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 이론적으로 B 라인 하나면 모든 모글 턴을 이해 할 수 있습니다. 뱅크 라인부터 선수용 지퍼라인까지.. 심지어 다이렉트 턴도 B 라인 파생 상품?인 셈이죠. 모글스키어들의 꿈인 다이텍트 턴과 B 라인의 같은 점과 차이 점을 강좌로 만들어 보겠습니다. 일단 A 라인과 뱅크턴도 구별 할 수 있어야 하니 그것도 강좌로 만들어 보겠습니다.
요점은 리드하고 있는 (앞선 스키) 안쪽 스키로 페이스 컨텍을 하는 게 제일 중요합니다. 매 턴마다 해야하고요. 처음엔 천천히 다섯 턴만 해보시면 카빙을 느낄 수 있습니다.
첫댓글 와우~~요즘 B-line 카빙턴에 대해 고민중이었는데. 감사합니다!! 열심히 연습하겠습니다.^^
내용을 이해하셨다니 조금만 연습하시면 모글 카빙턴이 될 것입니다. 모글 안쪽 다리로 탄다는 느낌으로 페이스 컨텍하세요.
안쪽발이 턴을 주도하기 위해서는 항상 먼저 나가 있어야함으로(리드체인지) 부츠를 매 턴 마다 전후차로 교대하십시오. 처음엔 크게. 점점 작게..
이 동작은 풋컨테인먼트 훈련에 많은 도움이 됩니다.
건투를 빕니다.
그러게요...이게 한가지로만 되지가 않더라구요. 체중도 제대로 실어줘야하고, 페이스 컨택도 해야하고, 이제는 리드체인지까지....ㅜㅜ
열심히 해보겠습니다.ㅎㅎ
이론적으로 완전한 하나의 영상이라면 이 영상인것 같습니다. 모글을 틀어서 들어가야하나 탑을 페이스 모글에 닿아야 하나 해깔렸는데 페이스 컨택이 답이군요.
뱅크턴부터 뉴라인 다이랙트 라인까지 한번에 설명이 된것 같습니다.
네. 이론적으로 B 라인 하나면 모든 모글 턴을 이해 할 수 있습니다. 뱅크 라인부터 선수용 지퍼라인까지.. 심지어 다이렉트 턴도 B 라인 파생 상품?인 셈이죠.
모글스키어들의 꿈인 다이텍트 턴과 B 라인의 같은 점과 차이 점을 강좌로 만들어 보겠습니다. 일단 A 라인과 뱅크턴도 구별 할 수 있어야 하니 그것도 강좌로 만들어 보겠습니다.
요점은 리드하고 있는 (앞선 스키) 안쪽 스키로 페이스 컨텍을 하는 게 제일 중요합니다.
매 턴마다 해야하고요. 처음엔 천천히 다섯 턴만 해보시면 카빙을 느낄 수 있습니다.
B라인을 좋게 봐주시어 고맙습니다.