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드시 알아야 할 조문 예절 |
|
● 가까운 친지가 상을 당하였을 경우 |
가까운 친척 친지 가운데서 상을 당한 연락이 오면, 가급적 빨리 상가에 가서 상제를 도와 장의준비를 함께 |
하는 것이 좋다. 상가에 가면 우선 상제들을 위로하고 장의 절차, 예산 관계 등을 상의하고 할 일을 서로 |
분담하여 책임감있게 수행해 준다. 내용도 잘 모르면서 이일 저일에 참견하는 태도는 바람직하지 못하다. |
또한 아무리 가까운 사이라도 복장을 바르게 하고 영위에 분향 재배하며, 상주에게 정중한 태도로 예절을 |
잊지 않도록 해야 한다. |
|
● 이웃이 상을 당하였을 경우 |
이웃에서 상을 당하였을 때에는 즉시 가서 우선 급한 일을 도와 주는 것이 도리이다. |
|
● 조문객의 옷차림(남성) |
검정색 양복이 원칙이다. 갑자기 통지를 받았거나 미처 검정색 양복이 준비되지 못한 경우 감색이나 회색도 |
실례가 되지 않는다. 와이셔츠는 반드시 흰색으로 넥타이, 양말, 구두는 검정색으로 한다.. |
|
● 조문객의 옷차림(여성) |
검정색 상의에 검정색 스커트를 입는 것이 가장 무난하다. 주름치마는 폭이 넓어서 앉아도 신경이 쓰이지 |
않아 편리하다. 검정색 구두에 무늬가 없는 검정색 스타킹이 좋다. 그밖에 장갑이나 핸드백도 검정색으로 |
통일시키고 또한 되도록 색채화장은 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
● 조문가는 시간 |
초상의 연락을 듣고 즉시 달려가서 도와 주어야 하는 처지가 아닌 사람은 상가에서 아직 조문객을 맞을 준비가 |
안되어 있을 것이기 때문에 성복을 끝내기를 기다려 문상하는 것이 예의이다. 스스럼 없는 사이라면 염습이나 |
입관을 마친 후에도 괜찮다. |
|
● 조문가서 삼가할 일 |
장의 진행에 불편을 주고 유족에게 정신적 피로감을 주기 때문에 유족에게 계속 말을 시키지 말아야 한다. |
반가운 친구나 친지를 만나더라도 큰소리로 이름을 부르지 말고 낮은 목소리로 조심스럽게 말하고 조문이 |
끝난 뒤 밖에서 따로 이야기 하도록 한다. 고인의 사망 원인, 경위 등을 유족에게 상세하게 묻지 않는다. |
|
|
조문절차 |
|
(1) 외투는 대문 밖에서 벗어 든다. |
|
(2) 상제에게 목례 |
|
(3) 영정 앞에 무릎을 꿇고 분향 |
|
(4) 향나무를 깎은 나무 향이면 왼손을 오른 손목에 바치고 오른손 엄지와 검지로 향을 집어 향로불 위에 놓는다. |
|
(5) 만수향과 같이 만들어진 향(선향 : 線香)이면 하나나 둘을 집어 성냥불이나 촛불에 붙인 다음 손가락으로 |
가만히 잡아서 끄던가 왼손을 가볍게 흔들어 끈 다음 두 손으로 향로에 꽂는다(절대로 입으로 끄지 말 것). |
선향은 하나로 충분하며, 여러 개일 경우 모아서 불을 끄더라도 꽂을 때는 하나씩 꽂아야 한다. |
|
(6) 영정에 재배하고 한 걸음 물러서서 상제에게 절을 하며, 인사말을 한다. |
|
(7) 인사말 |
ⓐ 상제의 부모인 경우 : "상사에 얼마나 애통하십니까", "친환(親患)으로 그토록 초민(焦悶)하시더니 |
이렇게 상을 당하시어 얼마나 망극하십니까", "환중 이시라는 소식을 듣고도 찾아 뵈옵지 못하여 |
죄송하기 짝이 없습니다", "그토록 효성을 다하셨는데도 춘추가 높으셔서 인지 회춘을 못하시고 일을 |
당하셔서 더욱 애통하시겠습니다." "망극한 일을 당하셔서 어떻게 말씀드려야 좋을지 모르겠습니다" |
