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동양철학과 서양철학을 비교하여 서술하시오.
동양철학은 무위자연 즉, 자연과의 조화를 이루어 살아가며, 욕심을 줄이고 자신을 낮추며 살아가라는 중용의 미덕이 강하다. 이에 반해 서양철학은 과격하고 과감하며, 노력을 중시하고 사랑을 중요시하며, 중용이라는 것을 쉽게 납득하지 않고, 지칠 줄 모르는 열정을 중요시한다. 동양철학과 서양철학의 가장 큰 차이는 ‘인간의 본성론’에서 알 수 있다. 동양에서는 본성을 마음의 영역으로 해석하고 또 수양과 인으로 극복해야 한다고 했는데, 그 핵심에는 맹자의 성선설, 순자의 성악설, 고자의 성무선악설을 예로 들 수 있다. 반면에 서양은 인식론적으로 해석하여 이성에 대해 경험인지 생득관념인지에 대해 나뉘어졌다. 대표적인 예로 존 로크의 백지설이 인식론의 대표라고 할 수 있고, 인간은 태어날때부터 하얀 백지와 같다고 하면서 관념도 없다고 말했다. 그리고 경험으로서 이성과 관념이 생겨난다. 결론적으로 배움으로서 깨달음을 강조했다는 점은 같지만, 동양은 심(心), 서양은 식(識)에 맞추어 인간을 바라보는데에서 차이점이 존재한다.
2. 중도사상에 대한 설명과 중도를 실현하기 위한 5가지 덕목에 대해 서술하시오.
중도란 어느 한쪽으로 치우지지 않는 바른 길을 뜻하며, 공자가 중요시 여기는 공부방법이며, 불교에서는 유(有)나 공(空)에 치우치지 않는 진실한 도리, 또는 고락의 양편을 떠난 올바른 행법이다. 중도는 초기불교부터 근본진리의 중요한 특징을 나타내는 표현으로 사용되었다. 이어 대승, 소승 각 교파에서도 중도야말로 불교적 진리관의 요체라는 의미에서 중도실상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초기불교의 중도는 보통 실천 중도와 이론 중도로 나누어 설명된다. 실천 중도는 녹야원의 처음 설교에서 교진여 등 다섯 사람에게 설해진 내용이며, 구체적으로는 정견, 정사유, 정정진, 정업, 정어, 정정, 정념 등의 팔정도로서 설명되었다.
중도를 실현하기 위한 5가지 덕목으로는 첫째, 믿을 신 으로, 인(人)과 언(言)이 합쳐진 것으로 사람의 말을 믿는 것이다. 둘째, 성실할 성으로, 언(言)과 성(成)이 합쳐져 자신이 말한 것을 모두 이루어 내는 것을 성실이라고 한다. 셋째는 충실할 충으로, 중(中)과 심(心)이 합쳐진 마음의 중심을 잡은 사람이 충실하다고 말한다. 넷째는 효도할 효로, 로(老)와 자(子)가 합쳐져 늙은 부모를 자식이 받들어 모시는 것을 효도라고 한다. 이때 효에는 물질적인 효와 정신적인 효로 나눌 수 있는데, 물질적인 효는 양(養)과 구(口)로 몸을 보살펴 주는 것이라 할 수 있고, 정신적인 효는 양(養)과 지(志)가 합쳐져 마음을 헤어려 편하게 해주는 것으로 ‘양구체’라 부르기도 한다. 마지막으로 용서할 서로, 여(如)와 심(心)이 합쳐져 타인의 마음과 같아지는 것, 즉 자기 동일화가 되는 것을 말한다.
3. 공자 사상에 대해 서술하시오.
공자는 춘추전국시대 중국 노나라에서 출생하였다. 공자는 춘추전국시대 주나라 봉건질서가 몰락한 원인이 도덕적 타락이라고 보고, 인을 세워야 한다고 주장했다. 공자는 “아침에 도를 들으면 저녁에 죽어도 좋다.”라는 도덕적 질서가 붕괴된 춘추전국시대의 도덕성 회복을 강조하고자 함을 엿볼 수 있다. 공자의 사상은 옛 것을 익혀서 새 것을 알아가는 옹고지신의 마음으로 자신의 지혜를 쌓았다. 또 군자는 휩쓸리지 않으며, 잘못할 것을 아는데 고치지 않은 것은 어리석은 것이라 말했다. 공자 사상의 핵심도리는 ‘수신제가치국평천하’로 몸과 마음을 닦아 수양하고 집안을 가지런하게 하며 나라를 다스리고 천하를 평한다는 뜻이다. 또한 ‘격물치지’의 사물의 이치를 구명하여 자기의 지식을 확고하게 한다.
공자는 사람들의 관계를 잘 유지하는 방법에 대해 생각하여 다음과 같은 다섯 가지를 강조하게 된다. 이는 <논어>라는 책에 적혀있다. 우선 공자는 사람들과의 관계가 원만하기 위해서는 이해심이 있어야 함을 강조했다. 한자로는 인(仁)이 해당 되는데, ‘어질다’라고 풀기도 한다. 두 번째는 예(禮)를 강조한다. 이 말은 단순한 예의범절과는 다르게 고대의 조상숭배와 제사를 이해해야 한다. 세 번째는 조상숭배와 제사 그 자체이다. 혈연으로 연결된 조상에 대한 제사는 공자 사상의 핵심으로 공자 사상의 모든 배경과 내면세계는 모두 이 조상의 제사와 깊은 관련이 있다. 네 번째는 의(義)를 강조했다. 공자는 비굴한 것을 싫어했는데, 사소한 이익을 얻기 위해 마음을 속이는 것은 옳지 않다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공자는 남자, 여자, 군자, 소인 등으로 사람들을 구별했다. 공자는 사람들의 행위의 근거로 인품을 나눌 수 있다고 생각했다. 특히 남자와 여자, 군자와 소인의 경우 인품이 다르고 행위 역시 구별된다고 생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