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참사 3년의 시간 동안 한국교회는 참사로 고통받는 희생자 유가족, 미수습자 가족들과 연대하고 그들의 고통을 껴안아 왔다.
2014년 4월 16일 진도 앞바다에서 세월호 참사가 발생했을 때, 가장 먼저 진도로 달려간 것도 한국교회였다. 광주대교구는 가톨릭광주사회복지회를 중심으로 진도 팽목항과 세월호 참사 초창기 희생자 유가족들이 거처했던 진도체육관에 인적, 물적 자원을 긴급 파견해 기도와 미사 봉헌에 힘썼다. 팽목항에는 ‘세월호 팽목항성당’을 만들어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미사 봉헌이 가능하도록 조치했다.
희생자들이 집중된 경기도 안산 단원고가 위치한 수원교구도 참사 발생 직후 교구 각 본당에 공문을 발송해 희생자의 위로와 실종자의 무사귀환을 지향으로 신자들이 기도할 것을 독려했다. 또한 세월호 희생자들을 위한 보편지향기도문을 제작해 교구 내 모든 본당에 배포했고 희생자가 나온 본당에서는 고리기도와 연도가 끊임없이 이어졌다. 안산 화랑유원지에는 천주교 부스를 만들어 매일 오후 묵주기도와 미사를 봉헌했다.
서울가톨릭사회복지회 역시 사제와 지원 인력을 파견해 사고 초창기 정신적 공황 상태에 빠진 희생자 유가족들을 영적으로 위로하고 서울 주교좌명동대성당 등에 세월호 희생자를 위한 기도와 추모공간을 마련하는 등 진도와 서울대교구를 기도로써 연결하는 역할을 맡았다.
수원교구 정의평화위원회는 참사 12일 만인 2014년 4월 28일 성명을 내고 정부가 참사의 원인을 철저히 규명하고 책임자들에 대한 합당한 처벌을 하는 것은 물론 체계적인 재난 구조시스템을 마련해 같은 사고가 나지 않도록 할 것을 정부에 요청했다. 주교회의 정의평화위원회도 7월 14일 ‘세월호 참사 국정조사 파행과 특별법 제정에 대한 한국천주교 주교회의 정의평화위원회의 입장’을 내고 희생자 유가족들이 제안한 ‘4·16참사 진실규명 및 안전사회 건설 등을 위한 특별법’의 조속한 제정을 촉구하고 나섰다.
2014년 8월 순교자 124위 시복식을 위해 한국을 찾은 프란치스코 교황은 서울 광화문 시복식장에서 세월호 희생자 유가족의 손을 직접 잡고 위로하는 모습을 보여주면서 세월호 참사를 국내를 넘어 세계적 이슈로 승화시켰다. 교황은 세월호 참사에 대해 ‘고통 앞에 중립은 없다’는 뼈 있는 언급을 하면서 한국교회 안팎의 세월호 참사 진상규명 요구에 힘을 실어줬다.
교황이 세월호의 아픔에 동참하면서 세월호 특별법 제정 요구가 더욱 거세졌다. 2014년 9월 2일에는 주교회의 정평위 산하에 세월호 참사 진상규명과 특별법 제정을 위한 특별위원회를 구성해 유가족들의 진상규명 활동을 지원할 것을 결정했다. 2014년 10월에는 전국 각 교구에서 세월호 특별법 제정을 촉구하는 시국미사가 봉헌됐다.
이에 힘입어 마침내 같은 해 11월 7일 세월호 특별법이 국회를 통과했고 세월호 참사 특별조사위원회가 조직됐지만 기대와 달리 정부의 방해로 세월호 특조위는 별다른 성과를 내지 못한 채 1년 9개월 만인 지난해 9월 해산되고 말았다.
한국교회는 세월호 특별법 통과와 특조위 구성 후에도 세월호 참사 진상규명이 가로막히자 2015년 4월 세월호 1주기를 즈음해 각 교구별로 단식기도와 삼보일배 순례, 추모미사 봉헌 등을 하며 세월호로 고통받는 이들과 발걸음을 같이 했다. 또한 주교회의 정평위와 광주대교구 정평위 등이 성명서를 내고 세월호 참사 진상규명을 재차 촉구했다. 유가족을 초청해 포럼과 간담회 등도 교구별로 열었다.
세월호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줄어들고 세월호 참사가 정치적으로 왜곡되던 2016년 4월 2주기 때도 한국교회는 광주대교구와 수원교구가 중심이 돼 세월호의 아픔을 나누는 9일기도와 추모미사를 봉헌하며 희생자 유가족과 미수습자 가족들을 위로했다.
또 다시 1년의 시간이 흘러 세월호는 3월 24일 침몰 해역에서 인양돼 3월 31일 마지막 항해를 통해 목포신항에 입항했고 4월 10일에는 육상에 거치됐다. 고대했던 미수습자 수습이 조만간 본격적으로 이뤄질 시점에 한국교회는 세월호 3주기를 맞아 어느 때보다 간절한 마음으로 기도를 이어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