 피어선은 1880년에 포트 스트리트
교회의 승낙을 받아 수개월 동안 최선을 다해 모금운동에 전념하였다. 그
결과 학교가 짊어지고 있던 18,000불 이상의 빚을 모두 청산하게 되었다.
이를 위해 1달러부터 200달러까지 많은 기부금을 모으게 되었는데 피어선
이 목회하던 디트로이트 시에서만 약 10,000불이 모금되었다. 피어선의 호
소와 노력으로 이루어진 일이었다. 이와 같은 그의 노력을 통해 그가 교육
을 중요시한 피어선 가문의 전통을 잘 인식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후 인디애나폴리스시 제2장로교회에서 목회를 하다가(1882-1883) 존
와나메이커의 초청으로 베다니교회를 담임하게 되었다(1883-1889). 아더
피어선은 나이아가라 사경회(Niagara Conference)와 노스필드 사경회에서
주강사로 활동하며 많은 청년들에게 선교적 도전을 주었다. 그후 그는 런
던 메트로폴리탄 테버너클에서 설교목사를(1890-1892) 역임하기도 하였다.
또 당시 케직 사경회(Keswick Convention)의 8인의 주요강사 중의 한 사람
으로서 사경회를 이끌며 연설하였다. 아더 피어선은 A. J. 고든(Adoniram
Judson Gordon)이 설립한 보스턴선교사양성학교(The Boston Missionary
Training School)에서 강의를 하였는데 이 학교는 신학교 과정을 거치지 않
은 평신도들을 훈련하여 선교지로 파송하는 목적을 가졌다. 고든에 이어
보스턴선교사양성학교의 2대 교장이 된 아더 피어선은 교명을 설립자의
이름을 따 고든선교사양성학교로 개명하였고 자신이 편집장으로 있던 세
계선교평론(Missionary Review of the World)에 학생모집광고를 실고 회의
를 주재하며 직접 학생들을 가르치는 등 학교의 어려운 위기를 극복해 나
아갔다.88) 그의 말년에는 조선을 방문하여 성경학원 설립을 도울 것을 약
속하였고, 그 결과 그의 사후인 1912년 서울에 피어선기념성경학원이 설립
88) 데이나 로버트, 내가 올 때까지 완수하라, 350-1. 이 학교는 후에 고든 대학(Gordon
College)과 고든-콘웰신학교(Gordon-Conwell Theological Seminary)로 각각 발전하였다.
142 韓國敎會史學會誌 第33輯(2012)
되기도 하였다.89) 이처럼 피어선은 교육과 선교의 상호작용적인 측면을 강
조하였는데 이는 청교도적 전통에 속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피어선
은 다음과 같은 기록을 남겼다:
고든 박사와 나는 “증인으로서 온 세계에 복음을 전파하는 일”은 교회,
학교, 신앙 출판, 의료 선교를 세우는 것이라 확실히 믿는다. 사실 모든 기
독교 기관들은 기독교의 결실이며, 증인의 모임을 구성한다. 선교는 복음
화에서 시작하지만, 기독교 교육, 인쇄, 교회의 조직, 본토민 목회자 훈련
등 모든 것과 관련되어 있다.90)
아더 피어선의 청교도적 교육과 선교정신은 그의 자녀들에게도 영향을
미쳤다. 아더 피어선의 자녀들 중 그의 장녀인 헬렌 피어선(Helen Pierson,
1861-1937)은 프레더릭 커티스(Frederick S. Curtis)와 결혼하여 일본과 조
선에서 40년간 함께 선교사로 헌신하였고 이들은 델라웨어 주의 윌밍턴
(Wilmington, Delaware)에 거주하였던 아들 고든 커티스(Gordon A. Curtis)
와 딸 그레이스 피어선 커티스(Grace Pierson Curtis)를 남겼다.91) 차녀인
로라(Laura, 1862-1941)도 후에 북장로교 내국선교부(Home Missions)에서
파송받아 아리조나주 툭산(Tucson)의 학교(the Training School)에서 피마
(Pima)와 파파고(Papago)족 인디언들을 가르치는 교사로 12년 동안 사역하
였으며 뉴 멕시코의 라스 베가스(Las Vegas)에서 멕시코인들을 가르치는 사
역을 감당하기도 하였다. 그는 이후 메사추세추주 로웰(Lowell)에서 YWCA
사역을 하다가 북장로교 내국선교부에서 파송 받아 웨스트 버지니아주의
클리어 크릭(Clear Creek)에 있는 산악거주민들을 위하여 사역하는 등 거
칠고 힘든 개척사역을 감당하였다.92) 이러한 점에서 로라는 여러 사역의
89) 아더 피어선의 방한과 성경학교 설립에 관해서는 다음을 참고하라: 조상열, 피어선기념
성경학원 (개정판, 대한기독교서회, 2011), 50-59. 또한 이용민, “미국 북장로회 서울 선
교지부와 피어선기념성경학원”, 피어선신학논단 1(2012), 47-68을 참고하라.
