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전통혼례에서는 여자집에서 혼례식을 올리고 여자집에서 한동안 머물다 남자의 집으로 갔기 때문에 신랑이 신부의 가족에게 먼저 인사를 드렸다. 그러나 《주자가례》에서는 신랑이 신부부모를 먼저 뵙는 것을 예가 아니라고 하여 이를 금하였다. 그런 《주자가례》의 영향으로 우리나라에서는 신랑이 신부 가족을 뵙는 예를 비공식적으로 진행하고 신부의 시댁 가족에 대한 예만을 강조하였다. 그러나 지금은 혼례식을 여자집도 아니고 남자집도 아닌 제 3의 공간에서 하고 있고, 가족들도 옛날처럼 한 동네에 모여 살지 않기 때문에 혼례식에 참석한 김에 폐백례를 하는 것은 인사를 받아야 할 가족이나 신랑 신부 모두에게 편리하여 시속을 따른 예라고 할 수 있다.
○ 폐백음식으로는 어머니에게는 육포, 아버지에게는 대추를 준비하는데 조부모가
계시면 조부모 것을 따로 준비한다.
혼인 후 양가 부모와 어른들을 뵐 때는 음식과 예단을 준비하는데 예단은 미리 보냈기 때문에 폐백례에서는 음식만 준비한다. 이 폐백음식은 직계존속에게만 드린다. 나머지 어른들께는 술과 안주를 위한 구절판을 준비한다. 신랑도 이 자리에서 처가댁 어른들게 폐백례를 드릴려면 신부와 마찬가지로 폐백음식을 준비해야 한다.
혼인식이 끝나고 신부는 시댁 어른들게, 신랑은 신부 어른들게 인사를 드리는 것은 예나 지금이나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한동안은 신부만 시댁 어른들게 폐백례를 드리고 신랑은 신부댁 어른들게 폐백례를 올리지 않았는데 그것은 잘못된 풍습이었다. 우리의 전통혼례를 보면 여자집에서 혼례식을 하고 시댁으로 간다. 시댁으로 간 신부는 당일날, 혹은 하루밤을 자고 나서 시댁 어른들게 폐백례를 올린다. 신랑의 경우는 혼례식이 끝나고 바로 신부댁 어른들게 인사를 드리거나 아니면 혼례식이 끝나고 바로 본가로 돌아간 경우에는 신부 폐백례가 끝나고 나서 처가댁을 방문하여 인사를 올렸다. 그런데 신랑집에서의 풍습만을 중시하여 신부의 폐백례만을 시행하였으나 최근에는 다시 양가 폐백례를 시행하는 집안이 늘고 있다. 그것은 폐백례를 혼례식장에서 바로 하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고, 또 양가 어른과 신랑 신부 모두에게도 편리하여 시속을 따른 예라 할 수 있다.

○ 폐백례의 진행 순서
ㆍ시부모가 폐백상이 놓여진 앞으로 나아가
시아버지는 동쪽에, 시어머니는 서쪽에
남향하여 앉는다.
ㆍ신부가 수모의 도움으로 시아버지에게
재배, 시어머니에게 재배 한다.
ㆍ먼저 시아버지앞에 대추를 놓고, 다음에
시어머니앞에 육포를 놓고 구절판을 가운데
놓는다. 그리고 나서 술을 각각 한잔씩
올려 드린다.
|
|
ㆍ신부는 수모의 도움을 받아 시아버지에게 재배, 시어머니에게 재배한다.
ㆍ시부모는 술을 마시고 안주를 먹은 다음 물러난다. 시부모가 물러날 때 시부모가 받은
육포와 대추도 치운다.
이 육포와 대추는 시부모에게 드리는 폐백이므로 시부모가 물러날 때 반드시 치운다.
이 폐백(육포와 대추)은 직계의 존속에게만 있고 다른 가족에게는 없다. 간혹 이 신부가
준비해 온 폐백을 온 가족에게 돌리는 경우도 있도 때에 따라서는 신랑이 신부 부모님께
폐백례를 올릴 때 그래도 쓰기도 하는데 그것은 예가 아니다.
ㆍ다음은 집안에서 정한 순서대로 인사를 드리는데 윗항렬의 어른은 폐백상앞에 앉고 신부가
술을 올려 드리지만 같은 항렬은 폐백상을 치우고 맞절을 한다. 아랫항렬에게는 신부가
절을 받는다.
폐백례는 조부모보다 부모가 먼저 받는다. 하지만 같은 공간에 있을 때는 조부모가 먼저
받는다. 옛날의 페백례는 지금처럼 한공간에 모든 가족을 모아 놓고 그중 한사람씩 나와서
폐백례를 받도록 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각각의 처소로 찾아다니면서 올렸다. 이 때는
부모의 처소를 가장 먼저 찾아뵙는 것이 예이다.
ㆍ시댁의 폐백이 끝나면 신부의 부모가 폐백상 앞에 나아가 폐백례를 받는데 앞의 절차와
간다.
○ 폐백례가 끝나고 나면 신혼여행을 간다. 신혼여행에서 다녀오면 남자집으로 가서
인사를 드리고 며칠 후 사당 폐백례를 올린다.
폐백례가 끝나면 일단 형식적인 혼인의 절차가 다 끝난 것이다. 따라서 신혼여행을 다녀오면 먼저 집으로 가는데 이 때는 이미 혼인의 절차가 끝난 상태이므로 신랑 신부는 본가인 남자집으로 간다.
폐백례를 마치고 신혼여행을 가는 것이 지금은 당연시 되어 있다. 그러다 보니까 신혼여행이 혼례의 절차중 하나라고 생각하는 경우가 있는데 형식적인 혼례절차는 양가 폐백례로서 끝나는 것이다. 따라서 신혼여행은 혼례절차와 상관없이 일반적인 예를 따르면 된다. 즉 여행에서 돌아오면 먼저 본가인 남자집으로 간다. 양성평등이라고 하여 굳이 남자집에 먼저 갈 필요가 있겠느냐 하겠지만 아직은 혼인을 하면 남자집을 본가로 보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를 따른다.
삼일이 지나면 신부는 시댁의 돌아가신 조상을 뵙는 사당폐백례를 올린다. 그러나 지금은 사당을 두고 있는 곳이 없기 때문에 별도의 제사상을 차리거나 간단한 제수를 준비하여 산소에 가서 고하는 것은 사당폐백례를 대신한다.
사당이 있을 때는 혼인의 모든 절차를 사당에 고했다. 그러나 지금은 사당을 두지 않기 때문에 집안에서 좋은 날을 받아 추석이나 설날의 차례처럼 상을 차리고 새 식구가 들어왔음을 고하거나 아니면 간단한 제수를 준비하여 산소에 가서 고하도록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