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의
중앙 통치 체제
당의
3성 6부제를 모방했지만 고려의 실정에 맞게 ?2성 6부로 운영을 하고
중추원, 삼사, 어사대, 도병마사, 식목도감을
두었습니다. 2성은 중서문하성과 상서성으로 중서성과 문하성을 합쳐 중서문하성으로 하고 상서성 밑에는 6부를 두었습니다.
중서문하성은 성종 원년(982)에 처음 설치하여 재신이라는 고급관리와 낭사라는 하급관리가 있었고, 중추원에는 추밀이라는 고급관리와 승선이라는 하급관리가 있었습니다.
중서문하성의 재신과 중추원의 추밀이 만나 재추기관이라는 귀족합의제를 만들었는데 국가의 중요정책을
논의하는 도병마사와 식목도감을 운영했습니다. 도병마사는 국방 회의 기구로 국방에 대한 논의를
식목도감은 법제 및 격식 제정에 관한 문제를 논의하는 기구입니다. 도병마사와 식목도감은 고려만의 독자적인 형태입니다.
또 중서문하성의 낭사와 어사대가 결합하여 대낭제도(=대간제도)를 만들었고 왕의 잘못을 논하는 간쟁권, 관리의 임명과 법률의 개정과 폐지를 동의하는 서경권, 잘못된 왕명을 되돌려 보내는 봉박권이 있었습니다.
중서문하성이
현재의 국무총리실과 같은 최고 회의기구였다면 중추원은 청와대 비서실과
같은 기구로 왕명의 출납이나 군사기밀을 논의했던 기구입니다. 삼사는 회계
출납을 담당했던 곳이고(조선시대 삼사는 왕권 견제), 어사대는 관리들이 비행을 저지르는지 감찰하고 풍기단속을 했던 곳입니다.
?
지방
행정 조직
5도(일반행정구역)와
양계(군사행정구역)로 나누어 지방을
5개의
도로 나누어 안찰사를 파견하고 양계는 병권을 갖고 있는 병마사를 파견했습니다. 북계와 동계의 양계는 중국 세력과 맞닿아있는 국경지대에 있기 때문에 군사적으로 중요한 지대였습니다. 특수행정기관으로
향(농업)·소(수공업)·부곡(농업)이 있었는데 일반 양민보다 지위가 낮고 세금을 더 많이 부과받았습니다. 부곡은 조선시대가면
소멸합니다.
군사제도
중앙군은 국왕을 호위하는 2군과 수도와 국경의 침입을 방어하는 6위가 있었습니다. 지방군은 5도에 파견되었던 주현군과 양계에
파견되었던 주진군이 있었습니다. 중앙군은
직업 군인으로 군인전을 지급받았고, 자손에게 세습할 수 있었습니다.
2군 6위는 각각 정·부 지휘관으로 상장군과 대장군이
있었으며, 합좌기구로 중방을 두었습니다.
관리등용제도
고려시대는
무과가 없어 문무양반관리제도가 확립되지는 않았지만 문과(제술과, 명경과), 승과(스님이 되기 위한 것), 잡과(기술관. 국자감에서 주로 교육) 시험이 있었습니다. (*조선시대에는 무과가 있고 승과가
없었다)
문과는 제술과(한문학, 정책시험)와 명경과(유교 경전)로 나뉩니다. ?양인 이상이면 응시할 수
있었으나 주로 귀족과 향리의 자제들이 응시를 했습니다. 승과는 승려들이 응시하는 시험으로 고려시대가 불교를 중요시 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잡과는 기술관을 뽑기 위한 시험이였습니다.
고려시대는
과거를 통해서 등용되는 경우도 있었지만 음서의 비중이 더
컸습니다. 음서는 5품 이상의 관료의 자제에게 관직에 진출할 수 있는 기회를 주는 것으로 당시
고려사회가 귀족적 사회라는 것을 보여주는 것입니다. 조선시대에는
음서가 존재하기는 했지만 과거의 비중이 더 컸고 고급관리로 갈 수 있었기 때문에 조선시대는 관료제 사회, 능력사회라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