90) 데이나 로버트, 내가 올 때까지 완수하라, 298에서 재인용.
91) Delavan L. Pierson, The Influence of a Loving Life, 28, n. 17, 37.
조상열, 피어선 가문의 역사적 배경 연구 143
개척자인 부친 아더 피어선을 가장 많이 닮은 자식으로 보인다. 이후 그는
로스앤젤레스성경학원에서93) 가르치다가, 1914년에 웨스트 버지니아주의
벡클리(Beckley)로 옮겨 벡클리사설학교(Beckley Private School)를 세워 그
의 인생의 후반기를 어린이 신앙교육에 힘을 쓰며 보냈다.94) 그는 선교와
교육 사역에 자기 인생의 대부분을 보냈으며 북장로교 선교사역 직위를 사임
한 이후에도 계속해서 교육사역에 헌신하였다. 그가 독신으로 살다 소천한
후, 생전의 그가 거의 25년 동안 가르친(1914-1939), 벡클리장로교회(Beckley
Presbyterian Church)의 여성을 위한 ‘이삭줍는자들 성경공부반’(Gleaners Bible
Class)의 제자들이 그를 기념하는 기념실을 교회에 꾸미기도 하였는데,95) 그
를 기억하는 많은 사람들이 그의 뛰어난 신앙적인 돌봄과 가르침을 기억하
며 추모하였다.
삼녀인 루이스(Louise)는 인도에서 선교사로 사역하다 병으로 사망하였
고 장남인 델러반(Delavan, 1867-1952)은 부친의 편집장직을 승계하여 세계
선교평론 사업을 이어가며 학생자원운동(the Student Volunteer Movement)
의 연설문집(Northfield Echoes)의 편집장으로서 학생선교운동을 알렸으며
평생 선교운동을 지원하였으나 자식을 남기지는 않았다. 또한 부친이 소천
한 후 그를 추모하는 사업을 펼칠 피어선기념위원회를 주도하여 조직하였고
그 결과 서울에 피어선기념성경학원을 설립하였다.96) 사녀인 안나(Anna)는
부친과 조선을 방문하여 조선선교에 관한 글을 세계선교평론에 남겼고 파
푸아뉴기니에서 1년간 단기선교를 하였으며 후에 뉴욕 출신의 월터 맥도
걸(Walter McDougall)과 결혼하였다.97) 맥도걸은 미국 피어선기념위원회
92) Ibid., 3-8, 19.
93) 이 학교는 현재 바이올라대학교(Biola University)로 발전하였다.
94) Ibid., 14.
95) Ibid., 18-9.
96) 성경학원 설립에 관한 델러반 피어선의 역할과 그의 설립이념에 대해서는 다음을 참고
하라: 조상열, 피어선기념성경학원, 63-89.
144 韓國敎會史學會誌 第33輯(2012)
의 이사 겸 회계이기도 하였다. 오녀인 에딧(Edith)은 안나와 함께 뉴욕과
필라델피아에서 여성정착사역에 종사하다가 LA출신의 에반스(T.S. Evans)
와 결혼하였다.98) 막내이자 차남인 페런드(Farrand, 1876-1928)는 의사로서
코스타 리카에서 선교사로 수년간 헌신하였으며99) 아더 페런드 피어선
(Arthur Farrand Pierson, 1905-?)이란 아들을 남겼으며100) 그는 낸시(Nancy,
1933-?)와 보니(Bonnie, 1937-?)라는 두 딸을 남겼다.101) 이로서 아더 피어
선의 직계 후손은 절손되었으나 아브라함 피어선 대로부터 이어진 그의 청
교도적 교육정신은 그의 후손들의 삶과 그가 서울에 남긴 피어선기념성경
학원을 통해서 계속해서 이어져갔다고 할 수 있다.
Ⅵ. 나가는 말
리차드 피어선과 제니퍼 피어선은 피어선 가문이 대도시로 이주하여 확
장, 발전하게 된 계기를 피어선 가문 시조의 자녀에 대한 교육적 동기에서
찾는다. 델러반 피어선은 아브라함 피어선과 아더 피어선 사이에 200년의
시간적 간극이 있지만, 개척자라는 점에서 그의 부친이 선조인 아브라함
피어선을 가장 닮았다고 평한다. 바다 항해를 통해 정복과 새로운 모험을
반복하였던 바이킹의 후예답게 영국에서 대서양을 건너 신대륙으로 건너
간 그들의 후예처럼, 미국에 정착한 그들의 후예 중에는 더 넓은 신세계로
선교사의 신분으로 태평양과 인도양을 건넜다. 몇 세대가 지나도 그들은
97) Ibid., 2, n.*.