*망극(罔極)이란 말은 부모상(父母喪)에만 쓰임 |
ⓑ 상제의 아내인 경우 : "위로할 말씀이 없습니다" "옛말에 고분지통(叩盆之痛)이라 했는데 얼마나 섭섭 |
하십니까" |
*고분지통(叩盆之痛) : 아내가 죽었을 때 물동이를 두드리며 슬퍼했다는 장자(莊子)의 고사에서 나온 말. |
고분지통(鼓盆之痛)이라고도 함. - 叩 : 두드릴 고 |
ⓒ 상제의 남편인 경우 : "상사에 어떻게 말씀 여쭐지 모르겠습니다", "천붕지통(天崩之痛)에 슬픔이 |
오죽하십니까." "하늘이 무너진다는 말씀이 있는데, 얼마나 애통하십니까." |
*천붕지통(天崩之痛) : 하늘이 무너지는 듯한 아픔이라는 뜻으로 "남편이 죽은 슬픔"을 이르는 말 |
ⓓ 상제의 형제인 경우 : "백씨(伯氏) 상을 당하셔서 얼 마나 비감하십니까" "할반지통(割半之痛)이 오죽 |
하시겠습니까" |
*할반지통(割半之痛) : 몸의 절반을 베어내는 아픔이란 뜻으로 그 "형제자매가 죽은 슬픔"을 이르는 말 |
*백씨(伯氏) : 남의 맏형의 존댓말 |
*중씨(仲氏) : 남의 둘째 형의 높임말 |
*계씨(季氏) : 남의 사내 아우에 대한 높임말 |
ⓔ 자녀가 죽었을 때 그 부모에게 : "얼마나 상심하십니까" "참척(慘慽)을 보셔서 얼마나 마음이 아프십니까" |
"참경(慘景)을 당하시어 얼마나 비통하십니까" |
*참척(慘慽) : 자손이 부모나 조부모에 앞서 죽은 일 |
*참경(慘景) : 끔찍하고 참혹한 광경 |
|
(8) 조장(弔狀)·조전(弔電) |
불가피한 사정으로 문상을 갈 수 없을 때에는 편지(弔狀)이나 조전(弔電)을 보낸다. 부고(訃告)를 냈는데도 |
문상을 오지 않았거나 조장 또는 조전조차 보내오지 않은 사람과는 평생동안 말도 않고 대면도 하지 않는 것이 |
예전의 풍습이다. |
|
조장예시 |
|
|
李
|
|
의 |
주 |
조 |
부 |
마 |
부 |
삼 |
|
一 |
를 |
시 |
문 |
득 |
나 |
친 |
가 |
|
九 |
|
옵 |
하 |
이 |
|
께 |
조 |
宋 |
九 |
표 |
고 |
지 |
한 |
애 |
서 |
의 |
九 |
九 |
합 |
|
|
|
통 |
|
를 |
鎬 |
年 |
니 |
서 |
못 |
사 |
하 |
별 |
|
再 |
|
다 |
면 |
함 |
정 |
십 |
세 |
표 |
拜 |
五 |
. |
으 |
을 |
으 |
니 |
하 |
합 |
|
月 |
|
로 |
|
로 |
까 |
셨 |
니 |
|
十 |
|
|
해 |
|
. |
다 |
다 |
|
一 |
|
삼 |
량 |
달 |
|
니 |
. |
|
日 |
|
가 |
하 |
려 |
|
|
|
|
|
|
조 |
여 |
가 |
|
얼 |
|
|
|
|
|
|
|
|
|
| |
吉 |
童 |
貴 |
下 |
|
|
|
|
|
|
|
|
(9) 조위금(弔慰金) 전달 |
ⓐ 조위금 봉투에는 초상의 경우 '부의(賻儀)'라 쓰는 것이 가장 일반적이며 그밖에 '근조(謹弔)', '조의 |
(弔 儀)', '전의(奠儀)', '향촉대(香燭臺)'라고 쓰기도 한다. |
ⓑ 조위금 봉투 안에는 단자(單子)를 쓴다. 단자란 부조하는 물건의 수량이나 이름을 적은 종이를 말한다. |
단자란 흰종이에 쓰는데 단자를 접을 때 세로로 세번정도 접고 아래에 1cm정도를 가로로 접어 올리며 |
가능하면 조의(弔儀) 문구나 이름 등이 접히지 않도록 한다. |
ⓒ 부조하는 물목이 돈일 경우에는 단자에 '금 ○○원'이라 쓴다. 영수증을 쓰듯이 '일금 ○○원정'으로 |
