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화촌중학교 21회 동창회 원문보기 글쓴이: 김춘근
국제우주정거장 궤도에서 본 지구의 밤 풍경 Night on Earth, Seen From Orbit Alan Taylor l February 13, 2025 l 24 Photos l In Focus NASA의 우주비행사이자 엔지니어, 사진작가인 돈 페티트는 최근 네 번째 임무를 위해 국제우주정거장으로 돌아와 카메라를 안정화하고 ISS의 궤도 회전을 보정하는 장치인 자체 궤도 사이드리얼 트래커(궤도 항성 추적기)를 가져왔다. 이 장치와 다른 최신 카메라 장비를 사용하여 페티트와 다른 우주비행사들은 최근에 놀라운 저조도 사진을 찍어 도시 불빛, 오로라, 대기광, 주변 은하계의 별을 촬영할 수 있었다. 아래에는 지난 수개월간 촬영한 국제우주정거장(ISS)의 야간 사진들이 모여있다. Don Pettit, a NASA astronaut, engineer, and photographer, recently returned to the International Space Station for his fourth mission, bringing along a homemade orbital sidereal tracker—a device to stabilize cameras, compensating for the rotation of the ISS as it orbits. Using this device, as well as other modern camera equipment, Pettit and other astronauts have been able to take amazing low-light photographs recently, imaging city lights, auroras, airglow, and the stars of our surrounding galaxy. Gathered below are night images from the ISS taken over the past few months. 🌏🚀국제우주정거장(International Space Station, ISS)은 러시아와 미국을 비롯한 세계 각국이 참여하여 1998년에 건설이 시작된, 연구시설을 갖춘 다국적 우주정거장이다. 2021년 기준으로 가장 큰 우주 정거장으로, 지상에서 육안으로 볼 수 있다. ISS는 크게 러시아 섹션(ROS)과 미국 섹션(USOS)의 두 구역으로 나뉜다. ROS는 ISS 전체에 대한 유도, 항법, 통제, 메인 추진기관, 메인 생명유지장치를 담당한다. USOS는 가장 큰 실험실, 일본의 키보, 유럽의 콜럼버스, 2500㎡ 면적의 태양전지판, 추가적인 생명유지장치(산소발생기), 2번째 화장실을 담당한다. ISS는 지구 저궤도에 속하는 400km 고도에 떠 있으며, 시속 27,743.8 km의 속도로 매일 지구를 15.7 바퀴 돌고 있다(참고: 달은 약 384,400km, 태양은 약 147,000,000km 떨어져 있고 지구 대기권은 고도 1,000km까지이다). 1. City lights streak past in one of a series of 30-second exposures taken by the NASA astronaut Don Pettit as the International Space Station passed over the United Kingdom on December 30, 2024. # Don Pettit / NASA 2024년 12월 30일 국제우주정거장이 영국 상공을 통과할 때 NASA 우주비행사 돈 페티트가 촬영한 30초 분량의 노출 중 하나에서 도시의 불빛이 연속적으로 지나가고 있다. 2. The northern lights dance above northern Canada on January 4, 2025; the lights of cities in Saskatchewan and Manitoba glow beneath them. # Butch Wilmore / NASA 2025년 1월 4일 캐나다 북부 상공에서 북극광(北極光)이 춤을 춘다. 그 아래에는 서스캐처원주와 매니토바주 도시의 불빛이 빛난다. 3. A view of Baghdad, Iraq at night, seen from orbit # Don Pettit / NASA ISS의 궤도에서 본 이라크 바그다드의 밤 풍경. 4. A 15-second exposure of the lights of cities and fishing boats, seen as the ISS passes over Southeast Asia on December 23, 2024, viewed through the window of a SpaceX Dragon 2 capsule. # Don Pettit / NASA 국제우주정거장(ISS)가 2024년 12월 23일 동남아시아 상공을 통과할 때 스페이스X 드래곤 2 캡슐 창문을 통해 도시와 어선의 불빛을 15초간 노출하는 모습이 보인다. 5. Snow is visible under moonlight across the United States, while city lights dot the landscape, on January 14, 2025. The image looks toward the southeast, with the lights of Kansas City, Missouri, prominent at bottom center. # Butch Wilmore / NASA 2025년 1월 14일 미국 전역에서 달빛 아래 눈이 보이고, 도시 불빛이 풍경을 비추고 있다. 이미지는 남동쪽을 향하고 있으며, 중앙 하단에는 미주리주 캔자스시티의 불빛이 두드러지게 보인다. 6. Part of the ISS is silhouetted against a colorful aurora, seen above the northern Pacific Ocean on January 1, 2025. # Don Pettit / NASA 국제우주정거장(ISS) 일부가 2025년 1월 1일 북태평양 위에서 보이는 다채로운 오로라에 실루엣으로 표현된다. 7. A flash of lightning illuminates storm clouds from within, seen from orbit above Indonesia on January 1, 2025. # Don Pettit / NASA 2025년 1월 1일 인도네시아 상공 궤도에서 본 번개가 내부에서 폭풍 구름을 비춘다. 8. An orbital view of Beijing at night, seen on January 3, 2025. North is to the right in this image. # Don Pettit / NASA 2025년 1월 3일 밤에 본 베이징의 궤도 뷰이다. 이 이미지에서 북쪽은 오른쪽에 있다. 9. A night view of Central Europe, the Alps, Italy, and the Mediterranean Sea, looking southeast from the ISS on January 14, 2025 # Butch Wilmore / NASA 2025년 1월 14일 국제우주정거장(ISS)에서 남동쪽을 바라보는 중부 유럽, 알프스, 이탈리아, 지중해의 야경(夜景). 