98) Ibid., 31.
99) Ibid., 2, n.*.
100) Delavan L. Pierson, Arthur T. Pierson, 110 (picture).
101) https://familysearch.org/pal:/MM9.1.1/KQQM-S29.
조상열, 피어선 가문의 역사적 배경 연구 145
가문의 청교도적 가치를 우선시하였고, 그 가치를 지키기 위하여 교육을
최적의 수단으로 인식하였는데, 이는 결과적으로 그들의 선교사역에서도
중요한 수단으로 강조되었으며, 그 결과 그들의 본국과 해외 선교현장에서
그들의 사역에 큰 성과를 가져오게 되었다. 몇 세대 동안에 걸친 피어선
가문의 공통점은 교육에 대한 열정이었으며 그러한 성향은 청교도적 정신
과 결부되어 나타났다고 볼 수 있다.
주제어
청교도, 청교도 교육, 청교도 선교, 아브라함 피어선, 아더 피어선, 피어
선기념성경학원
Puritan, Puritan education, Puritan mission, Abraham Pierson, Arthur
Pierson
146 韓國敎會史學會誌 第33輯(2012)
참고문헌
데이나 로버트. 유윤종 역. 내가 올 때까지 완수하라: 피어선의 생애와 세계
복음화. 도서출판 B&A, 2004.
배한극. “17세기 뉴잉글랜드 청교도의 학문과 교육.” 「서양사학연구」 12(2005),
55-60.
이용민. “미국 북장로회 서울 선교지부와 피어선기념성경학원.” 「피어선신학
논단」 1(2012), 47-68.
정정숙. “청교도들의 교육사상 연구.” 「신학지남」 73/4(2006), 103-123.
조상열. 피어선기념성경학원. 개정판. 대한기독교서회, 2011.
Baxter, Angus. “The Pearson Family.” Heritage Quest Magazine. American
Genealogical Lending Library. Issue #58 (July/Aug 1995).
Fagley, Frederick L. “The Narrative of the Cambridge Synod.” In The
Cambridge Platform of 1648: Tercentenary Commemoration at
Cambridge, Massachusetts October 27, 1948, ed. Henry W. Foote.
Boston: Beacon Press, 1949.
Foote, Henry W. “The Significance and Influence of the Cambridge Platform
of 1648.” In The Cambridge Platform of 1648: Tercentenary
Commemoration at Cambridge, Massachusetts October 27, 1948, ed.
Henry W. Foote. Boston: Beacon Press, 1949.
Howell, George Rogers. The Early History of Southampton, L. I., New York,
with Genealogies. 2nd ed. Albany, NY: Weed, Parsons and Company,
1887, 18661, 15-6, 21-2.
London Marriage Licenses & Allegations, 1521-1869, Col. 1035, microfiche
in State Library at Sydney, Australia.
Moore, Susan H. Pilgrims: New World Settlers & the Call of Home. New Haven,
etc.: Yale University Press, 2007.
조상열, 피어선 가문의 역사적 배경 연구 147
Pelletreau, William S. and John Howard Brown. American Families of Historic
Lineage. New York: National Americana Society, 1913(?).
Pierson, Arthur T. Fold and Flock, Vol. 1, no. 5 and 6 (1885 Oct. and Nov.),
35.
. The New Acts of the Apostles: the Marvels of Modern
Missions. New York: Baker & Taylor, 1894.
Pierson, Arthur Newton. Genealogy: the Pierson Family, the Marsh Family,
the Clark Family, the Baker Family. 1945.
Pierson, Delavan L. Arthur T. Pierson. New York, etc.: Fleming H. Revell,
1912.
. The Influence of a Loving Life: Glimpses of Laura W.
Pierson. 1942(?).
Pierson, Lizzie B. Pierson Genealogical Records. Albany, NY: Joel Munsell,
1878.
Pierson, Richard E. and Jennifer Pierson, Pierson Millennium. Westminster, MD:
Heritage Books, 2007.
인터넷
https://familysearch.org/pal:/MM9.1.1/KQQM-S29.
148 韓國敎會史學會誌 第33輯(2012)
Abstract
A Study of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Piersons and Their “Puritanic”
Contributions to the Education
Cho, Sang Youl
(Pyeongtaek University)
This paper is to survey what are the historical background that the
Pierson family since their Viking ancestors to the descendents of Arthur
Tappan Pierson and their educational contributions that they have made,
through analysing a family line of A. T. Pierson’s direct ancestors. The
Pierson family deserves scholars’ attention for their important influence in
an early history of the establishment of two famous American universities
as well as a bible school, which became a university later, in Korea. Thus
it will explore how their ancestors’ Puritan value has been succeeded to
their descendants and realized by them.
접 수 일 (2012년 10월 29일)
수 정 일 (2012년 11월 29일)
게재확정일 (2012년 12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