쓰지 않도록 한다. 부조 물목이 돈이 아닐 경우 '금 ○○원' 대신 '광목 ○필', '백지 ○○권'으로 기재한다. |
ⓓ 부조하는 사람의 이름 뒤에는 아무것도 쓰지 않아도 되지만 '근정(謹呈), 또는 '근상(謹上)'이라고 쓰기도 한다. |
ⓔ 단자의 마지막 부분에 '○○댁(宅) 호상소 입납(護喪所入納)'이나 '○상가(喪家) 호상소 귀중'과 같이 |
쓰기도 하나 요즘은 호상소가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쓰지 않아도 무방하다. |
ⓕ 집안에 따라서는 별도로 조의금을 접수하지 않고 함(函)을 비치하여 조의금을 받기도 한다. |
ⓖ 자기가 집안 풍습이나 신봉하는 종교가 다르더라도 조상을 갔을 경우 해당 상가의 가풍에 따라 주는 것이 좋다. |
ⓗ 망인이 연만(年晩)하여 돌아가셨을 때 일반에서는 호상(好喪)이라 하여 웃고 떠드는 일이 있으나 호상이란 |
있을 수 없다. |
|
|
문상(問喪) |
상가에서 가서 죽은 이에게 예를 올리고 유족을 위로하는 것을 보통 문상(問喪)이라고 하고 '조문(弔問)','조상(弔喪)' |
이라고 한다. 요즘은 이 말들을 구분하지 않고 쓰고 있다. |
|
- 본래의 뜻 |
조상(弔喪) : 죽은 이에게 예를 표하는 것 |
조문(弔問) : 상주에게 인사하는 것 |
* 조상·조문은 부모상 또는 승중상, 남편상에만 썼음 |
· 조위(弔慰)·위문(慰問) : 아내상, 형제상, 자녀상을 당한 사람들을 위로하는 것 |
|
많은 사람들이 문상을 가서 어떤 위로의 말을 해야 하는지를 몰라 망설 인다. 실제 문상의 말은 문상객과 상주의 |
나이, 평소의 친소관계 등 상황 에 따라 다양하다. 문상을 가고 고인에게 재배하고, 상주에게 절한 후 아무 말도 |
하지 않고 물러나오는 것이 일반적이며 또는 예의에 맞다. 상을 당한 사람을 가장 극진히 위로해야 할 자리이지만, |
그 어떤 말도 상을 당한 사람에게는 위로가 될 수 없다는 것이다. 오히려 아무 말도 안 하는 것이 더욱 더 깊은 |
조의를 표하는 것이 된다. 그러나 굳이 말을 해야 할 상황이라면, '삼가 조의를 표합니다.’ '얼마나 슬프십니까?' |
또는 '뭐라 드릴 말씀이 없습니다.'가 좋다. |
|
|
조문받는 예절 |
|
조객 맞을 준비 |
(1) 상중에는 출입객이 많으므로 방이나 거실의 작은 세간들을 치워, 되도록 넓은 공간을 사용할 수 있도록 |
조치한다. |
(2) 벽에 걸린 화려한 그림이나 장식들을 떼어낸다. |
(3) 신발장을 정리하여 조객들이 신발을 넣고 뺄 수 있도록 한다. |
(4) 겨울에는 현관에 외투걸이를 준비해 둔다. |
|
조객의 접대 |
(1) 상제는 근신하고 애도하는 자세로 영좌가 마련되어 있는 방에서 조객을 맞이한다. |
(2) 문상을 하는 사람이 말로써 문상하지 않는 것이 가장 모범이듯이, 문상을 받는 상주 역시 문상객에게 아무 |
말도 하지 않는 것이 좋다. 상주는 죄인이므로 말을 해서는 안 되는 것이다. 굳이 말을 한다면 '고맙습니다. |
또는 '드릴(올릴) 말씀이 없습니다.'하여 문상을 와 준 사람에게 고마움을 표하면 된다. |
(3) 상제는 영좌를 모신 방을 지켜야 함으로 조객을 일일이 죄송하지 않아도 된다. |
(4) 간단한 음료 및 음식물을 대접한다. |
첫댓글 일상적으로 주위에 흔히 생길수 있는 경조사 일에있어 소홀한 부분과 모르고 지나갈수있는 사항들을 잘 새겨읽고 갑니다..
존 정보 새겨 읽고 갑니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