10. Above South America, a 10-second exposure with a stabilized camera allowed Pettit to capture the details of the Milky Way and other nearby stars in the same frame as our planet, as it spins by below, on January 24, 2025. # Don Pettit / NASA 남아메리카 상공에서 안정화된 카메라로 10초간 노출을 통해 페티트는 2025년 1월 24일에 아래에서 회전하는 우리 행성과 동일한 프레임에 은하수와 인근 별들의 세부사항을 포착할 수 있었다. 11. Above southern Vietnam, a large cluster of illuminated dragon-fruit farms (leftright), on January 18, 2025. # Don Pettit / NASA 2025년 1월 18일 베트남 남부 상공에 조명이 비친 대규모의 용과 농장(左에서 右로)이 모여있다. 12. The aurora borealis swirls and jumps above northern Canada on January 4, 2025. # NASA 2025년 1월 4일 캐나다 북부 상공에서 오로라 보레알리스가 소용돌이치며 뛰어오른다. 13. A view along China's coastline, looking southeast, with the Shandong Peninsula visible at bottom center, seen on January 28, 2025. # Don Pettit / NASA 2025년 1월 28일 산둥반도(山東半島)가 중앙 하단에 보이는 중국 해안선을 따라 남동쪽을 바라보는 전망(展望). 14. A moonrise, seen through the Earth's atmosphere, on December 29, 2024. # Don Pettit / NASA 2024년 12월 29일 지구 대기를 통해 본 월출(月出). 15. Somewhere above Texas on January 16, 2025, Don Pettit was chasing the moon's reflection with his camera, capturing the contours of this braided riverbed in reflected moonlight. # Don Pettit / NASA 2025년 1월 16일 텍사스 상공 어딘가에서 돈 페티트는 카메라로 달의 반사를 쫓으며 달빛에 반사되어 땋아진 강바닥의 윤곽을 포착하고 있었다. 16. The lights of Tokyo, seen on October 20, 2024. # Don Pettit / NASA 2024년 10월 20일에 본 도쿄(東京)의 불빛. 17. Clouds swirl beneath the northern lights, off Russia's Pacific coast, on January 12, 2025. # Don Pettit / NASA 2025년 1월 12일에 러시아 태평양 연안에서 북극광(北極光) 아래서 구름이 소용돌이친다. 18. The individual lights of hundreds of fishing boats are visible off the coast of Vietnam on January 18, 2025. # Don Pettit / NASA 2025년 1월 18일에 베트남 연안에서 수백 척의 어선 각각의 불빛이 보인다. 19. The lights of the Twin Cities of Minneapolis and St. Paul, photographed on January 16, 2025. # Don Pettit / NASA 2025년 1월 16일에 촬영한 미니애폴리스와 세인트폴 쌍둥이 도시의 불빛. 20. A view across the U.S. state of Georgia, looking toward Florida, captured on January 15, 2025. # Don Pettit / NASA 2025년 1월 15일에 촬영한 플로리다를 바라보는 미국 조지아주 전역의 풍경(風景). 21. Comet C/2024 G3 (ATLAS), visible just above the Earth's horizon, on January 9, 2025. # Don Pettit / NASA 2025년 1월 9일 지구 지평선 바로 위에서 보이는 C/2024 G3 혜성(ATLAS). 🌃💫혜성 C/2024 G3(이틀라스)는 2024년 4월에 발견된 비주기 혜성이다. 이 혜성은 2025년 1월 14일에 지구에 가장 가까이 다가갔다. 소행성 지구 충돌 최종 경보 시스템(ATLAS)이 2024년 4월 5일에 이 혜성을 발견했다. ATLAS는 소행성과 지구 충돌 가능성을 모니터링하는 로봇 망원경 시스템이다. 이 혜성은 2025년 1월 중순부터 말까지 남반구에서 가장 잘 관측됐다. 그것은 별자리 염소자리 근처에서 일몰 직후 하늘에 나타났다. 광학의 도움 없이도 낮에도 볼 수 있을 만큼 밝았다. 태양과의 근접성으로 인해 금성만큼 밝게 빛날 수 있다. 22. A moonlit view of the Caribbean, photographed from the ISS on January 18, 2025. # Don Pettit / NASA 2025년 1월 18일 국제우주정거장(ISS)에서 촬영한 카리브海의 달빛 풍경. 23. A night view of Seoul, South Korea, seen on January 3, 2025. # Don Pettit / NASA 2025년 1월 3일 촬영한 한국 서울의 야경. 24. A 15-second exposure and stabilized camera allowed for this crisp view of our Milky Way galaxy and the neighboring dwarf galaxy known as the Large Magellanic Cloud, seen beyond the Earth's horizon, on January 27, 2025, above the Pacific Ocean. # Don Pettit / NASA 15초 노출과 안정화된 카메라로 2025년 1월 27일 태평양 위 지구 지평선 너머에서 보이는 우리 은하수와 대마젤란운으로 알려진 이웃 왜소은하를 선명하게 볼 수 있었다. 🌃왜소은하(矮小銀河, dwarf galaxy)는 은하수의 2,000~4,000억 개의 별과 비교했을 때 약 1,000개에서 수십억 개의 별로 구성된 작은 은하이다. 은하수를 가까이 공전하고 300억 개 이상의 별을 포함하는 대마젤란운은 때때로 왜소은하로 분류되고, 다른 사람들은 그것을 본격적인 은하로 간주한다. 왜소은하의 형성과 활동은 더 큰 은하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생각된다. 천문학자들은 왜소은하의 모양과 구성을 기반으로 수많은 유형의 왜소은하를 식별한다.
카페 게시글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출처: 화촌중학교 21회 동창회 원문보기 글쓴이: 김춘근
댓글
검색 옵션 선택상자
댓글내용선택됨
옵션 더 보기
댓글내용
댓글 작성자
연관검색어
환율
환자
환기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